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사법부, 언제까지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를 것인가 -두 가족에게 적용된 상반된 판결 -선택적 정의가 사법 정의인 시대 끝내야 -망가진 저울, 대한민국 사법부 박영원(충남 국립대학교 영어영문학과) A couple of days ago, on August 11, Prof. Chung Kyungshim, Cho Kuk’s wife, was convicted of a crime she had never committed in the Court of Appeal—forging an award certificate for her daughter. It ...
Read More »독자의견
두 가지 모순: 일본의 수치 문화와 한국인의 역사의식
Two Contradictions: the Japanese Shame Culture and Koreans’ Sense of History 두 가지 모순: 일본의 수치 문화와 한국인의 역사의식 박영원(충남국립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Mark Ramseyer, Mitsubishi Professor of Japanese Legal Studies at Harvard Law School, has recently claimed in his paper that sex slaves in Imperial Japan, known as “comfort women,” were not forced but voluntarily employed. Whenever somebody makes ...
Read More »416은 이제 단순한 참사 이상이다
416은 이제 단순한 참사 이상이다 Kelly Lee (세월호를 기억하는 토론토 사람들) 4월 중순에 토론토 지역에 갑작스런 프리징 레인(freezing rain) 경고가 내려졌다. 모든 커뮤니티 프로그램들이 취소되는 날씨에 전세계 도시들과 일제히 치러지는 세월호 참사 4주기 추모 토론토 행사를 준비하는 입장에서는 여간 난감한 게 아니었다. 야외 집회마다 우천시를 대비해 실내 장소를 함께 예약 해놓긴 했었지만, 4년 동안 한번도 실제로 실내로 장소를 옮겨 한 ...
Read More »학비, “우리가 가면 길이 된다!”
학비, “우리가 가면 길이 된다!” –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1,000 간부 수련회 – 노동운동의 중심, 비정규직 운동의 중심이 된 학비 고혜경(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수석부회장)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제공 6월 29일-30일 이틀간 총파업을 치르느라 ‘1,000 간부 수련회’ 준비가 많이 늦어졌다. 학교 방학이 시작되기 전에 수련회를 해야 할 것 같아 무리해서 잡은 일정이기도 했지만, 사무처 동지들이 많이 부족한 상황이어서 더 걱정되기도 했다. 작년까지 ‘500 간부 수련회’를 치러봤지만 처음 ...
Read More »영화 ‘노무현입니다’ 토론토 상영 관람기
영화 ‘노무현입니다’ 토론토 상영 관람기 -‘노무현입니다’, 해외 곳곳에 퍼져나가길 – 노무현이라는 이름, 그 자체로 아픔이었으리라 Kelly Lee Photo Credit Kelly Lee 얼마나 울어야 하는 걸까 걱정이 앞섰다. 먼저 이 영화를 본 지인들의 조언은 ‘손수건을 꼭 준비하세요’, ‘마치면 조용히 술 마시러 가게 됩니다.’, ‘실컷 울 각오하고 가세요’ 등이 일색이었다. 세월호 참사 이후에 의도적으로 슬픈 영화나 드라마를 피하는 버릇이 생겼다. 접하는 모든 ...
Read More »재미동포간담회 후기, 문재인 대통령께 바라는 교민의 편지
재미동포간담회 후기, 문재인 대통령께 바라는 교민의 편지 – 문재인 대통령님께 드리는 글 – 우리는 왜 세월호 활동을 해야 했는가 – 언제든 다시 촛불 들 것 시카고 세사모 정혜윤 (편집자주, 문재인 대통령의 재미동포 간담회에 참석한 교포의 생생한 후기와 사진 및 문 대통령께 바라는 교민들의 마음을 그대로 전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의 한미정상회담 후 동포간담회에 잘 다녀왔습니다. 함께 참석하지 못한 세사모 활동회원들을 대표해 그 ...
Read More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4.16 추모 종교의식과 추모음악회 소식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4.16 추모 종교의식과 추모음악회 소식 John Yu 긴 시간 동안 변한 것도 많고 변하지 않은 것도 많습니다. 잊혀진 것도 많고 아직 기억하고 있는 것도 많습니다. 매일의 삶 속에서 변한 것과 변하지 않은 것… 잊혀진 것과 기억하고 있는 것들이 충돌을 일으킵니다. 3년째 맞는 4월16일이다. 변해야 하는데 변하지 않는 것들이 있습니다. 변하지 말아야 하는데 변하는 것들도 있습니다. 세상은 늘 그렇게 ...
Read More »나는 왜 독일에서 한상균을 위해 촛불을 드는가?
나는 왜 독일에서 한상균을 위해 촛불을 드는가? 독일에서 클레어 함 우리를 위해 싸워온 한상균 나는 한국을 떠난 지 오래된 독일 교포다. 상당기간 한국 관련 뉴스를 읽지도 않고 살다가 2014년 세월호 참사의 충격 이후, 한국의 인권 신장을 위해 현지에서 집회나 영화 상영회를 열기도 하고, 한상균 석방 촉구를 위한 온라인 청원을 비롯, 다양한 주제의 청원운동도 진행해온 인권 활동가다. (http://bit.ly/2gE9PoP: 한국어, 영어, 불어, ...
Read More »다큐멘터리 <자백> 최승호 감독, 필라델피아 로스앤젤레스 등 관객과 만나다
다큐멘터리 <자백> 최승호 감독, 필라델피아 로스앤젤레스 등 관객과 만나다 – 강풍 속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시위도 계속돼 필라 세사모 추운 날씨에도 매 주말 광화문 촛불집회 참가자 수가 오히려 급증하고 있는 한국의 민심을 반영하기라도 하듯, 필라델피아에서도 시국선언과 촛불시위, 다큐멘터리 상영 등 시국행사가 연이어 잇고 있다. 지난 11월 11일(금) 챌튼햄 고향산천에서 진행된 “모국을 위한 동포 간담회”를 시작으로, 11월 16일(수)에는 유펜한인학생들의 시국선언이, 그리고 12월 ...
Read More »[기고] 4.16기억저장소 후원 음악회와 함께한 기억
[기고] 4.16기억저장소 후원 음악회와 함께한 기억 필라세사모 김영근 내 업종 탓인지 더는 듣고 볼 수 없는 소리를 종종 떠올리곤 한다. 어머님이 두드리던 다듬이 소리다. 기억컨대 어머니의 젊은 시절은 노동의 연속이었다. 청석 다듬잇돌을 두드리는 박달나무 두 방망이 소리에 내가 아련하게 잠에 빠져들던 그 순간도 어머니에겐 노동이었다. 직업상 매일 돌아가는 세탁기를 보며 때로 떠올려보는 어머니의 다듬이 소리인데, 솔직히 어머니의 노동보다는 내가 즐겼던 ...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