한국의 ‘3不’ 약속, 그 의미는? – ‘사드 추가배치, 美 미사일방어체계 참여, 한미일 3국 군사동맹 발전’ 없을 것 – 한국, 지리적 위치의 강점 살려 강대국 세력균형의 핵심키 되길 – 중국과 한국은 영원한 이웃이자 협력 파트너임을 기억해야 한국의 3不 약속에 대한 환구망의 최근 기사는 강경화 장관이 사드 추가배치를 하지 않겠다는 약속에 더해 1限을 제시하면서, 현재 한국에 배치된 사드는 중국의 전략적 안보 이익을 ...
Read More »Tag Archives: 사드
‘중국 외교부’ 한중 관계 개선과 발전이 양측의 공동 이익에 부합
‘중국 외교부’ 한중 관계 개선과 발전이 양측의 공동 이익에 부합 – 양측, 사드 문제 적절한 처리로 교류 협력 정상화 되길 – 11월 APEC 정상회담 때 시진핑과 문대통령 만남 가능성 중국 외교부 정례 기자회견이 열린 10월 31일, 당일 오전에 배포된 한중 양국이 한중관계 등에 관해 소통하고 있다는 보도자료에 대해, 중국이 사드문제에 관한 입장 변화로 한중관계가 바뀌고 있다는 의미인가라는 질문이 쏟아졌다. 화춘잉 ...
Read More »‘시나닷컴’ 중국의 성난 사드 민심, ‘솽스이’ 한국기업 성적표 좌우
‘시나닷컴’ 중국의 성난 사드 민심, ‘솽스이’ 한국기업 성적표 좌우 – 올해 한국기업, 관련 마케팅 행사 거의 없어 – 온라인 판매 위주라 영향 받지 않을 것 낙관도 – 사드로 한국해외직구시장 실적 2분기 28.9%감소 블랙프라이데이를 능가하는 세계 최대 규모 쇼핑 축제로 중국 시장에 진출한 한국기업에 매우 중요한 날인 ‘솽스이’가 다가옴에 따라 사드배치로 멀어진 중국 민심이 한국기업 매출에 좋지않은 영향을 미칠지가 우려되고 있다. ...
Read More »중 인민일보, 유엔 ‘현재까지 가장 강력한 제재’ 북한 도발 멈추나
중 인민일보, 유엔 ‘현재까지 가장 강력한 제재’ 북한 도발 멈추나 – 7차 제재, 2371호 결의안으로 북한 자금줄 단절 예고 – 북한, 연이은 제재 속에서도 2016년 GDP 최대치 상승 – 한미 연합 UFG는 북한 또 자극해 악순환 될 뿐 중국 인민일보는 8월 5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2371호 결의를 통과시킴으로써 북한에 대한 7차 제재안을 실시하기로 결정하였다고 전한 뒤, 이 결의안은 북한에 대한 석탄, ...
Read More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트럼프는 김정은만큼 위험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트럼프는 김정은만큼 위험해” -트럼프 행정부, 전쟁이 나도 미국민이 아니라 한국민이 죽을 것이라 말해 -트럼프에게 핵무기를 맡기는 것은 김정은에게 맡기는 것만큼 위험하다는 여론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의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bit.ly/2va9ZGK BETWEEN DONALD TRUMP AND KIM JONG-UN, SOUTH KOREANS WONDER WHO IS CRAZIER 누가 더 미쳤는가; 도널드 트럼프와 김정은 사이에서 고민하는 한국 In a land ...
Read More »NYT, 북 ICBM 캘리포니아 타격 가능
NYT, 북 ICBM 캘리포니아 타격 가능 -미국의 대북 강경제재 법안 통과에 대한 보복 발사실험 -미 국방정보국, 북 1년 이내에 모든 기술 확보 가능성 뉴욕타임스가 28일 북한의 두 번째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실험에 대한 소식을 전하며 이번 발사가 미국의 서부 해안을 타격할 수 있었다는 전문가의 견해를 인용 소개했다. 북한이 미 본토 48개주를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미 국방정보국의 조사에 ...
Read More »BBC, 북한 대륙간탄도미사일 또 다시 발사
BBC, 북한 대륙간탄도미사일 또 다시 발사 -2017년 들어서서 14번째 미사일 발사 실험 -유엔 대북 제재에 대한 강력한 저항의 의사 표현 -사정거리 10,000km 미국 서부 혹은 덴버, 시카고 사정권 BBC는 7월 4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 실험 이후 3주만에 감행된 북한의 또 다른 ICBM 발사 보도를 신속 보도했다. 이번 발사는 7월 28일 이례적으로 늦은 밤 11시 41분 자강도에서 발사되었으며 일본 근해에 떨어졌다고 ...
Read More »中 ‘文정부 사드 관련 대외전략 실용적 방향으로 전환 중’
中 ‘文정부 사드 관련 대외전략 실용적 방향으로 전환 중’ -중국 사회과학원 ‘안보정책 피동적에서 주도적 정책으로 전환 꾀해’ -‘전시 작전권’ 회수, 미 의존 벗어나 ‘자주국방’ 실현하려 할 것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직속 싱크탱크로서 중국 최대 규모의 연구기관인 중국 사회과학원(Zhōngguó Shèhuì Kēxuéyuàn, CASS)에서 발행하는 매체인 ‘중국사회과학보’가 문재인 정부의 등장으로 전환점을 맞고 있는 한반도 주변 관계를 사드를 중심으로 꼼꼼히 전망해 눈길을 끌고 있다. 장서우 ...
Read More »사드반대 청원에 촘스키 교수도 참여
사드반대 청원에 촘스키 교수도 참여 -미 평화 활동가들, 격려차 7/23-28 성주 방문 예정 -전세계 시민들의 사드 반대 위한 청원 서명 이어져 편집부 평화 활동가인 시몬 천 정치학 박사는 오는 7월 23일에서 28일 사이 미국의 저명한 평화 활동가들이 성주/김천 소성리에 배치될 사드 반대 및 한반도, 동북아시아 평화를 위해 지난 1년 동안 힘든 싸움을 해온 시민들을 격려하고 연대의 뜻을 전하고자 그곳을 방문할 ...
Read More »CNN, 군사적 방법이 북한 위협에 효과가 없는 이유
CNN, 군사적 방법이 북한 위협에 효과가 없는 이유 – 사드, 대륙간탄도 미사일 저지에 비효과적 – 10년 내 미국 타격 가능한 대륙간탄도미사일 개발할 수 있어 – 미국, 핵보유국 북한과 공존하는 방법 배워야 해 포드햄 법과대학 국제법학과의 토마스 리 교수는 CNN을 통해, 북한 위협에 대응한 군사적 대응 논의가 있지만, 이는 실질적 옵션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리 교수는 기고문에서 미국의 탄도미사일방어(ABMD) 체계가 장거리 탄도미사일을 ...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