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트럼프, 세기의 만남 5월 중 성사
– 북한 핵프로그램 협상 위한 북미 지도자 최초의 직접 대화
– 대담하고 즉흥적인 두 사람의 만남, 협상 결과에 관심
– 트럼프, 김정은 위원장을 미국으로 초대할 가능성 높아
– 반대파, 직접대화는 김정은 위상 높이고 합법화해 주는 것
뉴욕타임스는 정의용 한국 특사에 의해 전달된 김정은 위원장의 초대에 트럼프는 즉시 응하겠다고 답했으며 백악관은 “영구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해 5월 안으로 김정은 위원장을 만나는 데” 동의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윗에서 김위원장이 한국대표들과 핵동결 정도가 아니라 비핵화해 관해 이야기했다, 이 기간 동안 북한의 미사일 실험은 없다 라며 그러나, 대북제재는 합의가 이뤄질 때 까지 유지될 것이다 라고 한 바 있다.
기사는 지금까지 화염과 분노로 위협하고 작은 로켓맨이라고 트럼프 대통령을 조롱했던 김정은 위원장과 서로 전격 만남을 선언한 것은 놀라운 도박이라고 표현한다. 트럼프 역시 과거 북한이 미국의 양보를 받아냈지만 여전히 핵 프로그램의 핵심요소를 계속 유지하는 것으로 결국 대북협상에 장기간 끌려갔던 과거의 전철을 밟지 않을 것이라고 여러 번 강조해온 바 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의 마지막 단계가 아닌 지금 김정은을 만나는 것도 대단한 제스처라며 두 사람이 각각 대담하고 극적인 행동을 한다는 점에서 결과를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끌고 갈 수도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기사는 또 트럼프의 즉각적이고 즉흥적 발표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정의용 특사와의 만남은 다른 날로 예정되어 있었지만 특사가 웨스트 윙에 있다는 말을 들은 즉시 트럼프 대통령이 그를 자신의 집무실로 불러들여 김 위원장과의 회담에 대해 말해달라고 청했으며 정 특사가 김정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고 싶어 한다고 말하자 바로 그렇게 하겠다고 답하고 그 사실을 백악관 기자단에게 발표해달라고 지시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백악관은 한국 측 관계자들이 전화로 전달해 온 한국의 북미간 직접대화 제안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며칠 동안 숙고해야 하는 상황이었는데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정책은 군사적 행동의 위협에 의거한 심한 경제제재를 중심으로 구축되어 왔고, 대화 찬성론자였던 조셉 윤이나 빅터 차를 대신할 만한 인물이나 전문가를 마땅히 찾기 어려웠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김 위원장의 지도자 대 지도자 회담 제안은 트럼프 행정부의 계획을 아예 뒤집거나 최소한 급속도로 가속시킨 결과가 되었다고 기사는 말한다.
이 모든 것은 지난 5월 문대통령이 집권한 이후, 트럼프가 북한에 점점 가혹한 제재와 강력한 군사 작전 및 일련의 적대적 트윗으로 대북 제재 압박을 강화하는 중에도 북한과의 대화를 계속 촉구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지난 평창올림픽에 앞서 김정은 위원장은 갑자기 문대통령의 대화 제안에 응했고 평창올림픽에 선수단을 파견했으며, 여동생을 비롯한 고위급 특사단을 보냈다.
그러나, 이런 움직임 속에도 여전히 우려의 목소리는 있다. 일련의 대화 때문에 북한이 핵을 포기하지는 않을 것이란 예측이다. 조지부시 미 대통령의 전 아시아 보좌관이었던 마이클 그린은 북한이 이런 제스처로 제재를 약화시키고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에 대한 사실상의 합법성을 확보하려 한다고 믿을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말했으며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보좌관이었던 에반 미디에로스는 직접 대화는 김정은 위원장의 위상을 높이고 그를 합법화할 것 이라고 말하면서, 김정은 위원장은 결코 핵무기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백악관의 행정부 관료들 역시 북한의 직접 대화 제안을 비난하며 북한이 협상 중에 핵폭탄이나 미사일 생산 중단에 관해 언급하지 않았다며 이는 대화를 지속하는 중에도 북한이 핵무기고를 비축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내부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협상 능력이 늘 실패와 실망으로 끝난 이전의 외교와 다른 결과를 낳을 수 있다며 지금까지 단 한번도 성사되지 못한 북한과 미국 지도자의 만남을 전망했다. (글, 박수희)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뉴욕타임스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nyti.ms/2FlgvnK
Trump Accepts North Korea’s Invitation to Discuss Its Nuclear Program
트럼프, 핵 프로그램 논의 위한 북한의 초대 수용
By MARK LANDLER
MARCH 8, 2018
Mr. Trump and Mr. Kim were said to have agreed to direct talks, a first between a U.S. president and a North Korean leader. By ASSOCIATED PRESS. Photo by Doug Mills/The New York Times. Watch in Times Video »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북-미 지도자사이의 최초의 직접 대화를 나누기로 합의했다고 보도됐다.
