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 ‘김정은, 韓 美 동시적 조치 시 비핵화 해결 가능’
-北 김정은- 中 시진핑 정상회담 신속보도
-시진핑, 북과 쉽게 변하지 않는 우호적 관계 유지할 것
블룸버그 통신이 서양매체 중 북의 김정은 위원장의 중국 방문사실을 처음 보도 한데 이어 중국 시진핑 주석과 김정은 위원장의 정상회담 소식도 신속하게 전하고 나섰다.
블룸버그 통신은 27일 ‘Kim Jong Un Is Willing to Hold Summit With U.S., China Says
-중국, “김정은, 미국과 정상회담 의향 있다” 밝혀‘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보내며 ‘김정은 위원장이 중국을 깜짝 방문하여 시진핑 주석을 만났으며, 핵무기를 포기하고 미국과 정상회담을 개최할 의향이 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특히 김정은 위원장이 시주석에게 ‘남한과 미국이 우리의 선의의 노력에 응답하여 평화적이고 안정적인 분위기를 형성하며, 평화 실현을 위한 진취적이고 동시적인 조치를 취한다면 한반도 비핵화 문제는 해결될 수 있다’고 말했다고 신화사 통신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 기사는 시진핑이 이에 중국은 한반도의 비핵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으며 중국이 “특정 시기에 벌어지는 일개의 사건 때문에 쉽게 변할 일이 없는” 그러한 “전략적 선택”으로써 북한과의 우호적 관계를 계속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블룸버그는 중국과 미국의 무역전쟁이 임박한 가운데 이루어진 김정은 위원장의 방중에 주목하며 ‘김정은: 핵무기를 휘두르는 미치광이인가 빈틈없는 독재자인가?’라고 자문한 뒤 중국은 북한의 핵무기를 반대하지만, 김정은 정권의 붕괴 혹은 한반도에서의 전쟁 발발을 원하지 않는다고 분석했다.(글, 이하로)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블룸버그의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s://bloom.bg/2pJjI6J
Kim Jong Un Is Willing to Hold Summit With U.S., China Says
중국, “김정은, 미국과 정상회담 의향 있다” 밝혀
By Andy Sharp
2018년 3월 28일 오전 8:39 GMT+9 Updated on 2018년 3월 28일 오전 9:22 GMT+9
• Xi held talks with Kim at Great Hall of the People in Beijing
시진핑 주석이 베이징의 인민대회당에서 김정은 위원장과 회담을 가졌다
• Kim’s first known trip outside North Korea since taking power
김정은 집권 이후 첫 해외 순방
Bloomberg’s Stephen Engle reports on Kim Jong Un’s meeting with Xi Jinping on a surprise visit to Beijing.
블룸버그 스테판 엥글이 베이징을 깜짝 방문한 김정은의 시진핑과의 회담을 보도합니다.
Xi Jinping and his wife, Peng Liyuan, with Kim Jong Un and his wife, Ri Sol Ju, in Beijing. Photographer: Ju Peng/Xinhua
김정은과 그의 부인 리설주와 함께 한 시진핑과 그의 부인 펭 리유안
Kim Jong Un Made A Surprise China Visit, Sources Say
김정은 위원장이 중국을 깜짝방문했다고 소식통이 전했다.
China confirmed Wednesday that Kim Jong Un met with President Xi Jinping on a surprise visit to Beijing, and said the North Korean leader would be willing to give up his nuclear weapons and hold a summit with the U.S.
중국은 수요일, 김정은 위원장이 중국을 깜짝방문하여 시진핑 주석을 만났으며, 핵무기를 포기하고 미국과 정상회담을 개최할 의향이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The issue of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can be resolved, if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respond to our efforts with goodwill, create an atmosphere of peace and stability while taking progressive and synchronous measures for the realization of peace,” Kim said during the four-day visit, according to Xinhua.
나흘에 걸친 방문 기간 중 김정은 위원장이 “남한과 미국이 우리의 선의의 노력에 응답하여 평화적이고 안정적인 분위기를 형성하며, 평화 실현을 위한 진취적이고 동시적인 조치를 취한다면 한반도 비핵화 문제는 해결될 수 있다”고 말했다고 신화통신은 보도했다.
Xi said that China continues to push for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made four proposals to improve relations with North Korea, including maintaining frequent contact with Kim. Xi said China will continue to share friendship with North Korea as a “strategic choice” that “will not change because of any single event at a particular time.”
시진핑 주석은 중국이 지속적으로 한반도 비핵화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으며, 김정은 위원장과 수시로 접촉하는 것을 포함해서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네 가지를 제안했다. 시진핑 주석은 또한 중국이 “특정 시기에 벌어지는 일개의 사건 때문에 쉽게 변할 일이 없는” 그러한 “전략적 선택”으로서 북한과의 우호적 관계를 계속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A motorcade believed to be carrying a high-ranking North Korean official enters Beijing train station on March 27. Photographer: Kyodo News via Getty Images
3월 27일 베이징 기차역에 고위급 북한 당국자들을 태운 것으로 보이는 차량이 들어서고 있다.
North Korea’s state-run Korean Central News Agency also confirmed the meeting, but didn’t specifically mention denuclearization or the planned summit with Trump. It was his first known visit outside the country since taking power in 2011.
북한의 국영 언론인 조선중앙통신도 김정은 위원장과 시진핑 주석이 회담을 가진 사실을 보도하였으나 비핵화나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계획 등을 특별히 언급하지는 않았다. 이번 회담은 2011년 집권 후 김정은 위원장의 첫 해외순방이다.
Bloomberg News first reported Kim’s arrival in the Chinese capital Monday.
블룸버그 뉴스는 지난 월요일 김정은이 베이징에 도착한 사실을 처음 보도했다.
