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Headline / 한국전쟁 전후의 민간인 학살의 진상

한국전쟁 전후의 민간인 학살의 진상

한국전쟁 전후의 민간인 학살의 진상

-유해발굴 전문가 박선주 교수 초청강연

편집부

해방 후 한국전쟁 전후 최대 1백만 명 이상으로 추산되는 민간인 학살 실태를 밝히는 강연회와 희생자 추도모임이 해외에서는 처음으로 1월 19일(토) 저녁 7시 뉴욕 플러싱 타운홀에서 개최된다.

강사는 충북대학교 명예교수 박선주 박사로 2016년 노근리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연세대학교 한국사, 고고학 박사와 버클리대학 체질인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충북대학교 인문대학학부장과 박물관장을 역임했다. 또한 국방부 6.25 전사자 유해발굴단장, 일제강점기 민간인 강제징용 유해발굴단장, 정부 과거사위원회 민간인희생자 유해발굴단장, 안중근 의사 유해발굴 추진단장,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유해발굴단 공동대표 발굴단장, 세월호 희생자 유해발굴과 감식지도를 담당한 이 방면의 세계적 권위자다.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학살은 그동안 권위주의적 정부에서 거의 감추어져 왔다. 1946년 대구 10.1항쟁부터 시작된 민간인학살은 제주도 4.3 민중항쟁과 여순항쟁으로 이어졌으며 전쟁전후 보도연맹 가입자와 ‘부역혐의자’들을 재판절차 없이 집단 처형했다.

4.19혁명 후 제4대 국회에서 진상조사를 실시해 피해자 접수를 받고 희생자가 114만 명으로 추산된다고 발표되었으나 5.16 쿠데타로 중단되었다. 그동안 유족들은 ‘좌익’으로 취급되어 연좌제에 의해 공무원과 장교임용, 취업 등에 절대적 불이익을 받아 왔다.

노무현 정부 당시 2005년12월 ‘대한민국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가 국가기관으로 발족해 4년 2개월 간 11,172건 조사를 마무리하고 집단매장지로 알려진 수백 군데 가운데 도시개발과 공장건설 등으로 발굴이 불가능한 곳을 제외한 168개 장소 중 11곳의 유해발굴을 완료했다.

미진한 유해발굴 등으로 위원회 활동기간 연장 필요성이 절실했으나 이명박 정부 당시 2010년 6월30일 기한종료로 막을 내렸다. 현재 전국 유족회는 정부와 국회에 과거사위원회 재개를 촉구하고 있다.

이번 강연회는 미국거주 일부 유족과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에 뜻을 함께 하는 사람들의 모임인 ‘미주 진실화해 모임’(준) 주최로 미주 흥사단 뉴욕지부, 민족문제연구소 뉴욕지부, 민중당 뉴욕연대, 재미동포전국연합회 뉴욕 뉴저지 지회, 희망세상 뉴욕모임이 공동 후원한다. 강연회는 희생자 추모행사를 겸하며 관심 있는 사람 누구나 환영한다. 무료이며 간단한 저녁도 준비되어 있다.

장소 Flushing Town Hall 137-35 Northern Blvd, Flushing, NY 11354 (718) 463-7700 행사안내와 문의, (516) 302-7530 (917) 916-9281 워싱턴 DC (703) 409-3897

[저작권자: 뉴스프로, 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반드시 밝혀 주십시오.]

소셜 댓글
뉴스프로 후원하기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