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Headline / 이코노미스트 ‘미나리’가 일으킨 미국 영화상의 차별 논쟁

이코노미스트 ‘미나리’가 일으킨 미국 영화상의 차별 논쟁

이코노미스트 ‘미나리’가 일으킨 미국 영화상의 차별 논쟁

– 골든 글로브, 영어 대사 없으면 최우수 작품 후보에서 제외
– 오스카, 다양성을 모토로 한 새로운 수상 기준 발표
– 미나리, 영국 상영 계획 확정. 논란이 관심 키울 수도

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의 한국 이민 가족에 대한 애환을 다룬 영화 ‘미나리’가 현재 미국의 권위 있는 두 가지 영화제가 가지고 있는 영화계의 해묵은 논쟁거리를 다시 수면 위로 올려 놓았다고 보도했다. (“Minari” sets off a debate about awards and foreign-language films “미나리”, 영화상과 외국어 영화에 대한 논란 일으켜) 기사에 의하면 논란의 핵심은 ‘미나리’가 골든 글로브에서는 영화 대사의 최소 50%가 영어로 진행되지 않는다는 (골든 글로브 최우수 작품 후보작 기준 중의 하나는 대사의 50%가 영어이어야 함_ 편집자 주) 이유로 최고 외국어 영화상 후보에만 오를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영화의 원산지를 근거로 결정하는 오스카라면 ‘미나리’가 미국의 예산과 인력으로 제작 및 배급되었으므로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후보로 올리지는 않을 것이라며, 오스카는 미나리를 미국 영화로 골든 글로브는 외국 영화로 보고 있다고 꼬집었다.

기사는, 이렇게 시상식의 다른 기준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골든 글로브 상의 수상 여부는 한 달 뒤 열리는 오스카 상의 시상에 영향을 미치며 ‘미나리’의 경우 화려한 액션이나 대형 세트가 없는 저예산 영화이므로 오스카에서도 주목받지 못할 경우 대중의 관심을 끌지 못할 우려가 있다고 말한다.

이에 대해 영화인들은 엄연히 미국에서 제작된 영화를 언어에 따라 다른 기준을 부여하고 수상에서 제외시키는 것에 대해 인종 차별, 혐오라는 주장을 펴 왔다. 아시아에 있는 가족을 방문하는 중국계 미국인 여성에 관한 이야기로 골든 글로브 외국어 영화 부문 후보에 올랐던 ‘페어웰(2019)’의 룰루 왕 감독은 ‘미나리’에 대해 “이보다 미국적인 영화를 보지 못했다”고 말하면서 영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미국적인 것을 특징짓는 낡은 규칙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한국계 미국 배우 다니엘 대 김은 “미국이 바로 내 나라인데, 너희 나라로 돌아가라는 말의 영화계 버전”이라고 비꼬았다.

멜 깁슨의 ‘아포칼립토(2006년 개봉, 마야어 사용, 64회 골든 글로브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노미네이트_편집자 주)’와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2006년 개봉, 일본어 사용, 64회 골든 글로브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수상_ 편집자 주)’ 등 미국영화이지만 외국어가 사용된 과거 이런 영화들 역시 골든 글로브에서 최고 영화상에는 노미네이트 되지 못했지만 큰 논란이 되지 않았다. 그러나, 예술가들은 규칙 자체가 문제라는 데 입을 모은다.

영화계는 이런 논란을 통해 느리지만 조금씩 발전해왔다. 연기 부문에서 백인이 아닌 배우가 단 한 명도 지명되지 않은 후 2016년부터 시작된 오스카소화이트(#Oscar_So_White) 캠페인은 업계의 인종 차별에 각계의 이목을 집중시켰으며, 오스카 상을 집행하는 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는 회원을 다양화하려는 여러 가지 시도를 통해 보다 보편적 메시지를 전하는 영화에 수상을 안기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또, 기사는 이런 논쟁 자체가 미나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며 작은 배급사에게 시끄러운 논쟁은 강력한 광고의 도구로 활용된다고 낙관한다. ‘미나리’는 이미 이러한 논쟁 또는 회원들 사이의 좋은 평가로 영국에서는 상영 계획이 발표되었다. 기사는 해마다 비평가와 활동가에게 쟁점이 되는 영화가 하나쯤은 있게 마련인데 올해의 그 영화는 바로 ‘미나리’일 수 있다고 말한다. (글, 박수희)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이코노미스트의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임옥

