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타임스, 한일 관계 가장 심각한 불화
-이춘식 강제징용 배상 판결로 갈등 커져
-문재인 일본 정부 겸허해져야 일침
뉴욕타임스가 일제시대 강제징용을 당한 이춘식씨의 배상 판결 이후 갈등이 증폭되고 있는 한일관계를 조명하는 기사를 실었다.
뉴욕타임스는 지난 13일 “The $89,000 Verdict Tearing Japan and South Korea Apart- 8만9천 달러 판결로 한일관계 갈등”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하고 일본의 식민지 지배 시절 강제징용 과 배상 문제의 역사적 배경을 다루었다.
뉴욕타임스는 한국 법원이 이춘식씨의 승소판결 후 PNR의 신일철주금(옛 신일본제철) 지분을 압류하여 일본 식민지 기간에 강제 노동을 당한 이천식(94세)씨를 배상하는 데 동의했다며 이 판결이 두 나라를 더욱 멀어지게 만들고 있다고 전했다.
뉴욕타임스는 비록 지난 수십 년에 걸쳐 양국 간의 고통스러운 역사를 두고 두 나라가 언쟁을 벌여왔지만 현재의 불화는 가장 심각한 것 중 하나일지도 모른다며 트럼프 행정부가 중재에 나서지 않는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꼬집어 미국 내의 우려스런 시선을 전하기도 했다.
뉴욕타임스는 이 판결에 이어 양국이 군사적 대립을 두고 격렬한 비난을 주고받았다며 양국 간의 갈등이 미군 기지가 배치된 한일 양국의 협력이 이 지역에서의 안정에 매우 중요하다고 보고 있는 많은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들었다고 보도했다. 뉴욕타임스는 한국 정부의 추산에 따르면 무려 7백8십만 명의 한국인들이 2차 세계대전 이전과 대전 기간 동안 일본 제국이 확장되던 시기에 강제 노동이나 군인으로 징집되었고 여자들은 일본군이 운용하던 사창가에 보내졌다고 강제징용 피해규모를 전하며 이들의 대부분은 아무 것도 받지 못했다고 전했다.
뉴욕타임스는 박정희 때 1965년 한일 외교 정상화 협정에서 일본은 3억 달러의 원조와 2억 달러의 차관을 제공했지만 대부분의 노동자들은 아무것도 받지 못했고 그 당시 한국을 통치하던 군사 독재 정권은 그 자금의 상당 부분을 고속도로, 댐, 공장을 건설하는 데 사용해서 한국의 산업화를 촉진시켰다고 되짚었다.
그리고 한국의 민주화가 이루어진 이후에야 많은 노동자들이 1980년대 후반과 90년대 초반에 이르러서야 많은 노동자들이 처음에는 일본 법정에서, 그리고 2000년 이후에는 한국 법정에서 손해배상을 청구하기 시작했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해 박정희 전두환 군사독재정권 시절에는 이에 대한 배상 청구가 불가능했음을 암시했다.
뉴욕타임스는 이어 그 동안의 재판과정을 전하며 이씨의 판결 이후 11월의 미쓰비시 중공업에 대한 배상 판결이 이루어졌고 도시바, 파나소닉 및 닛산을 포함한 70여 개 일본 기업이 연루된 최소 12건의 소송이 하급법원에 계류 중이며 이들 법원도 원고 승소판결을 내리기 시작했다고 달라진 한국의 판결 분위기를 전했다.
이에 대해 일본정부는 1965년 조약에서 식민지 시대에 발생한 모든 배상 청구는 ‘완전히, 그리고 최종적으로 해결되었다”고 기술한 문구를 지적하며 격분한 반응을 보였다며 아베 신조 총리는 이를 “불가능한” 판결이라 부르며 이를 시행하지 말 것을 한국에 경고했고, 만일 강행할 경우 경제보복을 암시했다고 일본의 반응을 보도한 뒤 “일본 정부는 이 문제에 대해 좀 더 겸허해져야 할 필요가 있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발언을 덧붙이기도 했다.
