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문재인 대통령 9월 18일 김정은 위원장 방문 평양행
– 폼페이오 방북 취소로 교착된 남북관계 개선에 직접 나서
– 미국정부, 비핵화 가시화 전 남한의 너무 많은 지원 경계
뉴욕타임스가 Kim Jong-un to Host South Korea’s Leader Starting Sept. 18 이라는 헤드라인으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다시 만나기로 한 사실을 보도했다.
싱가포르 회담이후 북미 양국 간 비핵화 협상이 별다른 진전을 보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주 계획되었던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평양 방문을 갑작스레 취소했다. 이번으로 세 번째가 될 남북 정상의 만남은,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양측의 노력이 평양과 워싱턴의 교착상태로 인해 위태롭게 될 수도 있는 상황에 대한 타개책이라 볼 수 있다.
기사는, 김 위원장이 지금까지 모든 핵무기를 제거하는 것이 자신의 계획임을 암시해오면서, 미국이 남한과 벌이는 군사훈련에 대한 ‘핵 위협’의 완전제거 역시 비핵화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요구를 반복하고 있다고 말하면서, 그러나 김 위원장 측은 트럼프 행정부가 계속 주장해 온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주요 조치, 즉 핵무기와 핵 물질의 전목록 제출과 같은 조치를 취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히지 않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기사에 따르면, 문대통령은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북한과의 연락사무소 개소 등 이후의 관계개선 절차를 준비해오고 있었으나, 폼페이오 장관의 방문취소로 계획에 차질을 빚게 됐다. 남한 열차를 북한으로 보내 북한 철도 위에서 운행시키려던 한국의 계획도 서울 주재 미군 사령관들에 의해 중단됐다. 또, 문대통령은 북한의 철도 및 도로 현대화를 지원하기로 약속했으나 미국 정부는 비핵화가 가시적 절차로 드러나기 전 남한이 북한에 너무 많은 지원을 하는 것에 대해 경계하고 있다. (글, 박수희)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뉴욕타임스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s://nyti.ms/2M1R8G9
Kim Jong-un to Host South Korea’s Leader Starting Sept. 18
문재인 대통령, 9월 18일 김정은 위원장 방문
By Choe Sang-Hun
Sept. 5, 2018
Chung Eui-yong, left, South Korea’s national security adviser, with the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in Pyongyang, North Korea, on Wednesday. Credit Credit South Korea Presidential Blue House, via Reuters
수요일 북한 평양에서 김정은 위원장과 함께한 정의용(왼쪽) 한국 국가안보실장
SEOUL, South Korea — North Korea’s leader, Kim Jong-un, said he wanted to rid the Korean Peninsula of nuclear weapons when he met with a special envoy from South Korea, the North’s official media reported on Thursday, and the two sides set Sept. 18 to Sept. 20 as the dates for a summit meeting between leaders of the two countries.
한국, 서울 – 목요일 북한의 공식 매체는 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남한 특사단 대표와 만난 자리에서 한반도에서 핵무기를 폐기하길 원한다고 말했다고 전했으며, 남북한은 9월 18일부터 20일까지 남북한 정상 간의 정상회담을 갖기로 결정했다.
Mr. Kim met with Chung Eui-yong, South Korea’s national security adviser and special envoy, who visited Pyongyang on Wednesday, hoping to help break the deadlock in the talks between the North and the United States over dismantling the North’s nuclear weapons program.
김 위원장은 수요일 평양을 방문한 한국의 국가안보실장이자 특사인 정의용 실장을 만나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을 해체하는 것을 두고 교착 상태에 빠진 북-미 간의 대화가 이어지기를 희망했다.
On Thursday, the North’s official Korean Central News Agency said that Mr. Kim reaffirmed his commitment to denuclearize North Korea. But it fell short of clarifying whether Mr. Kim was ready to take major steps toward denuclearizing his country, such as submitting a full inventory of nuclear weapons and fissile materials, that the Trump administration has insisted on.
목요일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북한의 비핵화에 대한 자신의 확고한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방송은 김 위원장이 트럼프 행정부가 계속 주장해 온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주요 조치, 즉 핵무기와 핵 물질의 전목록 제출과 같은 조치를 취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Noting that it is our fixed stance and his will to completely remove the danger of armed conflict and horror of war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turn it into the cradle of peace without nuclear weapons and free from nuclear threat, he said that the North and the South should further their efforts to realize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North Korean news agency said, referring to Mr. Kim.
조선 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을 가리키며 “지도자께서 한반도에서의 무력 분쟁과 전쟁 공포의 위험을 완전히 제거하고, 한반도를 핵무기 없는 평화의 요람으로 만들고 핵 위협으로부터 자유롭게 하는 것이 우리의 확고한 입장이자 지도자의 의지라고 강조하시며 조선과 남조선이 한반도의 비핵화를 실현하기 위해 양국의 노력을 더 전진시켜야 한다고 말씀하셨다”고 보도했다.