WASHINGTON — North Korea’s leader, Kim Jong-un, has invited President Trump to meet for negotiations over its nuclear program, an audacious diplomatic overture that would bring together two strong-willed, idiosyncratic leaders who have traded threats of war.
워싱턴 – 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북한 핵 프로그램에 관한 협상을 위해 만나자고 트럼프 대통령을 초대했으며, 이는 전쟁 위협을 주고 받았던 두 완고하고 특이한 지도자들을 화해시킬 수 있는 대담한 외교적 서곡이다.
The White House said Mr. Trump had accepted the invitation, and Chung Eui-yong, a South Korean official who conveyed it, told reporters that Mr. Trump would meet with Mr. Kim within two months.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초대를 수락했다고 말했고, 그 초대장을 전달한 정의용 한국 특사는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과 2개월 이내에 만날 것이라고 기자들에게 말했다.
“He expressed his eagerness to meet President Trump as soon as possible,” Mr. Chung said at the White House on Thursday evening after meeting the president. Mr. Trump, he said, agreed to “meet Kim Jong-un by May to achieve permanent denuclearization.”
정의용 특사는 목요일 저녁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 후 백악관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가능한 한 빨리 트럼프 대통령을 만날 의사를 표명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영구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해 5월 안으로 김정은 위원장을 만나는 데” 동의했다고 특사가 전했다.
Mr. Trump expressed his optimism about the meeting in a post on Twitter, saying that Mr. Kim had “talked about denuclearization with the South Korean Representatives, not just a freeze.”
트럼프 대통령은 트윗에서 김 위원장이 “한국 대표들과 핵동결 정도가 아니라 비핵화에 관해 이야기했다”고 말하며 그 만남에 대해 낙관적인 견해를 보였다.
“Also, no missile testing by North Korea during this period of time,” the president added. “Great progress being made but sanctions will remain until an agreement is reached. Meeting being planned!”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이 기간 동안 북한의 미사일 실험은 없다”고 덧붙이며, “큰 진전이 만들어지고 있지만 제재는 합의가 이뤄질 때까지 유지될 것이다. 회담이 계획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Mr. Chung, whose talks with Mr. Kim on Monday in Pyongyang resulted in the invitation, noted that the North Korean leader said he understood that joint military exercises with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would go ahead as scheduled after the end of the Paralympic Games this month.
지난 월요일 평양에서 김정은 위원장과 회담을 가지고 이번 초대를 성사시킨 정의용 특사는 김 위원장이 이번 달 패럴림픽 경기가 끝난 후 한-미 연합군사훈련이 예정대로 진행될 것임을 이해한다고 말했다고 했다.
For Mr. Trump, a meeting with Mr. Kim, a leader he has threatened with “fire and fury” and has derided as “Little Rocket Man,” is a breathtaking gamble. No sitting American president has ever met a North Korean leader, and Mr. Trump himself has repeatedly vowed that he would not commit the error of his predecessors by being drawn into a protracted negotiation in which North Korea extracted concessions from the United States but held on to key elements of its nuclear program.
트럼프 대통령에게 있어 “화염과 분노”로 위협하고 “작은 로켓맨”이라고 조롱했던 김정은 위원장과의 만남은 숨이 멎을 만큼 놀라운 도박이다. 미국의 현직 대통령이 북한 지도자를 만난 예가 이전에 없으며, 트럼프 대통령 자신도 결국 북한이 미국의 양보를 받아낸 채로 그러나 여전히 핵 프로그램의 핵심 요소를 계속 유지하곤 했던 장기간의 대북 협상으로 끌려들어가는 선임자들의 실수를 저지르지 않을 것이라고 여러 번 강조해왔다.
Meeting Mr. Kim now, rather than at the end of a negotiation when the United States would presumably have extracted concessions from North Korea, is an enormous gesture by the president. But Mr. Trump and Mr. Kim share a penchant for bold, dramatic moves, and their personal participation in a negotiation could take it in unexpected directions.