뉴욕타임스는 이어 강제징용 배상 문제를 둘러싼 재판의 진행과정을 상세하게 전한뒤 판결지연 의혹에 관하여 양승태 옛 대법원장이 구속되기도 했다고 전했다.(글, 이하로)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뉴욕타임스의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임옥
기사 바로가기: https://nyti.ms/2V2GN1N
The $89,000 Verdict Tearing Japan and South Korea Apart
8만9천 달러 판결로 한일관계 갈등
Lee Chun-shik, center, outside the Supreme Court in Seoul, South Korea, in October. A South Korean court ordered Nippon Steel to compensate Mr. Lee for forcing him to perform labor during Japan’s wartime occupation of Korea. Credit Credit Jeon Heon-Kyun/EPA, via Shutterstock
10월 대법원 밖 이천식(가운데) 씨. 한국 법원은 신일본 철강이 이 씨에게 일본의 한국 전시 점령기간 강제 징용에 대해 보상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By Choe Sang-Hun and Motoko Rich
• Feb. 13, 2019
SEOUL, South Korea — Until recently, few had heard of PNR, a company in South Korea that turns sludge from steel mills into iron. Then a 94-year-old man named Lee Chun-shik tried to settle an old debt.
한국, 서울- 제철소에서 나오는 슬러지를 철로 바꾸는 한국 소재 기업인 PNR을 아는 이는 최근까지 거의 없었다. 그런데 94세의 이천식씨가 오래된 빚을 결산하기를 원했다.
Mr. Lee grew up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and as a teenager, he was taken to Japan and forced to work for a steel maker, essentially as slave labor. Today, that steel maker is Japan’s largest,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with assets around the world, including $9.6 million worth of shares in PNR.
이 씨는 일본이 한국을 강점했던 시대에 성장했으며 10대 소년일 당시 일본으로 끌려가 한 제철소에서, 사실상 노예로 일하도록 강요 받았다. 현재 그 철강회사는 일본 최대의 신일철주금(영문명: Nippon Steel & Sumitomo Metal)으로서 PNR의 지분 960만 달러를 포함해 전 세계에 걸쳐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Mr. Lee asked a court in South Korea to seize some of those shares as compensation for what he endured so long ago — and the court did so last month.
이 씨는 자신이 오래 전에 당한 것에 대한 배상으로 그 기업의 주식 일부를 압류해 줄 것을 한국 법원에 요청했고 지난 달 법원은 그렇게 판결했다.
The ruling is now at the center of a bitter dispute that has called into question the foundation of diplomatic ties between America’s top allies in Asia, driving them apart even as Washington is trying to build a united front against China’s rise and a nuclear-armed North Korea.
그 판결은 이제 아시아에서 미국의 최고 우방국들 사이의 외교 관계의 근간을 의심케 하는 격한 논쟁의 중심에 놓이게 되었으며, 중국의 부상과 핵으로 무장한 북한에 맞서 연합 전선을 구축하려는 미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두 나라를 더욱 멀어지게 만들고 있다.
At issue is a question that has strained relations since the end of World War II: Has Japan accepted full responsibility for occupying Korea and mobilizing Koreans for its war effort?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로 양국 관계를 경색시켜 온 질문이다: 일본은 한국을 강점하고 일본의 전쟁에 한국인들을 동원한 것에 대한 모든 책임을 인정했는가?
Though the two nations have bickered for decades over their painful shared history, the current falling-out may be one of the most serious yet. And it comes as the Trump administration is seen in the region as inattentive and unwilling to act as mediator.
비록 지난 수십 년에 걸쳐 양국 간의 고통스러운 역사를 두고 두 나라가 언쟁을 벌여왔지만 현재의 불화는 가장 심각한 것 중 하나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트럼프 행정부가 이 지역에 관심을 두지도 않고 중재자 역할을 기꺼이 떠맡으려 하지 않는 듯 보이는 가운데 이 일이 벌어지고 있다.
A steel mill in Pohang, South Korea, run by the South Korean steel maker Posco, which has a joint venture known as PNR with the Japanese company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A South Korean court has agreed to seize shares in PNR from Nippon Steel to compensate Lee Chun-shik, 94, who was forced to work for Japan during the occupation. Credit Credit SeongJoon Cho/Bloomberg
한국 철강업체 포스코가 운영하는 한국 포항의 한 제철공장. 포스코는 또한 일본의 신일본제철&스미토모금속과 PNR로 알려진 합작회사를 가지고 있다. 한국의 법원은 PNR의 신일본제철 지분을 압류하여 일본 식민지 기간에 강제 노동을 당한 이천식(94세)씨를 배상하는 데 동의했다.
