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Headline / 블룸버그, 한국 세계 혁신리더 1위, 미국은 10위권 밖으로

블룸버그, 한국 세계 혁신리더 1위, 미국은 10위권 밖으로

블룸버그, 한국 세계 혁신리더 1위, 미국은 10위권 밖으로

– 한국, 혁신지수 발표 9년 동안 7번째 1위
– 싱가포르 2위, 일본 12위 기록
– 10위권 중 7개국은 유럽, 중국은 순위에 들지못해

블룸버그는 지난 2월 3일 South Korea Leads World in Innovation; U.S. Drops Out of Top 10 (한국, 혁신에서 세계 선두주자; 미국은 10위권 밖으로 밀려나) 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여러 전문가들이 분석한 한국의 혁신지수 1위를 기록한 배경과 그 밖의 국가에 대한 전망을 보도했다.

기사는 한국이 혁신지수가 발표된 9년 동안 7차례 정상을 차지했으며 싱가포르와 스위스는 지난해에 비해 각각 한 단계씩 오른 2위와 3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블룸버그의 혁신 지수는 연구개발 비용과 제조 능력 및 첨단 기업 집중도 등 동일한 가중치가 부여된 7개의 지표를 이용하여 수십 개의 기준을 분석해 도출하고 있으며, 2021 순위는 작년 코로나19 유행에 대한 각국의 방역노력 뿐만 아니라 경제적 노력, 백신 개발 경쟁 등 코로나19 상황에서 더욱 혁신에 집중한 전세계의 모습을 반영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기사는 코로나 시대 진짜 성공의 지표는 “확산과 채택”에 있다고 한 시티그룹 수석연구원의 분석과 코로나 19사태는 기술 및 연구보다 정책 및 조직에 더 밀접하다는 노벨상 경제학부문 권위자인 폴 로머 교수의 분석을 비롯, 몇 주 만에 몇 천만 명의 시민에 코로나바이러스 검사를 실시한 우한 당국에 대해 매우 중요한 공중보건 혁신이라고 말한 뉴욕대 스턴경영대학원 로머 교수의 말을 인용하면서 상위권에 있는 많은 국가들이 접촉자 추적이나 신속한 백신접종 등 팬데믹 대응 관련 분야에서 선두주자라는 점은 주목할 만한 점이라고 밝혔다.

기사는, 한국이 1위를 탈환한 주된 이유는 연구개발과 제조 분야의 강력한 성과뿐만 아니라 1위를 차지한 특허활동의 증가에 있다고 밝히면서 2위의 싱가포르는 디지털 경제 전환 분야의 성장과 제조분야, 또 교육분야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했으며 3위의 스위스는 금융과 바이오 기술 연구분야에서 최상위권에 포진했다고 말했다.

11위를 기록한 미국에 대해서는 줌 비디오 커뮤니케이션과 화이자 등 미국의 유명 기업들은 미국이 첨단 기업 비중에서 상위권을 차지한 이유이지만, 과학과 공학 분야의 선두주자였던 미국이 현재는 덜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하고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혁신이라는 이름하에 연구개발과 획기적 기술에 많은 투자를 기울이겠다는 약속을 해왔다고 언급했다. 또, 로욜라 메리마운트 대학 경제학 교수의 말을 빌어 미국의 혁신기술과 스타트 업 기술이 시장에 도달하기까지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블룸버그 경제학자들은 또, 중국의 지수 하락에 대해 부가가치 제조업에서 베트남이나 방글라데시에 우위가 밀리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올해 혁신지수에 포함된 국가들 중 특이할 점은 2016년 이후 인도가 다시 50위권에 진입했으며 우루과이는 처음으로 자격을 획득했고, 알제리와 아르헨티나는 가장 많이 떨어진 국가라고 언급했다. (글, 박수희)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블룸버그의 기사 전문이다.

