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Headline / CNN 대북특사 비건, 한국전쟁 종전 · 대북 불가침 선언 

CNN 대북특사 비건, 한국전쟁 종전 · 대북 불가침 선언 

CNN 대북특사 비건, 한국전쟁 종전 · 대북 불가침 선언 

– 전쟁은 끝났다. 종전 선언 가시화
– 주한미군 철수 전혀 논의된 바 없어
– 북미 양국 대화채널 간소화 해야 주장
– 트럼프, 북한 비핵화에 낙관적

CNN이 Top US envoy on North Korea: ‘We are not going to invade North Korea’ (미 대북 특사, “우리는 북한을 침공하지 않을 것이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지난 31일 있었던 미 국무부 대북특사 스티브 비건의 스탠포드 강연에 대해 보도했다.

스탠포드에서 스티브 비건은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전쟁을 끝낼 준비가 되어 있다”고 언급하며 “전쟁은 끝났고 이미 그렇게 되어 있다. 우리는 북한을 침공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북한 정권을 전복시키려 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또한 “한반도에서의 과거 70여년 간의 전쟁과 적대감을 이제 그만 잊을 때라는 점을 나는 전적으로 확신하며, 더욱 중요하게도 미국의 대통령이 이 점을 확신하고 있다. 이 분쟁이 더 이상 지속될 이유가 전혀 없다”라고 덧붙였다.

또한 북한에 대한 미국의 양보로 주한미군 철수에 합의할 것이라는 일부의 전망도 일축하면서 “우리는 이와 같은 협상 조건을 제시하는 그 어떠한 외교적 논의에도 참여하지 않는다. 전면 중단이다. 그러한 조건은 전혀 논의된 바가 없다”라고 말했다.”

“우리 측에서는 관계 전환,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 체제 구축, 그리고 완전한 비핵화라는 싱가포르 정상회담 목표들과 병행하여 북미 간에 신뢰를 쌓고 더 나은 진전으로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될 많은 조치를 논의할 준비가 되어 있다.” 비건의 말은 양국 간의 관계에서 이루어진 “진전”을 긍정적으로 보기 위한 노력에 대한 언급이었다.

비건은 “상응하는 조치”가 정확히 어떠한 조치인지 다음회담에서 북한과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하면서도, 만약 이 조치를 취한다면 김정은 위원장은 북한의 모든 플루토늄과 우라늄 농축시설을 해체하고 파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번 주에 공개된 정보기관의 평가에 따르면 북한의 “최종적이고, 완전하고, 검증된 비핵화”의 궁극적인 목표는 여전히 대체로 어려우며, 몇몇 소식통은 이달 초 김영철 북한 특사의 워싱턴 방문 중 이 같은 목표에 대한 논의는 “별 성과가 없었다”고 CNN에 전했다.

비건은 우리 앞에 놓여진 일들이 더 많은 것이 사실이라고 인정하면서도 정보기관의 이런 평가에 대해 정보가 알려지고 진행된 방식은 트럼프 대통령의 좌절감을 이해하기에 충분하다고 공감했다.

지난 수요일 트럼프는 그 전날 있었던 상원 청문회에서 댄코츠 정보국장과 지나 하스펠 CIA국장이 북한이 여전히 핵무기를 보유할 것이며, 핵탄두 미사일을 개발할 것이라고 말한 데 대해 반박하고, 질책한 바 있는데, 비건은 정보기관이 정보를 제시하는 방식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비건은 정보기관의 정보와 정책은 따로 분리될 수 없다고 말하면서 “만약 내가 같은 정보를 제시한다면, 우리는 미합중국에 현재 심각한 위협을 가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것이며, 따라서 우리가 우리 자신의 궤적을 바꿈으로써 북한 정책의 궤적을 바꿀 수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북한과 외교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훨씬 더 시급하다라고 말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5개월 전 취임한 이후 첫 번째 대중강연을 가진 비건은 최근 워싱턴DC에서 열린 북한 당국자들과의 회담에 대해 생산적이고 집중적이며 결과 지향적이라고 말하면서도 북한과의 실무접촉에 있어 양국 간 서한전달의 복잡한 과정과 공식적인 대화 등에 대한한 어려움을 토로하면서 좀 더 쉽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실무협상을 기획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지라도 트럼프에게는 여전히 북한의 비핵화 전망에 대해 비현실적인 낙관적 시각이 존재한다고 기사는 말하면서, 비건은 김정은과 트럼프는 전통적인 기대치에 구애를 받지 않는다는 점에서 보다 긍정적인 해석을 내놓으려 노력했다고 기사는 말한다.