“Unless both sides pull their wisdom together to find a solution, this will get worse and could become a full-blown diplomatic war over history,” said Lee Won-deog, a scholar at Kookmin University in Seoul.
이원덕 국민대 교수는 “양국이 지혜를 모아 해법을 찾지 않는다면 이 문제는 더욱 악화돼 역사를 둘러싼 본격적인 외교전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The countries have also traded heated accusations over encounters between their armed forces. In December, Japan said a South Korean warship had locked targeting radar on a Japanese military plane. Seoul denied the charge, and accused Japan of sending low-flying planes over its naval ships.
한국과 일본은 또한 양국간 군사적 대립을 두고 격렬한 비난을 주고받았다. 지난 12월 일본은 한국 전투함이 일본 군용기에 타격 레이더를 조준했다고 발표했다. 한국 정부는 그 혐의를 부인했으며 일본이 해군 함정에 저공비행을 했다고 비난했다.
The spike in tensions has unsettled many who see cooperation between Japan and South Korea — which both host American bases — as vital to stability in the region.
긴장이 고조되면서, 미군 기지가 배치된 한일 양국의 협력이 이 지역에서의 안정에 매우 중요하다고 보고 있는 많은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들었다.
In remarks before leaving his post last month, Lt. Gen. Jerry P. Martinez, the commander of American forces in Japan, urged the countries to resolve their differences. “The way you overcome history is through dialogue, and you look to the future to try to make things better,” he said.
주일미군 사령관인 제리 P. 마르티네스 중장은 지난 달 퇴임 전, 양국 간의 이견을 해소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역사를 극복하는 방식은 대화를 통한 것이며 미래를 내다보고 상황을 더 좋게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As many as 7.8 million Koreans were conscripted as forced labor or soldiers during Japan’s imperial expansion before and during World War II, according to South Korean estimates. They toiled in mines and munitions factories across Asia and fought alongside Japanese troops. Women were sent to military-run brothels.
한국 정부의 추산에 따르면, 무려 7백8십만 명의 한국인들이 2차 세계대전 이전과 대전 기간 동안 일본 제국이 확장되던 시기에 강제 노동이나 군인으로 징집되었다고 한다. 징집된 사람들은 아시아 전역에 있는 광산과 군수 공장에서 힘들게 일했고 일본군과 함께 전투에 임했다. 여자들은 일본군이 운용하던 사창가에 보내졌다.
After the war, South Korea sought compensation on behalf of these workers. In the pact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two nations in 1965, Japan provided $300 million in aid and $200 million in loans.
전쟁이 끝난 후 한국은 이 노동자들을 대신하여 배상을 요구했다. 1965년 한일 외교 정상화 협정에서 일본은 3억 달러의 원조와 2억 달러의 차관을 제공했다.
But most workers got nothing. Instead, the military dictatorship governing South Korea at the time used the bulk of the funds to build highways, dams and factories, jump-starting the country’s industrialization.
그러나 대부분의 노동자들은 아무것도 받지 못했다. 대신에 그 당시 한국을 통치하던 군사 독재 정권은 그 자금의 상당 부분을 고속도로, 댐, 공장을 건설하는 데 사용해서 한국의 산업화를 촉진시켰다.
Park Chung-hee was president of South Korea in 1965, when it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His government used hundreds of millions of dollars in Japanese compensation for forced labor to build infrastructure. Credit Keystone, via Getty Images
박정희는 한일국교정상화가 이루어진 1965년 한국의 대통령이었다. 박정희 정권은 강제 노동의 대가로 일본이 지불한 배상금 수억 달러를 사회기반 시설을 건설하는 데 사용했다.
It was only after South Korea’s first democratic elections in the late 1980s and early ’90s that many workers began seeking damages, first in Japanese courts and since 2000 in South Korea.
