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I 南 자본이 계층의 맨 위, 北 인민이 그 중심에
-탈북자 인터뷰, 원가 60센트 신발 3센트에 인민에 공급
-장성택은 나쁜 인간, 북한 경제 파탄 냈다
-김정은 현지 지도, 당의 결정에 따라 움직여
UPI 통신이 한 탈북자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남과 북의 전혀 다른 경제 구조에 대한 기사를 게재해 주목을 받고 있다.
UPI는 지난 달 31일 ‘Defector: Jang Song Thaek wrecked North Korea’s economy-탈북자: 장성택은 북한 경제를 파탄 냈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북과 남의 경제구조에 대한 차이, 장성택 처형에 대한 실상, 남북 협력 시대의 상호 이해에 대한 것들을 짚었다.
이 기사는 남북 협력 시대를 앞두고 북의 경제와 사회구조를 이해하지 못하면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우려를 내놓으며 서로 잘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UPI는 이 기사에서 장성택의 처형에 대해 장성택이 북한의 경제를 파탄 냈으며 나쁜 인간이라는 탈북자의 인터뷰를 그대로 실어 충격을 주고 있다.
기사는 장성택이 그 동안 남쪽과 서방에 알려진 것처럼 권력다툼에서 밀려난 것이 아니라 ‘장성택은 공장의 놀고 있는 기계들이 해체되고 팔려나가던 1994년-1998년 북한의 악명 높은 대기근 당시 혼자 부를 축적한 “나쁜 인간”’이라는 탈북자 김씨의 말을 소개하며 장성택은 경제 파탄과 부정 축재에 대한 책임을 지고 처형당했으며 ‘장성택이 조카 김정은에 의해 사형을 선고 받았을 당시 북한 인민들 역시 놀라워했을지 모르나 충격을 받은 것은 아니었다.’고 전했다.
또한 장성택이 왜소증을 가진 척추질환 환자들을 사회에서의 그들의 존재가 “사회주의에 나쁘다”고 믿었기 때문에 이들은 집단 수용소로 보내졌다는 폭로도 소개했다.
이 인터뷰 기사는 북한의 경제가 ‘인민중심’의 경제로 ‘남한의 자본주의 경제가 많은 북한 사람들의 머리로는 이해가 가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북한의 경제 또한 외부인들을 어리둥절하게 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전하며 북한에서 이익은 경제 우선 순위에서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가령 북한에서는 생산하는 데 60센트 비용이 드는 신발 한 켤레가 인민들에게 3센트에 공급된다는 탈북자 김 씨의 말을 예로 들었다.
특히 눈여겨 볼만한 대목은 남측 언론들이 예민하게 보도하는 김정은 위원장의 현장지도방문이 경영진 결정의 산물도 독재정치의 행동도 아니며 “김 위원장은 당의 지시에 따라 현장을 방문한다”고 말하며 “김 위원장은 [기관의] 허락을 받고 그 다음에 현장 지도를 할 의무가 생긴다”고 김씨의 말을 빌어 전했다. (글, 이하로)
다음은 UPI통신의 기사 전문을 뉴스프로가 번역한 것이다.
번역 감수 :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s://bit.ly/2MxvM4k
Defector: Jang Song Thaek wrecked North Korea’s economy
탈북자: 장성택은 북한 경제를 파탄 냈다
By Elizabeth Shim
In this 2013 photo, a South Korean man watches TV news showing North Korean politician Jang Song Thaek as he appears before a military tribunal. A defector in the South says North Korea’s internal politics and economy are misunderstood. File Photo by Jeon Heon-kyun/EPA
2013년 이 사진 속에서 한 한국 남성이 군사재판소에 출두한 북한 정치인 장성택을 보여주는 TV 뉴스를 시청하고 있다. 한국에 사는 한 탈북자는 북한의 내부 정치와 경제가 잘못 알려져 있다고 말한다.
SEOUL, July 31 (UPI) — North Korea’s economy is structured so differently from the South’s that its capitalist economy would be “unimaginable” to most North Koreans, according to a defector who once claimed membership in the Korean Workers’ Party.
7월 31일 서울 (UPI) – 한 때 조선 노동당 당원이었다고 주장하는 한 탈북자의 말에 따르면, 북한의 경제는 남한과 아주 다른 구조이기 때문에 남한의 자본주의 경제는 대부분의 북한 사람들에게는 “상상할 수도 없는 것”이다.
The former North Korean citizen, identified only by his surname Kim, served in the North Korean air force before he resettled in the South. He said important features of Pyongyang’s planned economy are gravely misunderstood in the South, as are incidents like the execution of Kim Jong Un’s uncle-in-law Jang Song Thaek.