비건은 또, 트럼프 대통령과 김위원장의 회담이 성공적이라면 양국 간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광범위한 조치들을 취하기로 했다고 밝히면서 지금이 기회이고 지금이 바로 그 순간이라고 강조했다.

또 북한이 핵과 미사일 시험장 일부를 파괴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에 대해 언급했으나 김정은 정권의 인권유린이나 유엔이 반인륜적 범죄라고 규정해 온 몇 가지 사례에 대해 직접적인 비난 대신 “우리는 개인의 권리와 인권에 대해 전혀 다른 시각을 가지고 있다” 고 말했다.

2월 말로 예정된 2차 정상회담에서 트럼프의 의제는 여전히 불투명하고, 비건은 대량 파괴 및 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한 포괄적 선언의 필요성을 언급했지만, 북한이 이번 회담에서 그 정보를 넘겨주겠다는 약속은 하지 않았으나 어느 시점에서는 그 정보를 받을 것이라고 기사는 전하고 있다. (글, 박수희)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CNN의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임옥

기사 바로가기: https://cnn.it/2sXq5ot

Top US envoy on North Korea: ‘We are not going to invade North Korea’

미 대북 특사, ‘우리는 북한을 침공하지 않을 것’

By Jennifer Hansler, Kylie Atwood and Zachary Cohen, CNN
Updated 0227 GMT (1027 HKT) February 1, 2019

Washington (CNN) The State Department’s top envoy on North Korea said Thursday that the US is not looking to invade that nation and seemed to strongly signal that the US would be willing to formally end the Korean War.

워싱턴(CNN) 목요일 미 국무부 대북특사는 미국이 북한을 침공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며, 미국이 공식적으로 한국전쟁을 종식시키고자 하는 의지가 있음을 강력히 시사하는 듯했다.

“President Trump is ready to end this war,” Steve Biegun said at Stanford. “It is over, it is done. We are not going to invade North Korea. We are not seeking to topple the North Korean regime.”

스탠포드에서 스티브 비건은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전쟁을 끝낼 준비가 되어 있다”고 언급하며 “전쟁은 끝났고 이미 그렇게 되어 있다. 우리는 북한을 침공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북한 정권을 전복시키려 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I am absolutely convinced, and more importantly 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is convinced, that it’s time to move past 70 years of war and hostility in the Korean peninsula. There’s no reason for this conflict to persist any longer,” Biegun added.

비건 특사는 “한반도에서의 과거 70여년 간의 전쟁과 적대감을 이제 그만 잊을 때라는 점을 나는 전적으로 확신하며, 더욱 중요하게도 미국의 대통령이 이 점을 확신하고 있다. 이 분쟁이 더 이상 지속될 이유가 전혀 없다”라고 덧붙였다.

The North Koreans have pushed for the US to commit to a formal peace treaty to end the decades-old conflict. North Korea’s Kim Jong Un and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pledged to bring a formal end to the Korean War during their landmark summit last April.

북한은 미국에 수십 년 된 분쟁을 종식시키기 위해 공식적인 평화 협정을 체결할 것을 촉구해 왔다.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과 남한의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4월 역사적인 정상회담에서 한국전쟁을 공식적으로 종식시키기로 확약했다.

In his remarks at Stanford, Biegun also knocked down the prospect that the US would agree to withdraw troops from South Korea as a concession to Kim — a move that some were concerned President Donald Trump might make.

스탠포드 강연에서 비건은 또한 미국이 김 위원장에 대한 양보로서 주한미군 철수에 합의할 것이라는 전망을 일축했다. 이는 일부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그럴 수 있다고 우려하던 전망이었다.

“We are not involved in any diplomatic discussion — full stop — that would suggest this tradeoff. It has never been discussed,” Biegun said.

비건은 “우리는 이와 같은 협상 조건을 제시하는 그 어떠한 외교적 논의에도 참여하지 않는다. 전면 중단이다. 그러한 조건은 전혀 논의된 바가 없다”라고 말했다.”

Biegun also said that Kim committed to dismantle and destroy all of North Korea’s plutonium and uranium enrichment facilities if the United States takes “corresponding measures.”

아울러 비건은 미국이 “상응하는 조치”를 취한다면 김 위원장이 북한의 모든 플루토늄과 우라늄 농축 시설을 해체하고 파괴할 것을 약속했다고 말했다.