한국 최초의 민주적 선거가 치뤄진 후인 1980년대 후반과 90년대 초반에 이르러서야 많은 노동자들이 처음에는 일본 법정에서, 그리고 2000년 이후에는 한국 법정에서 손해배상을 청구하기 시작했다.
The campaign reached a climax in October, when the Supreme Court of South Korea ordered Nippon Steel to pay $89,000 each to Mr. Lee and the families of three other plaintiffs — a landmark decision clearing the way for former laborers and their descendants to claim the local assets of Japanese companies. A lower court ordered the PNR shares seized in January.
이는 지난 10월 한국 대법원이 신일본철주금에 대해 이 씨와 다른 3명의 원고측 가족에게 각각 8만9천 달러를 지불하라고 판결함으로써 절정에 달했다. 이 판결은 과거 노동자들과 그들의 자손들이 일본 기업의 현지 자산을 배상으로 청구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 획기적인 결정이었다. 고등법원은 1월에 PNR 주식을 압류할 것을 명했다.
“I am happy with the ruling, but I am sad when I think of my colleagues,” Mr. Lee said, referring to the other plaintiffs, all of whom died during the long legal battle.
이 씨는 오랜 법정 싸움이 계속되는 동안 모두 유명을 달리한 다른 원고들을 가리키며 “그 판결은 기쁘지만, 동료들을 생각하면 슬프다”라고 말했다.
The Supreme Court followed up with two similar judgments in November against Mitsubishi Heavy Industries. At least a dozen cases involving 70 Japanese companies — including Toshiba, Panasonic and Nissan — are pending in lower courts, which have begun to rule in favor of the plaintiffs.
대법원은 이어서 지난 11월 미쓰비시 중공업에 대해 두 건의 비슷한 판결을 냈다. 도시바, 파나소닉 및 닛산을 포함한 70여 개 일본 기업이 연루된 최소 12건의 소송이 하급법원에 계류 중이며 이들 법원도 원고 승소판결을 내리기 시작했다.
Japan has responded with outrage, pointing to wording in the 1965 treaty that describes all claims arising from the colonial era as “settled completely and finally.” Prime Minister Shinzo Abe warned South Korea not to enforce what he called “impossible” judgments, hinting at economic retaliation if it does.
일본 정부는 1965년 조약에서 식민지 시대에 발생한 모든 배상 청구는 ‘완전히, 그리고 최종적으로 해결되었다”고 기술한 문구를 지적하며 격분한 반응을 보였다. 아베 신조 총리는 이를 “불가능한” 판결이라 부르며 이를 시행하지 말 것을 한국에 경고했고, 만일 강행할 경우 경제보복을 암시했다.
Protesters clashing with police officers in Seoul during a 1965 rally against the normalization of South Korea-Japan relations. Credit The Asahi Shimbun, via Getty Images
1965년 서울에서 한일관계 정상화 반대 집회에서 경찰관들과 충돌하고 있는 시위대.
South Korea’s president, Moon Jae-in, replied that Japan’s leaders were escalating tensions for political reasons. “The Japanese government needs to become more humble on this issue,” he said.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은 일본의 지도자들이 정치적인 이유로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고 대응했다. 문 대통령은 “일본 정부는 이 문제에 대해 좀 더 겸허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The stakes are high. A South Korean commission in the 2000s confirmed the identities of 149,000 living and deceased victims of forced labor, and scholars say some 300 Japanese companies in operation can be traced to those that exploited such workers.
판은 아주 크다. 2000년대에 한국의 한 위원회는 생존해 있거나 사망한 강제 징용 희생자의 신원을 14만9천 명으로 확인했고, 학자들은 현재 영업 중인 300여 개의 일본 기업이 그러한 노동자들을 착취한 것으로 추적될 수 있다고 말한다.
Most do not have major holdings in South Korea, but there is a risk Tokyo will respond with sanctions if any assets are redistributed, disrupting a trade relationship worth more than $82 billion in 2017.
대부분 회사들이 한국내에 주요 지분을 보유하고 있지 않지만 만일 모든 자산이 재분배될 경우에 일본은 양국 간의 2017년 8백2십억 달러 이상의 무역관계에 지장을 주는 제재로 대응할 위험이 있다.