When Mr. Kim met with President Trump on June 12, the two leaders pledged to establish “new” relations and build “a lasting and stabl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while Mr. Kim agreed to “work toward complete denuclearization.”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6월 12일 만났을 당시 양국 정상은 “새로운” 관계를 구축하고 한반도에서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평화 체제”를 만들 것을 확약했으며, 김 위원장은 “완전한 비핵화를 향해 노력할 것”에 동의했다.
But their diplomats’ negotiations have since stalled over differences on how to carry out that vaguely worded agreement. Mr. Trump, who had repeatedly boasted that he largely resolved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abruptly canceled Secretary of State Mike Pompeo’s planned visit to Pyongyang last week, citing a lack of progress in the denuclearization talks.
그러나 이후 양국의 외교 협상은 모호하게 쓰여진 그 합의를 어떻게 실행에 옮길 것인지에 대한 의견 차이로 인해 별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었다. 북한 핵 위기를 대부분 해결했다고 거듭 자랑하던 트럼프 대통령은 비핵화 협상에 진전이 없다며 지난 주에 계획되었던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평양 방문을 갑작스럽게 취소했다.
In an attempt to jump-start the stalled talks, the two countries agreed that Mr. Kim and South Korea’s leader, Moon Jae-in, would hold a summit meeting this month in Pyongyang, the North Korean capital. It will be the third meeting between the two leaders.
교착상태에 빠진 회담을 재개하기 위한 시도로, 양국은 김 위원장과 한국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의 수도 평양에서 이번 달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데에 합의했다. 이번 회담은 남북한 정상 간의 세 번째 만남이 될 것이다.
In remarks reported by the North Korean news agency, Mr. Kim offered few clues on how he would achieve the denuclearization of the peninsula, except indicating that his idea included removal of all nuclear weapons.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한 것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한반도 비핵화를 어떻게 이루고자 하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실마리를 제시하지 않았지만 모든 핵무기를 제거하는 것이 자신의 생각에 포함되어 있음을 암시했다.
But Mr. Kim also repeated his country’s longstanding demand that denuclearization must also include the removal of any “nuclear threat,” a phrase the North often uses to refer to American military exercises with South Korea and in the region.
그러나 김위원장은 또한, 북한이 한반도 지역에서 미국이 벌이는 남한과의 군사 훈련을 언급하기 위해 종종 사용하는 표현인 “핵 위협”의 완전 제거 역시 비핵화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북한의 오래된 요구를 반복했다.
When Mr. Chung met with the North’s leader, his entourage included Suh Hoon, the director of South Korea’s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정 안보실장이 북한의 지도자와 만났을 때, 그의 수행원 중에는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포함되어 있었다.
Mr. Chung and Mr. Suh helped facilitate some of the key recent developments in the diplomacy surrounding the North and its nuclear arms. During their prior trip to Pyongyang, which took place in March, they dined with Mr. Kim and laid the groundwork for his first meeting with Mr. Moon, which took place in April at the border village of Panmunjom.
정 안보실장과 서 국가정보원장은 북한과 핵무기를 둘러싼 외교에서 최근의 핵심적인 발전을 용이하게 하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 3월에 있었던 평양 방문 기간 동안 그들은 김 위원장과 만찬을 가지며 국경 지역인 판문점에서 지난 4월 진행된 문 대통령과의 첫 회담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
The South Korean officials later visited Mr. Trump at the White House, where they relayed Mr. Kim’s proposal for a meeting between the two leaders — which Mr. Trump accepted on the spot.
한국의 당국자들은 이후 백악관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을 만났고, 두 정상들 사이의 회담을 위한 김 위원장의 제안을 전달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그 자리에서 이를 수락했다.
But the recent cancellation of Mr. Pompeo’s visit was a setback for Mr. Moon, whose hopes for improving the inter-Korean relationship could be jeopardized by a deadlock between Pyongyang and Washington.
그러나 최근 폼페이오 장관의 방문 취소는 문 대통령의 계획에 차질을 빚었으며, 남북 관계 개선을 위한 그의 희망이 평양과 워싱턴의 교착 상태로 인해 위태롭게 될 수도 있는 상황에 처했다.
Mr. Moon had to delay the opening of a liaison office in the North after Mr. Pompeo’s trip was canceled. Last month, American military commanders in Seoul stopped South Korea’s plan to send a train across the inter-Korean border and run it on a North Korean railway, to test the rails’ condition.
문 대통령은 폼페이오 장관의 방문 취소 이후 북한의 연락 사무소 개소를 연기해야 했다. 지난 달 서울의 미군 사령관들은, 북한의 철도 상태를 시험하기 위해 남한의 열차를 북한으로 보내 남북 국경을 가로 질러 북한 철도 위에서 운행시키고자 한 한국의 계획을 중단시켰다.
Mr. Moon has promised to help modernize the North’s railways and roads as part of his engagement strategy, but Washington is wary of South Korea giving the North too much before it has made tangible progress toward denuclearization.
문 대통령은 관여 전략의 일부로 북한의 철도 및 도로 현대화를 지원하겠다고 약속했으나 미국 정부는 비핵화가 가시적인 절차로 드러나기 전 남한이 북한에 너무 많이 주는 것에 대해 경계하고 있다.
[번역 저작권자 : 뉴스프로, 번역 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반드시 밝혀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