“Exactly what these measures are are a matter I plan to discuss with my North Korean counterpart during our next set of meetings,” Biegun said.

또한 비건 특사는 “이러한 조치들이 정확히 어떠한 조치들인지가 바로 다음 회담에서 북한과 논의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From our side, we are prepared to discuss many actions that could help build trust between our two countries and advance further progress in parallel on the Singapore summit objectives of transforming relations, establishing a permanent peace regime on the peninsula, and complete denuclearization.”

“우리 측에서는 관계 전환,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 체제 구축, 그리고 완전한 비핵화라는 싱가포르 정상회담 목표들과 병행하여 북미 간에 신뢰를 쌓고 더 나은 진전으로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될 많은 조치를 논의할 준비가 되어 있다.”

Biegun’s remarks sought to shed a positive light on the “progress” made in relations between the US and the Hermit Kingdom. However, the ultimate goal of the “final, fully verified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still remains largely out of reach, according to an intelligence assessment released this week. Sources told CNN that the discussion around this goal during North Korean envoy Kim Yong Chol’s visit to Washington, DC, earlier this month also “got nowhere.”

비건의 말은 미국과 은둔 왕국의 관계에서 그간 이루어진 “진전”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기 위한 노력이었다. 그러나 이번 주에 공개된 정보기관의 평가에 따르면, 북한의 “최종적이고, 완전하고, 검증된 비핵화”의 궁극적인 목표는 여전히 대체로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몇몇 소식통은 이달 초 김영철 북한 특사의 워싱턴 방문 중 이 같은 목표에 대한 논의는 “별 성과가 없었다”고 CNN에 전했다.

“It is fair to say we have more work ahead of us than behind us,” Biegun acknowledged. However, he also took aim at the intelligence assessment, saying he “entirely (shares) President Trump’s frustration with the way this intelligence information was briefed and played out.”

비건은 “우리가 이제껏 해온 것 보다 우리 앞에 놓여진 일들이 더 많은 것이 사실이다”고 인정했다. 그러나 비건은 정보기관 평가에 대해 이러한 정보가 알려지고 진행된 방식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느끼는 좌절감을 전적으로 (공감한다)고 말했다.

On Wednesday, Trump publicly chastised his intelligence officials after they contradicted several of his foreign policy claims during a Senate hearing the day prior. Director of National Intelligence Dan Coats said that North Korea “is unlikely to completely give up its nuclear weapons.” His CIA counterpart, Gina Haspel, said Pyongyang “is committed to developing a long-range nuclear-armed missile that would pose a direct threat to the United States.”

수요일 트럼프는 전 날 있었던 상원 청문회에서 정보기관 관계자들이 몇몇 외교정책에 대한 자신의 주장을 반박한 후 그들을 질책했다. 댄 코츠 국가정보국장은 북한이 “핵무기를 완전히 포기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말했다. 지나 하스펠 CIA 국장은 북한이 “미국에 직접적인 위협이 될 장거리 핵탄두 미사일을 개발하는 일에 전념하고 있다”고 말했다.

Biegun did not dispute the veracity of what Haspel and Coats said but took issue with the way the information was presented.

비건은 하스펠과 코츠가 한 발언의 진실성을 논박하지는 않았지만 그 정보가 제시된 방식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다.

“So my frustration isn’t with the accuracy of the information, it’s how it’s presented and how it’s interpreted,” he said. “You cannot divorce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from the policy.”

비건은 “나의 좌절감은 정보의 정확성이 아니라, 정보가 전달된 방식, 그리고 그 정보가 어떻게 해석되는가 하는 것에 있다”고 말하며 “정보 기관의 정보와 정책을 따로 분리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If I were presenting the same information, I would say that we have the potential here for a grave threat to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refore it is all the more urgent that we engage diplomatically with North Korea to see if we can change the trajectory of their policies by changing the trajectory of our own,” Biegun said.

비건은 “만약 내가 같은 정보를 제시한다면, 나는 여기 우리 미합중국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으며, 따라서 우리가 우리 자신의 궤적을 바꿈으로써 북한 정책의 궤적도 바꿀 수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북한과 외교적으로 접촉하는 일이 훨씬 더 시급하다고 말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Biegun’s remarks, delivered as he prepares to travel to Seoul for meetings with North and South Korean officials, were his first public address since taking the job five months ago.