In private, Japanese officials have argued the rulings cast doubt on South Korea’s trustworthiness. For many Japanese, they represent the latest attempt to punish their nation for actions for which it has already apologized and, in this case, paid reparations.
개별적으로 일본 관료들은 이번 판결은 한국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한다고 주장한다. 많은 일본인들에게 있어 이 판결들은 이미 일본이 사과했고, 이 경우에 있어서는 이미 배상금을 지불한 행위에 대해 일본을 처벌하고자 하는 가장 최근의 시도이다.
But for many South Koreans, the rulings represent vindication after a prolonged struggle against powerful forces, including their own government.
그러나 많은 한국인들에게 있어, 이번 판결은 자신들의 정부를 포함한 힘이 있는 세력에 대항해서 장기간의 투쟁을 해낸 후 마침내 지지를 얻어낸 것을 의미한다.
Despite the help of Japanese activists, the workers lost their lawsuits in Japan, where the courts ruled their claims were settled by the 1965 treaty. The courts in South Korea initially echoed that position.
일본 활동가들의 도움에도 불구하고 노동자들은 일본에서의 법정 싸움에서 졌다. 일본 법원은 그들의 배상 청구는 1965년 협정에 의해 지불되었다고 판결했다. 처음에는 한국 법원도 그러한 견해를 따랐다.
“The governments got what they wanted. The victims were victimized again,” said Lee Hee-ja, 75, a South Korean activist whose father died while forced to work for the Japanese military.
아버지가 일본군에 강제 노역으로 동원되어 사망한 한국 활동가 이희자(75세)씨는 “정부는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얻었다. 피해자들은 또 다시 희생됐다”고 말했다.
Lee Hee-ja, 75, a South Korean activist whose father died while forced to work for the Japanese military, at the Museum of Japanese Colonial History in Seoul. “The governments got what they wanted. The victims were victimized again,” she said. Credit Jean Chung for The New York Times
서울 일본식민역사관. 아버지가 일본군에 강제 노역으로 동원되어 사망한 한국 활동가 이희자(75) 씨. 그녀는 “정부는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얻었다. 피해자들은 또 다시 희생됐다”고 말했다.
But in 2004, the workers got a break — a court ordered the South Korean Foreign Ministry to release documents related to the talks behind the 1965 treaty. That led to the creation of a national commission, which concluded the treaty did not cover “illegal acts against humanity.”
그러나 2004년 노동자들에게 작은 소득이 있었다. 법원은 한국 외교부에 1965년 조약 배후의 회담 관련 문서를 공개하라고 명령했다. 그 판결은 국가 위원회 구성으로 이어졌으며, 위원회는 그 협정에 ‘비인도적 불법 행위’가 다뤄지지 않았다고 결론내렸다.
The commission acknowledged that much of the $300 million paid by Japan should have gone to the laborers, an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later distributed $547 million to 72,600 people.
그 위원회는 일본이 지급한 3억 달러 중 상당 부분이 노동자들에게 갔어야 했다는 점을 인정했으며 이후에 한국 정부는 7만2천6백 명에게 5억4천7백만 달러를 분배했다.
Still, many received nothing. “Our lives were crushed, but no one cared about us,” said Yi Won-soo, 87, who was forced to work at a Mitsubishi factory at 14.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은 아무것도 받지 못했다. 14세 때 미쓰비시 공장에서 강제노동을 당한 이원수(87세)씨는 “우리의 삶은 망가졌지만 아무도 우리에게 신경을 쓰지 않았다”고 말했다.
In 2012, the Supreme Court ruled the workers had the right to sue Japanese companies despite the 1965 treaty, and ordered lower courts to reconsider earlier verdicts. But the workers continued to face obstacles.
2012년 대법원은 노동자들이 1965년 협정과는 별도로 일본 기업을 고소할 권리가 있다고 판결하고, 하급법원에 앞선 판결을 재고하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강제 징용 노동자들은 계속해서 장애물에 직면했다.
The Foreign Ministry submitted an opinion to the Supreme Court warning of “irreversible catastrophe” if Japanese assets were seized, citing concerns that South Korea would be branded a nation that flouts international law and breaks promises.