기사 바로가기: https://econ.st/2LV83Q8

“Minari” sets off a debate about awards and foreign-language films

영화제의 상과 외국어 영화에 대한 논란을 불러온 “미나리”

The American-made film is ineligible for the Best Picture (Drama) category at the Golden Globes on the basis of its dialogue

미국에서 제작된 이 영화는 영화 대사에 의거, 골든 글로브 최우수 작품(드라마) 부문에 들지 못했다

IN HOLLYWOOD, EACH awards season brings new controversies. This year the biggest quarrel is over “Minari”, a film by Lee Isaac Chung based on his parents’ experience as Korean immigrants in Arkansas. It earned rave reviews from critics on its premiere at Sundance Film Festival in 2020 but will not be released to the American public until February. It made news, however, when the Hollywood Foreign Press Association (HFPA),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Golden Globes, announced that “Minari” would not be eligible for the Best Picture (Drama) category on the grounds that its dialogue is mostly in Korean. (The rules state that at least 50% of a film’s dialogue must be in English.) “Minari” would instead be competing for Best Foreign Language Film.

해마다 할리우드의 시상식 시즌은 새로운 논란을 불러 일으키곤 한다. 올해의 가장 큰 논쟁은 아이삭 정 감독이 아칸소에서 한인 이민자로서 자신의 부모가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만든 영화 “미나리”에 대한 것이다. 이 영화는 2020년 선댄스 영화제 초연으로 비평가들로부터 극찬을 받았지만 2월까지 미국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을 예정이다. 하지만 골든 글로브를 주관하는 할리우드 외신기자 협회(HFPA)가 대부분 한국어로 대화가 진행된다는 이유로 ‘미나리’를 최우수 작품(드라마) 부문 후보에 올리지 않는다고 발표하면서 화제가 되었다. (규칙에 따르면 영화 대사의 최소 50%가 영어로 진행되어야 한다.) 대신 “미나리”는 최고 외국어 영화상을 두고 경쟁을 벌인다.

Film-makers have since criticised this decision, arguing that relegating an American-made film to a special category on the basis of its language is xenophobic. “I have not seen a more American film this year,” tweeted Lulu Wang, whose movie “The Farewell” (2019), about a Chinese-American woman visiting her family in Asia, was also entered into the Golden Globes as a foreign-language film. “We really need to change these antiquated rules that characterises [sic] American as only English-speaking.” Daniel Dae Kim, an actor, described the HFPA’s decision as “the film equivalent of being told to go back to your country when that country is actually America”.

영화 제작자들은 이 결정을 비판하면서 미국에서 제작된 영화를 언어에 따라 특별한 범주로 강등시키는 것은 외국인 혐오라고 주장해왔다. “올해 이보다 더 미국적인 영화를 보지 못했다”라고 트위터에 올린 룰루 왕 역시 아시아에 있는 가족을 방문하는 중국계 미국인 여성에 관한 영화 “페어웰”(2019년)로 외국어 영화상 부문의 골든 글로브 후보가 되었던 바있다. “영어를 사용하는 것만으로 미국적인 것을 특징짓는 그런 고루한 규칙을 정말 바꿔야한다”며 배우 다니엘 대 김은 할리우드외신기자협회의 결정은 “미국이 바로 내 나라인데 너네 나라로 돌아가라는 말을 듣는 것의 영화계 버전”이라고 말했다.

These artists are taking issue with the rule itself, rather than its application. The HFPA, for its part, says that “Minari” was only ever submitted for the Best Foreign Language Film category by A24, its distributor. Other foreign-language films from American directors, such as Mel Gibson’s “Apocalypto” and Clint Eastwood’s “Letters from Iwo Jima”, have also been prohibited from competing for Best Picture in years past; there was little controversy over those classifications.

이 예술가들은 규칙의 적용보다는 규칙 자체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할리우드외신기자협회는 배급사인 A24가 “미나리”를 최우수 외국어 영화 부문에만 제출했다고 말한다. 멜 깁슨의 “아포칼립토”와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와 같은 미국 감독이 만든 다른 외국어 영화도 과거 최고영화상 경쟁에 들지 못했다. 그리고 이러한 분류에 대해서는 거의 논란이 없었다.

Yet there are several reasons why “Minari” is being viewed differently. It is a smaller film, made on a low budget with no major stars, that may suffer from being siloed. It does not have action scenes or big war set-pieces to attract audiences. Unlike “Apocalypto” or “Iwo Jima” (which cost $50m and $19m to make, respectively) it is not being distributed by a major studio and was not the work of a well-known director.