미국이 북한의 양보을 받아내게 될 협상의 마지막 단계가 아니라 지금 김 위원장을 만나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대단한 제스처이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 둘 다 대담하고 극적인 행동을 보이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두 사람의 협상 참여는 일을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끌고 갈 수 있다.
The announcement itself was delivered in an improvisational style that belied its historic significance. Mr. Trump himself teased the news, popping into the White House briefing room shortly after 5 p.m. to tell reporters that South Korea would make a major announcement at 7.
발표 자체도 그 역사적 중요성을 무시한 즉흥적인 방식으로 행해졌다. 트럼프 대통령 자신이 그 뉴스를 살짝 흘리며, 오후 5시가 조금 지나 백악관 브리핑실에 잠시 들러 그것에 모인 기자들에게 한국이 오후 7시에 중대 발표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Then the White House left it to Mr. Chung, who is President Moon Jae-in’s national security adviser, to deliver the news to reporters, standing in the darkened driveway in front of the West Wing. The White House later confirmed Mr. Trump’s plan to meet Mr. Kim in a statement from the press secretary, Sarah Huckabee Sanders.
그런 다음 백악관은 문재인 대통령의 국가안보실장인 정의용 특사가 백악관 웨스트윙 앞 어두운 차로에 모여선 기자들에게 그 뉴스를 전하도록 했다. 후에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을 만날 계획임을 사라 허카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의 성명으로 확인해주었다.
Behind the scenes, events unfolded even more haphazardly. Mr. Trump was not scheduled to meet Mr. Chung until Friday, but when he heard that the envoy was in the West Wing seeing other officials, the president summoned him to the Oval Office, according to a senior administration official.
막후에서 일의 전개는 더더욱 즉흥적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금요일에야 정의용 특사를 만날 예정이었지만 특사가 웨스트윙에서 다른 관계자들을 만나고 있다는 소식을 전해듣고는 그를 자신의 집무실로 불러들였다고 고위 정부 관계자가 전했다.
Mr. Trump, the official said, then asked Mr. Chung to tell him about his meeting with Mr. Kim. When Mr. Chung said that the North Korean leader had expressed a desire to meet Mr. Trump, the president immediately said he would do it, and directed Mr. Chung to announce it to the White House press corps.
그런 다음 트럼프 대통령은 정의용 특사에세 김 위원장과의 회담에 대해 말해달라고 청했다고 관계자는 말했다. 북한의 지도자가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고 싶어한다고 정의용 특사가 말하자 대통령은 즉시 그렇게 하겠다고 말하고 정 특사에게는 그 사실을 백악관 기자단에게 발표해달라고 지시했다.
Mr. Chung, nonplused, said he first needed approval from Mr. Moon, who quickly granted it in a phone call. Mr. Trump later called Prime Minister Shinzo Abe of Japan, and the two discussed coordinating diplomatic efforts. Mr. Trump also plans to call President Xi Jinping of China.
당황한 정의용 특사가 문 대통령의 승인이 필요하다고 말했고, 문 대통령은 전화 통화로 이를 승낙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후에 일본의 아베 신조 총리와 통화를 나누었고, 두 정상은 외교적 노력을 함께 조정할 것을 논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시진핑 주석과도 통화할 예정이다.
By day’s end, dazed White House officials were discussing whether Mr. Trump would invite Mr. Kim to come to the United States. That seemed entirely likely, the senior administration official said, though American officials doubt the North Korean leader would accept.
그날 밤 여전히 쇼크 상태의 백악관 관계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을 미국으로 초대할지를 의논하고 있었다. 북한의 지도자가 이를 받아들일지는 의심스럽지만 그를 미국으로 초대할 가능성이 아주 높아 보인다고 그 고위 관계자는 말했다.
The announcement capped another day of swirling drama at the White House, in which the president defied his own party by announcing sweeping tariffs on steel and aluminum imports and sought to ignore a mushrooming scandal over a pornographic film actress who claims to have had an affair with him.
이 발표로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품에 대한 전면적인 관세 적용을 발표함으로써 자신의 당인 공화당에 정면으로 반대하고, 대통령과 불륜관계였다고 주장하는 포르노 영화배우를 두고 불거지는 스캔들을 무마하려 애쓰는 등 또 하나의 어지러운 드라마로 가득한 하루를 마감했다.