외교부는 일본 자산을 압류할 경우, 한국이 국제법을 어기고 약속을 어기는 나라로 낙인이 될 것에 우려를 표명하며 ‘돌이킬 수 없는 대재앙’을 경고하는 의견을 대법원에 제출했다.
It took so long for the Supreme Court to rule again that some accused the former president, Park Geun-hye, of conspiring with the court to delay a ruling or find a way to overturn the 2012 decision.
대법원의 재심까지 너무 오랜 시간이 걸려, 어떤 이들은 박근혜 전 대통령이 판결을 지연시키기 위해 혹은 2012년 판결을 뒤집기 위한 방법을 찾기 위해 법원과 음모를 꾸미고 있다고 비난했다.
Prosecutors investigating that allegation indicted the former chief justice, Yang Sung-tae, on Monday.
그런 혐의를 수사하고 있는 검찰은 24일 양승태 전 대법원장을 기소했다.
Yi Won-soo, 87, was forced to work at a Mitsubishi factory at age 14. “Our lives were crushed, but no one cared about us,” he said. Credit Jean Chung for The New York Times
14세 때 미쓰비시 공장에서 강제노동을 당한 이원수(87세) 씨는 “우리의 삶은 망가졌지만 아무도 우리에게 신경을 쓰지 않았다”고 말했다.
When the court finally ruled for the workers in October, eight of the 14 sitting justices were newcomers appointed by Mr. Moon, who succeeded Ms. Park after her impeachment and removal on corruption charges in 2017.
마침내 대법원이 10월에 노동자들에 대한 판결을 내렸을 때, 14명의 현직 대법관들 중 8명은 2017년 탄핵과 부패 혐의로 파면 당한 박 대통령의 뒤를 이은 문 대통령에 의해 임명된 법관들이었다.
Mr. Moon has long supported the workers’ right to seek compensation from Japanese companies; nearly two decades ago, as a lawyer, he had represented one of the first workers’ groups to file suit.
문대통령은 노동자들이 일본 기업들로부터 손해배상을 청구할 권리를 오랫동안 지지해왔으며, 거의 20년 전에 소송을 제기했던 최초의 노동자 단체 중 한 곳을 변호사로서 대변한 바 있다.
As president, he has urged a diplomatic settlement.
대통령으로서 그는 외교적 해결을 촉구해왔다.
Some have proposed that the two governments establish a fund for victims, with contributions from Japanese companies as well as South Korean businesses that benefited from the aid provided by Japan in 1965.
어떤 이들은 한일 양국 정부가 일본 기업들 뿐 아니라 1965년 일본이 제공한 원조의 혜택을 본 한국 기업들로부터 기부금을 받아 피해자를 위한 기금을 설립할 것을 제안했다.
Mr. Abe’s government, however, has said Japan does not want to set up a fund or pay any more. Last month, a spokesman for Mr. Moon said a fund would be “unreasonable,” adding that the high court’s ruling should be respected.
그러나 아베 내각은 일본이 기금을 설립하거나 더 이상 돈을 지불하기를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지난달 문 대통령의 대변인은 기금은 “불합리적”이라고 말하며 고등법원의 판결은 존중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For now, that means the next move may be with the court in the South Korean port city of Pohang that seized the shares in PNR on Jan. 9. The court is expected to sell them to pay the $89,000 awarded to Mr. Lee, but his lawyers have not yet asked it to take that final step.
현재로선 이것은 1월 9일 PNR 지분을 압류한 한국의 항구도시 포항에서 다음 조치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법원은 이 씨에게 판결된 8만9천 달러의 상금을 지급하기 위해 그 지분을 매각할 것으로 예견되지만 그의 변호사들은 아직까지 그 마지막 조치를 취하도록 요청하지 않았다.
Ms. Lee with photos of other victims of forced labor who joined lawsuits at her urging and have since died. Credit Jean Chung for The New York Times
이 씨의 권유에 따라 재판에 합류하고 이후 사망한 다른 강제징용 희생자들의 사진과 함께하는 이 씨.
[번역 저작권자: 뉴스프로, 번역 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반드시 밝혀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