김이라는 성으로만 자신을 밝힌 이 과거 북한 주민은 남한에 재정착하기 전에 북한 공군에 복무했다. 북한의 계획경제의 중요한 특징들은, 김정은의 고모부인 장성택의 처형과 같은 사건들과 마찬가지로 남한에서 매우 잘못 알려져 있다고 그는 말했다.
“South Korean analysts who study North Korea are bad, because they blame the command economy for the Great Famine,” the former North Korean pilot recently said.
과거 북한 조종사였던 그는 “북한을 연구하는 한국의 분석가들은 틀렸다. 그들은 대기근을 중앙통제경제의 탓이라고 한다”고 최근 말했다.
The defector said drastic actions from powerful members of the North Korean regime, including Jang, were responsible for the shutdown of North Korean industry when millions starved.
그 탈북자는 수백 만 명이 굶주리는 상황에서 장성택과 같은 북한 정권의 권력자들이 취한 극단적인 조치들이 북한 산업의 쇠락에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In South Korea, capital sits at the top of the hierarchy,” Kim said. “In North Korea, people are at the center. In South Korea, without capital, you can’t do anything. In North Korea, people work for each other.”
김 씨는 “남한에서는 자본이 계층구조에서 맨 위에 있다”며 “북한에서는 인민이 그 중심에 있다. 남한에서는 자본이 없으면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북한에서는 인민들이 서로를 위해 일한다”라고 말했다.
Executed Jang Song Thaek a ‘bad person’
처형된 장성택은 ‘나쁜 인간’
When North Korea publicly disclosed the execution of Kim Jong Un’s uncle-in-law in 2013, the news sent shockwaves around the world.
북한 당국이 2013년 김정은의 고모부 장성택의 처형을 공개했을 때 그 소식은 전세계에 큰 파장을 불러 일으켰다.
But according to defector Kim, Jang was a “bad person” who enriched himself during North Korea’s notorious 1994-98 Great Famine, when idle machines in factories were torn apart and sold.
그러나 탈북자 김 씨에 의하면 장성택은 공장의 놀고 있는 기계들이 해체되고 팔려나가던 1994년-1998년 북한의 악명 높은 대기근 당시 혼자 부를 축적한 “나쁜 인간”이라고 했다.
Jang was responsible for selling North Korean coal to China, even though the energy source was needed domestically. Coal mining productivity had plunged to one-fifth of pre-famine levels, but Jang exported the resource to China, Kim said.
에너지 자원이 국내에서 필요할 때인데도 장성택은 북한의 석탄을 중국에 팔아 넘긴 책임이 있다. 석탄 채굴 생산량이 대기근 이전 수준의 5분의 1로 곤두박질쳤지만 장성택은 석탄을 중국에 수출했다고 김 씨는 말했다.
North Koreans may also have been surprised, but not shocked, when Jang was sentenced to death by his nephew.
장성택이 조카 김정은에 의해 사형을 선고 받았을 당시 북한 인민들 역시 놀라워했을지 모르나 충격을 받은 것은 아니었다.
Jang, who secretly controlled the levers of power in the North for decades, ordered the rounding up of citizens with spinal disorders that cause dwarfism, Kim said.
수십 년 동안 북한 권력을 비밀리에 좌지우지했던 장성택은 왜소증을 초래하는 척추질환을 앓고 있는 주민들을 체포하라는 명령을 내린 바 있다고 김 씨는 말했다.
The victims were sent to concentration camps because Jang believed their presence in society was “bad for socialism.”
장성택은 사회에서의 그들의 존재가 “사회주의에 나쁘다”고 믿었기 때문에 이들은 집단 수용소로 보내졌다.
The men and women were “secretly kidnapped,” around the time of the 1976 Korean axe murder incident at the border. Families would find them unexpectedly missing when they returned home. North Korea at the time reeled from the shock of the Jang-led mission to round up the disabled, Kim said.
이들 남녀들은 1976년 판문점 도끼 살인 사건이 있던 즈음에 “비밀리에” 납치되었다. 가족들이 집에 돌아왔을 때 예기치 않게 그들은 사라지고 없었다. 당시 북한은 장애인들을 한곳에 따로 모으는 장성택의 사업이 주는 충격으로 동요했다”고 김씨는 말했다.
A ‘people-centered’ economy
‘인민 중심’ 경제
Just as the South’s capitalist economy could leave many North Koreans scratching their heads, North Korea’s economy may also baffle outsiders.
남한의 자본주의 경제가 많은 북한 사람들의 머리로는 이해가 가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북한의 경제 또한 외부인들을 어리둥절하게 할 수 있다.
Profits are the least of economic priorities in North Korea, the defector said, where a pair of shoes that costs 60 cents to produce would be supplied to the population at 3 cents.