감수: 임옥

기사 바로가기: https://bloom.bg/3jaxJF8

Business

South Korea Leads World in Innovation; U.S. Drops Out of Top 10

한국, 혁신에서 세계 선두주자; 미국은 10위권 밖으로 밀려나

By Michelle Jamrisko, Wei Lu, and Alexandre Tanzi

2021년 2월 3일 오전 9:00 GMT+9

Singapore, Switzerland rank second and third, passing Germany

싱가포르, 스위스 독일을 앞지르고 각각 2위와 3위

Seven of top 10 places go to European countries; China slips

10위권 중 7개국이 유럽. 중국은 순위에 들지 못함

South Korea returned to first place in the latest Bloomberg Innovation Index, while the U.S. dropped out of a top 10 that features a cluster of European countries.

한국이 최근 블룸버그 혁신지수에서 1위 자리를 되찾았다. 반면 미국은 유럽 국가들이 대부분인 상위 10위권에서 밀려났다.

Korea regained the crown from Germany, which dropped to fourth place. The Asian nation has now topped the index for seven of the nine years that it’s been published. Singapore and Switzerland each moved up one spot to rank second and third.

한국은 독일로부터 1위를 되찾아왔으며, 독일은 4위로 떨어졌다. 이로써 아시아 국가인 한국은 혁신지수가 발표된 지난 9년 동안 7차례 정상을 차지하게 되었다. 싱가포르와 스위스는 지난해에 비해 각각 한 단계씩 오른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The Bloomberg index analyzes dozens of criteria using seven equally weighted metrics, including research and development spending, manufacturing capability and concentration of high-tech public companies.

블룸버그의 혁신 지수는 연구개발 비용, 제조 능력 및 첨단 기업 집중도 등 동일한 가중치가 부여된 7개의 지표를 이용하여 수십 개의 기준을 분석한다.

The 2021 rankings reflect a world where the fight against Covid-19 has brought innovation to the fore –- from government efforts to contain the pandemic, to the digital infrastructure that’s allowed economies to work through it, and the race to develop vaccines that can end it.

이 2021년 순위는 범유행에 대한 각국의 방역 노력에서뿐만 아니라 경제가 무너지지 않도록 한 디지털 인프라, 그리고 현 상황을 종료시킬 수 있는 백신 개발 경쟁 등 코비드19와의 투쟁으로 인해 더욱 혁신에 중점을 둔 전세계의 현 모습을 보여준다

“In the year of Covid and facing the urgency of climate change, the importance of innovation fundamentals only increases,” said Catherine Mann, global chief economist at Citigroup Inc. “Innovation is often measured by new ideas, new products and new services,” she said, but it’s their “diffusion and adoption” that is the real metric of success.

시티그룹의 캐서린 만 글로벌 수석 연구원은 “코로나의 해에, 그리고 기후변화의 위기에 직면해, 혁신의 기본원칙의 중요성은 더욱 증가할 뿐”이라며 “혁신은 보통 새로운 생각, 새로운 제품, 새로운 서비스에 의해 평가된다”라고 말했지만 진짜 성공의 지표는 “확산과 채택”이라고 했다.

Wuhan Breakthrough

우한의 획기적 비약

Much of the Bloomberg data comes from before the virus crisis. Still, it’s notable that many countries high on the index –- like Korea, Germany and Israel –- have been world leaders in some areas of fighting the pandemic, whether it’s contact-tracing or speedy vaccination.

상당수의 블룸버그 데이터는 코로나 바이러스 위기 이전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독일, 이스라엘처럼 이 지수의 상위권에 있는 많은 국가들이 접촉자 추적이나 신속한 백신 접종 등 팬데믹 대응 관련 분야에서 선두주자라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American names like Zoom Video Communications Inc. or vaccine-maker Pfizer Inc. are among the past year’s emblems of innovation, reflecting the U.S.’s top ranking for density of high-tech firms.

줌 비디오 커뮤니케이션이나 백신 제조사인 화이자 같은 미국 유명 기업들은 지난해 혁신의 상징에 속했고 이는 미국이 첨단 기업의 비중에서 상위권을 차지한 것에 반영되었다.