The visit comes amid a diplomatic flurry in Asia as leaders jockey for face time with Kim and seek to defuse tensions over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program: He’s due to have a summit with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in April, and potentially meet U.S. President Donald Trump before the end of May, while Japan’s prime minister has indicated he’d like to talk.
김정은 위원장의 중국 방문은, 각국 지도자들이 김 위원장과의 대면을 위해 앞을 다투고 북한의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으로 인한 긴장을 없애려 시도하는 등 아시아에 외교적 돌풍이 일고 있는 와중에 이루어졌다. 김정은 위원장은 4월에 남한의 문재인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할 예정이고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는 5월 말 전에 만날 가능성이 있으며, 일본 총리는 김 위원장과 회담을 가지고 싶다는 의사를 내비친 상태이다.
The nuclear frictions also risk getting caught up in broader geopolitics. Trump’s efforts to get China to cut its trade surplus with the U.S. have caused tensions with Beijing, alongside his willingness to entertain greater interactions with Taiwan, a democratically-ruled island that China considers a province. Xi has found himself preparing for a trade war with Trump, even after supporting progressive rounds of United Nations sanctions against Kim’s regime.
핵 문제로 인한 마찰은 자칫 지정학적으로 더욱 광범위한 문제로 전개될 위험성도 있다. 중국의 대미 무역 흑자를 대폭 줄이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시도는 중국 정부와의 긴장관계를 유발했으며, 중국이 자국의 일부로 여기는 민주주의 통치 체제의 대만과의 교류를 더욱 확대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도 긴장 유발의 원인이 되었다. 김정은 정권에 대한 UN의 점진적 제재 조치를 지원하고는 있지만, 시진핑 주석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무역 전쟁에 대비하고 있다.
A motorcade believed to be carrying a high-ranking North Korean official enters Beijing train station on March 27. Photographer: Kyodo News via Getty Images
3월 27일 베이징 기차역에 고위급 북한 당국자들을 태운 것으로 보이는 차량이 들어서고 있다.
“The Chinese may have thrown the olive branch to Kim to keep him on its side,” said Zhang Baohui, director of Lingnan University’s Centre for Asian Pacific Studies in Hong Kong. “I guess Beijing will, while encouraging Kim to complete a nuclear deal with the U.S., offer him massive economic aid.”
링난 대학 아시아-탱평양 연구소장인 장 바오후이는 “중국이 김 위원장을 자기 편으로 만들기 위해 화해 모드를 취했을 수 있다”며, “중국은 김정은 위원장이 미국과의 핵 협상을 완료하도록 부추기는 동시에 엄청난 경제적 원조를 제공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Trump announced this month he’d grant an unprecedented meeting to the North Korean leader, after South Korean officials said Kim was willing to discuss giving up his arsenal. Still, North Korea’s state media haven’t confirmed the summit, and details on when and where it would happen are not yet worked out.
이번 달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이 핵무기고를 포기하는 데 대해 논의할 의향이 있다고 한국 관계자들이 밝힌 후 북한 김정은 위원장과 전례가 없는 회담을 수용하겠다고 발표했다. 아직까지 북한 국영매체는 북미정상회담을 확약하지 않았고, 언제 어디서 회담이 이루어질 것인지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들이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While Kim Jong Il was in power, Chinese and North Korean official sources usually waited until his return to Pyongyang to confirm he’d been in China. An exception was his final trip in May 2011, when Chinese state media reported the elder Kim’s meeting with then-President Hu Jintao a day before he left the country.
김정일이 집권하던 당시 북한과 중국의 공식적인 소식통들은 그가 북한으로 되돌아간 후에야 그의 중국 방문 사실을 보도하곤 했다. 한 차례의 예외는 2011년 5월 그의 마지막 중국방문으로서, 당시 중국 국영매체는 김정일 위원장이 중국을 떠나기 하루 전날 당시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 김정일 위원장 간의 회담을 보도했다.
this photo provided by KCNA in May 2010 shows Kim Jong Il waving from a train window during his visit to China. Photographer: KCNA via EPA
조선중앙통신이 2010년 5월 제공한 이 사진은 중국 방문 기간 열차 창문에서 손을 흔드는 김정일 위원장의 모습을 보여준다.
Ties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who fought together against South Korean and U.S. forces during the Korean War, have been strained as China backed sanctions crimp the country’s energy imports and sources of foreign cash. Kim has also shown less willingness than his father to take China’s counsel: Not long after coming to power he executed his uncle, who was a key conduit for communication with Beijing.
한국전쟁 당시 한국군과 미군에 대항해 함께 싸운 중국과 북한의 협력 관계는 중국이 북한의 에너지 수입과 해외 자금원을 막는 제재를 지지하며 껄끄러워졌다. 김 위원장은 또한 중국의 조언을 구하는 일에 있어 자기 아버지보다 덜 적극적이었다. 김 위원장은 권력을 잡은 지 얼마 되지 않아 중국과의 소통에 있어 핵심 통로였던 자신의 삼촌을 처형했다.
Kim Jong Un: Nuke-Wielding Madman or Astute Dictator?
김정은: 핵무기를 휘두르는 미치광이인가 빈틈없는 독재자인가?
While China opposes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it also doesn’t want to see Kim’s regime collapse or war break out on the Korean Peninsula. Any instability could lead to a refugee crisis or potentially U.S. troops on its border.
중국은 북한의 핵무기를 반대하지만, 김정은 정권의 붕괴 혹은 한반도에서의 전쟁 발발을 원하지 않는다. 어떤 불안정한 상황이라도 난민 위기 혹은 미군의 국경 주둔 가능성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번역 저작권자 : 뉴스프로, 번역 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반드시 밝혀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