남북 당국자들과의 회담을 위해 서울 방문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나온 비건의 발언은 5개월 전 취임한 이후 그의 첫 번째 대중 강연이었다.

That job has not been easy. He described recent meetings in Washington, DC with North Korean counterparts as “productive, focused, and results-oriented.” Yet Biegun’s working-level meetings with North Koreans have been hard to get on the calendar, with the North Koreans being non-committal. Biegun noted that he has made contact with North Koreans at every level since taking the job, but cited the “convoluted” process of getting messages between the two nations and the need to make official communications easier.

그의 임무는 쉽지 않았다. 비건은 워싱턴 DC에서 열린 북한 당국자들과의 최근 회담들이 “생산적이고 초점이 명확했고 결과 지향적이었다고 묘사했다. 그러나 비건의 북한과의 실무접촉은 북한이 확실한 입장을 밝히지 않아 일정을 잡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비건은 취임 이후 다방면으로 북한과 접촉해 왔으며, 양국 간의 서한 전달의 아주 “복잡한” 과정과 공식적인 대화를 보다 쉽게 해야 할 필요성을 말한 바 있다.

The direct and holistic ownership that Kim and Trump have assumed over the negotiations has meant that even when there are problems setting up lower level negotiations, Trump has remained starry-eyed about the prospect of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Biegun referenced that approach in his speech, but sought to give it a more positive interpretation given that neither Kim nor Trump are constrained by “traditional expectations.”

김정은과 트럼프가 협상에 있어 직접적이고 총체적인 권한을 가진 사실은 실무협상을 기획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때라도 트럼프는 여전히 북한의 비핵화 전망에 대해 비현실적인 낙관적 시각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했다. 비건은 강연에서 그러한 접근 방식을 언급했지만, 김정은과 트럼프 모두 “전통적인 기대치”에 구애를 받지 않는다는 점에서 보다 더 긍정적인 해석을 제시하려 했다.

“President Trump and Chairman Kim have decided to pursue a top-down approach with a breadth of actions that — if successful — will fundamentally transform relations between our two nations,” Biegun said.

비건은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만일 성공한다면-양국 간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하향식의 광범위한 조치들을 취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Now is the opportunity, and now is the moment. The United States is ready to turn the vision outlined by President Trump and Chairman Kim at Singapore into reality,” he added.

아울러 비건은 “지금이 기회이고 바로 지금이 그 순간이다. 미국은 싱가포르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윤곽을 잡은 큰 뜻을 실현시킬 준비가 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Biegun heralded the “preliminary steps” North Korea has taken to destroy some of their nuclear and missile test sites. Yet in more than a year since the Trump administration and North Korea began engaging in diplomacy, North Korea has not taken any tangible action that is said to have impacted the capability of their nuclear program.

비건은 북한이 핵과 미사일 실험장 일부를 파괴하기 위해 취한 “선제적 조치”를 언급했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와 북한이 외교 관계를 맺기 시작한 지 1년이 넘도록 북한은 북한의 핵 프로그램 능력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알려진 눈에 보이는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Biegun also did not voice a direct condemnation of the human rights abuses of Kim’s authoritarian regime — some of which the United Nations have identified as crimes against humanity.

또한 비건은 김정은 독재 정권의 인권 유린, 유엔이 반인륜적인 범죄라고 규정해온 몇 가지 사례에 대해 직접적으로 비난하지 않았다.

“It is an understatement to say that our two systems are very different,” he said. “We have dramatically different views on individual rights and on human rights.”

비건은 “우리 두 시스템이 매우 다르다고 말하는 정도로는 모자라다”며, “우리는 개인의 권리와 인권에 대해 판이하게 다른 시각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Trump’s agenda during the second summit with Kim Jong Un, which they plan to take place a the end of February, is still not clear. Biegun cited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declaration” of their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missile programs but he made no promises that the North Koreans would hand over that information at the next summit. Instead he said the US would get that information “at some point.”

2월 말로 예정된 김정은과의 2차 정상회담에서 트럼프의 의제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비건은 대량 파괴 및 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한 북한의 “포괄적인 선언”의 필요성을 언급했지만 북한이 다음 2차 정상회담에서 그 정보를 넘겨주리라고 확약하지는 않았다. 대신에 그는 미국이 “어느 시점”에 이르러 그 정보를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번역 저작권자: 뉴스프로, 번역 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반드시 밝혀 주십시오.]

 

 

 

소셜 댓글
뉴스프로 후원하기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