The pandemic has also spotlighted a different kind of breakthrough, one that has more to do with policy and organization than technology or research, according to Nobel prizewinning economist Paul Romer.

노벨상 수상자인 경제학자 폴 로머 교수는 이 범유행은 다른 종류의 획기적 비약을 돋보이게 했는데, 이는 기술 및 연구보다는 정책 및 조직에 더 밀접하다고 말했다.

“We should recognize that the available metrics miss important dimensions of innovation,” said Romer, a professor at New York University’s Stern School of Business. “Officials in Wuhan showed for the first time that in a couple of weeks, it is feasible to test 10 million residents of a city for coronavirus. This was a very important public health innovation.”

뉴욕대학교 스턴경영대학원의 로머 교수는 “우리는 통용되는 지표가 혁신의 중요한 면을 놓치고 있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라며, “우한 당국자들은 몇 주 만에 천만 명의 시민에게 코로나바이러스 검사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처음으로 보여주었다. 이것은 매우 중요한 공중 보건 혁신이었다”라고 말했다.

‘Have a Future’

‘미래의 기약’

Korea’s return to the top spot is mainly due to an increase in patent activity, where it ranks top, alongside a strong performance in R&D and manufacturing.

한국이 1위를 되차지하게 된 주된 이유는 연구개발과 제조 분야의 강력한 성과와 더불어 1위를 차지한 특허 활동의 증가에 있다.

There’s near-total agreement in South Korea that “R&D is essential to have a future,” said Lee Kyung-mook, a professor of business management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It’s sandwiched between more developed nations, which still outperform them in technology, and China that is catching up fast relying on lower labor costs.”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이경묵 교수는 한국에는 “미래를 기약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이 필수적이다”라는 거의 전적인 동의가 있다며, “한국은 여전히 기술적으로 앞서 있는 선진국들과 더 낮은 인건비에 의존하여 재빠르게 따라잡고 있는 중국 사이에 샌드위치처럼 끼여있다”라고 말했다.

Second-placed Singapore, which has been allocating budget funds to help workers and companies transition to a digital economy, also scores high for manufacturing –- and its globally competitive universities put it top of the tertiary education gauge. Switzerland, a leader in financial and biological technology, ranks near the top in both of the index’s research categories.

2위인 싱가포르는 근로자들과 기업들이 디지털 경제로 전환하는 것을 돕는 데 예산을 배정해왔고, 제조 분야에서도 고득점을 했다. 또한 싱가포르의 세계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대학들은 싱가포르를 대학 이상의 고등교육 분야에서 정상을 차지하도록 했다. 금융과 바이오 기술의 선두주자인 스위스는 이 지수의 두 연구 분야 모두에서 최상위권에 포진했다.

Germany’s loss of the crown follows a warning two years ago by Juergen Michels, chief economist of Bayerische Landesbank, who said the country lacked skilled workers and a proper strategy for next-generation technology.

독일이 1위를 내놓은 것은 2년 전 바이어리쉐 란데스방크의 수석 연구원인 유르겐 미켈스가 독일은 숙련된 노동자와 차세대 기술을 위한 적절한 전략이 부족하다고 경고한 것에 뒤따른 것이다.

As the two biggest economies, the U.S. and China account for much of the world’s innovation. But both saw their rankings decline this year.

미국과 중국이 두 경제대국으로서 전 세계 혁신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양국 모두 올해 순위는 하락했다.

 

‘Will Take Time’

‘시간이 걸릴 것이다’

The U.S., which topped the first Bloomberg Innovation Index in 2013, dropped two places to 11th. In a report last year, the National Science Board found that “where once the U.S. was the uncontested leader in science and engineering, we are now playing a less dominant role.”

2013년 블룸버그의 첫 혁신지수에서 최상위권이었던 미국이 11위로 두 계단 하락했다. 지난해 보고서에서 국립과학원은 “과학과 공학 분야에서 논쟁의 여지가 없이 선두주자였던 미국이 현재는 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The country scores badly in higher education, even though U.S. universities are world-famous. That underperformance was likely made worse by obstacles to foreign students, who are usually promin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classes — first due to the Trump administration’s visa policies, and later to the pandemic.