탈북자 김 씨는 북한에서 이익은 경제 우선 순위에서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한다고 말했다. 가령 북한에서는 생산하는 데 60센트 비용이 드는 신발 한 켤레가 인민들에게 3센트에 공급된다고 말했다.
“In North Korea that would be jackpot pricing. In a capitalist economy that would be going for broke,” Kim said.
김 씨는 “북한에서 그 가격은 거액이겠지만 자본주의 경제에서 이는 파산을 불러올 것이다”라고 말했다.
The notion of an economy that benefits people also means Kim Jong Un is not the kind of dictator outsiders have assumed him to be.
인민들에게 이익이 돌아가게 하는 경제 관념은 또한 김정은이 외부인들이 추측하는 독재자의 유형이 아님을 말해준다.
The North Korean leader’s field guidance visits are neither the product of an executive decision nor autocratic whimsy.
북한 지도자의 현장 지도 방문은 경영진 결정의 산물도 독재정치의 행동도 아니다.
“Chairman Kim conducts field guidance according to Party direction,” the defector told UPI. “Kim receives [institutional] permission, and then he has a duty to conduct field guidance.”
탈북자 김 씨는 “김 위원장은 당의 지시에 따라 현장을 방문한다”고 말하며 “김 위원장은 [기관의] 허락을 받고 그 다음에 현장 지도를 할 의무가 생긴다”고 UPI에 말했다.
Looking to the future
미래 전망
While South Koreans more familiar with profit-driven economic development learn about North Korea, experts on inter-Korea connectivity are preparing for the future.
이익 지향 경제 개발에 더 친숙한 남한 사람들이 북한에 대해 배우고 있는 동안 남북한 연계에 관한 전문가들은 미래를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Min Kyung-tae, a North Korea specialist at Seoul-based Yeosijae, Future Consensus Institute, told UPI the South Korean government ought to look beyond the manufacturing model of economic development in the long term.
서울에 기반을 둔 국가미래전략연구소 여시재의 민경태 북한 전문가는 한국 정부가 장기적으로 제조업 경제개발 모델 너머를 보아야 한다고 UPI에 말했다.
Seoul shut down Kaesong, a jointly operated factory park in North Korea in February 2016, after a former South Korean administration claimed Kaesong proceeds were being used to fund North Korea’s weapons programs.
이전 한국 정부는 개성공단 수익금이 북한의 무기 프로그램의 자금으로 이용되고 있다고 주장했고 그 후 2016년 2월 북한에 있는 개성공단을 폐쇄했다.
“For the future we need projects involving advanced technology, next-generation industr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in said, referring to the phase of development when robotic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elf-driving cars enter mainstream society.
민경태 북한 전문가는 로보트 공학, 인공지능 및 자가 운전 자동차가 주류 사회에 진입하는 발전 단계를 가리키며 “미래를 위해서는 첨단기술, 4차 산업혁명과 같은 차세대 산업을 수반하는 프로젝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Min said North Korea is an ideal place to plan entire cities around emerging technological breakthroughs, because it is relatively undeveloped. The idea is one of several themes he raises in his book about the potential for a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North Korea.
민경태 북한 전문가는 북한은 상대적으로 개발이 덜 되었기 때문에 도시 전체를 신흥 기술발전을 중심으로 계획하기에 이상적인 곳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아이디어는 북한에서 4차 산업혁명의 가능성에 관한 그의 저서에서 제기된 여러 주제들 중 하나이다.
“In North Korea, a new city could be built for self-driving taxis,” Min said. “In South Korea if the government designates a city a self-driving taxi zone, drivers would go on strike.”
민경태 북한 전문가는 “북한에서는 신도시 하나를 자가운전 택시에 맞게 건설할 수 있다”고 말하며, “만일 한국에서 정부가 어느 한 도시를 자가운전 택시 구역으로 지정한다면 운전자들은 파업을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Kim sai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f introduced in North Korea, would not have the same significance it would have in the South, the world’s most wired country.
4차 산업혁명이 북한에 도입이 된다해도 세계에서 가장 인터넷이 잘 되어 있는 남한에서와 똑같은 의미를 지니지는 않을 것이라고 김 씨는 말했다.
Artificial intelligence and other innovations will not be valued for their disruptive value to society, but rather, how they improve the lives of North Koreans, he said.
김 씨는 인공지능과 그 외의 다른 혁신은 사회에 파괴적 영향을 미치는 가치 때문에가 아니라 그것들이 북한 사람들의 삶을 어떻게 개선시킬 것인지에 의해 평가를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If North and South are to cooperate, they must know each other well,” Kim said.
김 씨는 “만일 남북한이 협력하고자 한다면 서로를 잘 알아야만 한다”고 말했다.
[번역 저작권자 : 뉴스프로, 번역 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반드시 밝혀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