그러나 “미나리”를 다르게 보는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이 영화는 간판급 스타 없이 저예산으로 제작된 작은 영화로서 홀로 고립될 수 있다. 이 영화에는 관객을 끌어 들이기 위한 액션 장면이나 대형 전쟁 세트도 없다. “아포칼립토”나 “이오지마”(각각 5천만 달러와 천 9백만 달러의 제작비가 들었다)와 달리 메이저 스튜디오가 배포하지도 않았고 잘 알려진 감독의 작품도 아니었다.

Some in the film industry fear that “Minari” will be overlooked both by the general public and by the Academy Awards, which often take their cues from the Golden Globes. It won’t be eligible for Best International Film at the Oscars because that award is determined by a film’s country of origin, not its language, and “Minari” was conceived, funded, produced and distributed by American companies and artists.

영화 업계의 일부 인사는 “미나리”가 일반 대중과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간과될 것이라고 우려한다. 아카데미 시상식은 종종 골든 글로브에서 영향을 받는다. “미나리”는 미국 기업과 미국의 예술가들에 의해 구상되고 자금을 지원받고 제작되어 배급되었으므로, 언어가 아니라 영화의 원산지를 근거로 결정하는 아카데미에서는 최우수 국제영화상을 받을 수 없다.

In other words, there is a discrepancy between the Oscars, which consider “Minari” an American film, and the Golden Globes, which see it as a foreign one.

즉 “미나리”를 미국 영화로 간주하는 오스카와 외국 영화로 보는 골든 글로브 사이에 모순이 있는 것이다.

But that is not the end of the story. The culture of Hollywood—and particularly of awards season—has changed, and films such as “Minari” are in less danger of being ignored. The #OscarsSoWhite campaign, which arose in 2016 after not a single non-white person was nominated in the acting categories, drew attention to the industry’s racial bias. The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launched various initiatives to diversify its membership and reward more inclusive films. When white-saviour movies such as “Green Book” win major awards, there is now a loud and angry backlash; the success of films including “Parasite”, which won Best Picture and Best International Film at the Oscars in 2020, is viewed not just as recognition of the movie’s artistic merits but also as a victory for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하지만 그것이 다가 아니다. 할리우드의 문화-특히 시상식 시즌의 문화-는 바뀌었으며, “미나리”와 같은 영화가 무시당할 위험도 적어졌다. 연기 부문에 백인이 아닌 배우가 단 한 명도 지명되지 않은 후 2016년에 시작된 ‘오스카 소 화이트’(#OscarsSoWhite) 캠페인은 업계의 인종적 편견에 이목을 끌게 했다. 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는 회원을 다양화하려는 여러가지 시도를 했고, 보다 포괄적인 영화에 상을 준다. “그린 북”과 같은 백인 구세주 영화가 주요 상을 수상하면 이제 이에 요란하게 분노하는 반발도 있다. 그리고 2020년 오스카상 최우수상과 국제 영화상을 수상한 ‘기생충’과 같은 영화의 성공은 그 영화의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은 것뿐만 아니라 다양성 반영의 성공으로도 여겨졌다.

The optimistic view, then, is that the brouhaha could work to the advantage of “Minari”. For a smaller distributor, controversy can be a powerful advertising tool; a British release has been announced in the wake of the debate. And even before this furore, there was a good chance that the film would screen well among the Academy’s more diverse membership. The outrage over the perceived snub could create an even bigger groundswell of support. Every year, there is one film that becomes the cause célèbre of critics and activists. This year, that may well be “Minari”.

한편 낙관적인 점은 이 논쟁이 “미나리”에 이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사실이다. 작은 배급사에게는 논쟁이 강력한 광고 도구가 될 수 있다. 이 논쟁의 여파로 영국에서 상영 계획이 발표되었다. 그리고 이 논쟁이 일어나기에 앞서 이 영화는 이미 아카데미의 다양한 배경의 회원들로부터 호평을 받았을 가능성도 크다. 모욕으로 받아들여지는 행위에 대한 분노도 더 큰 지지의 기반을 만들어 줄 수 있다. 해마다 비평가와 활동가의 쟁점이 되는 영화가 하나 있게 마련이다. 올해는 ‘미나리’가 바로 이 영화일 수 있다.

[번역 저작권자: 뉴스프로, 번역 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반드시 밝혀 주십시오.]

소셜 댓글
뉴스프로 후원하기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