미국의 대학들은 세계적으로 유명하지만, 미국은 고등교육에서 나쁜 점수를 받고 있다. 그 저조한 성적은 트럼프 행정부의 비자 정책으로 시작해서 후에 대유행으로 인해, 과학과 테크놀로지 수업에서 대체로 두드러지는 외국인 학생들에 대한 장벽으로 인해 더 악화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New President Joe Biden ran on a promise to reinvigorate U.S. manufacturing with a $300 billion investment in R&D and breakthrough technologies, a policy he labeled “Innovate in America.”

조 바이든 신임 대통령은 본인이 “미국 혁신”이라 이름을 붙인 연구개발(R&D)과 획기적인 기술에 3,000억 달러를 투자해 미국의 제조업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약속을 계속해왔다.

Sung Won Sohn, an economist at Loyola Marymount University in Los Angeles, says the U.S. is still in the vanguard –- but nowadays its innovations tend to come from smaller companies, and take longer to reach the consumer. “There are a lot of new ideas from many start-ups,” he said. “It will take time for the ideas to be translated into marketable products.”

로스엔젤레스에 위치한 로욜라 메리마운트 대학의 경제학자 손 성원 교수는 미국이 여전히 선봉에 서 있지만, 요즈음 미국의 혁신은 중소기업에서 오는 경향이 있고 소비자에게 도달하기에는 더 오래 걸린다고 말한다. 손 교수는 “많은 스타트-업에서 나온 많은 새로운 아이디어들이 있다”라고 말하며, “그 아이디어가 시장성 있는 제품으로 전환되려면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했다.

China, which fell one place to 16th in the 2021 index, is locked in a battle with the U.S. over key aspects of innovation policy.

2021년 혁신지수에서 16위로 한 계단 떨어진 중국은 혁신정책의 핵심 측면을 놓고 미국과 싸움을 벌이고 있다.

What Bloomberg Economists Say

블룸버그 경제학자들의 말

“Intensifying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is reshaping the innovation landscape. For the U.S., fears about losing intellectual property to a geopolitical rival are undermining support for the open innovation system. For China, fear of being cut off from foreign technology is accelerating investment in R&D capacity at home.”

“미-중 간의 치열한 경쟁이 혁신 지형을 바꾸고 있다. 미국에선 지정학적 경쟁자에게 지적재산을 빼앗길 것이라는 우려가 개방형 혁신체제에 대한 지지를 막고 있다. 중국 입장에선 해외 기술 단절에 우려가 오히려 자국내의 연구개발 역량 투자를 가속화하고 있다.”

-Chief Economist Tom Orlik

톰 올리크 수석 경제학자

The Chinese economy has gained ground on rivals with a faster recovery from the coronavirus slump. But its slippage in the index reflects longer-term issues such as the erosion of value-added manufacturing — where regional competitors like Vietnam and Bangladesh have gained ground.

중국 경제는 코로나 바이러스 침체에서 보다 빠르게 회복해서 경쟁국들에 비해 우위를 점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의 지수 하락은 베트남과 방글라데시와 같은 지역 경쟁국들이 우위를 점하고 있는 부가가치 제조업의 침식과 같은 장기적인 문제들을 반영되고 있다.

Other gainers in this year’s index include India, which climbed back into the top 50 for the first time since 2016, and Uruguay, which qualified for the first time. Algeria and Argentina were among the countries that fell furthest.

올해 혁신지수에 포함된 다른 국가들에는 2016년 이후 처음으로 다시 50위권에 진입한 인도와 처음으로 자격을 획득한 우루과이가 있다. 알제리와 아르헨티나는 가장 많이 떨어진 국가에 포함된다.

[번역 저작권자: 뉴스프로, 번역 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반드시 밝혀 주십시오.]

[wp_ad_camp_

소셜 댓글
뉴스프로 후원하기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