White House officials had expected to deliberate for several days over how to respond to North Korea’s proposal for direct talks between the countries, which South Korean officials had first conveyed by telephone this week. But Mr. Kim’s offer of a leader-to-leader meeting accelerated, if not upended, the administration’s plans.
백악관 관계자들은 이번 주 한국 측 관계자들이 전화로 전달해온 한국의 북미간의 직접대화 제안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며칠 동안 숙고할 것으로 예상했었다. 그러나 김 위원장의 지도자 대 지도자 회담 제안은 트럼프 행정부의 계획을 아예 뒤집거나, 최소한 급속도로 가속시켰다.
Embarking on a high-level negotiation will pose a stiff challenge to the administration, which has built its North Korea policy around imposing crippling economic sanctions, backed by the threat of military action. People briefed by the administration said it had done little planning for how a negotiation with the North would unfold.
고위급 협상을 시작하는 것은 트럼프 행정부에는 힘든 도전일 것이다. 왜냐하면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정책이란 군사적 행동의 위협에 의거한 심한 경제제재를 중심으로 구축되어 왔기 때문이다. 정부의 짧은 브리핑을 들은 사람들은 북한과의 협상이 어떻게 전개 될지에 대해서는 거의 아무런 계획이 없었다고 말했다.
The State Department’s chief North Korea negotiator, Joseph Yun, recently announced his departure from the Foreign Service. The White House also scotched a plan to nominate another experienced negotiator, Victor Cha, as ambassador to Seoul.
국무부의 북한 수석 협상가인 조셉 윤은 최근 외무직원국에서 사임한다고 발표했다. 백악관은 또한 다른 경험 많은 협상가인 빅터 차의 한국대사 지명 계획을 철회했다.
North Korea, by contrast, appears to have planned its diplomatic overture methodically, starting with Mr. Kim’s conciliatory message toward the South in his New Year’s Day address, and continuing through the North’s charm offensive during the Winter Olympic Games in Pyeongchang, South Korea.
이와는 대조적으로 북한은 김위원장의 신년사에서 한국에게 유화적인 메시지를 전달을 시작으로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 북한의 매력적인 공세를 계속하면서 체계적으로 외교적 접근을 계획했던 것으로 보인다.
The South Korean envoys visited the White House on Thursday to brief Mr. Trump and his staff on their meeting with Mr. Kim, which was the first between South Korean officials and Mr. Kim. While they said they were carrying additional messages from North Korea, an American official said that the envoys did not deliver a letter from Mr. Kim.
한국 특사단은 목요일 백악관을 방문하고 트럼프 대통령과 참모들에게 김 위원장과의 회담에 대해 설명했다. 이 회담은 한국 관료들이 김 위원장을 만나 가진 최초의 회담이었다. 한국 특사단은 북한으로부터의 추가 메시지를 가지고 왔다고 말했지만 김 위원장의 친서를 가져온 것은 아니라고 미국 측 관계자가 말했다.
In South Korea, people greeted the news of a meeting between Mr. Kim and Mr. Trump with relief. South Koreans had nervously watched the Korean Peninsula edge toward the brink of a possible military conflict last year.
한국민들은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회담 소식을 안도하며 환영했다. 한국인들은 지난 해 가능한 군사적 충돌 직전까지 이른 한반도 위기를 초조하게 지켜보았었다.
“We hope that these developments will become an important turning point for realizing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firmly establishing peace there,” Lee Yu-jin, a government spokeswoman, said Friday.
금요일 이유진 정부 대변인은 “우리는 이러한 진전들이 한반도 비핵화를 이루고 확실하게 평화를 구축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희망한다”고 말했다.
Since taking power last May, Mr. Moon has repeatedly called for a dialogue with North Korea, even as Mr. Trump has escalated pressure on the North with increasingly harsh sanctions, more vigorous military maneuvers and a string of hostile tweets.
지난 해 5월 집권한 이후, 한국의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점점 가혹한 제재 수위, 더욱 강력한 군사 작전 및 일련의 적대적인 트윗글로 대북 제재 압박을 강화하는 중에도 북한과의 대화를 계속 촉구했다.
Mr. Kim rattled the region last year with a series of nuclear and long-range missile tests. Then he suddenly responded to Mr. Moon’s overtures for dialogue, in which he proposed talks with South Korea, saying he was willing to send athletes to the Olympics.
김 위원장은 작년에 일련의 핵과 장거리 미사일 실험으로 이 지역을 뒤흔들었다. 그러고 나서 김 위원장은 갑자기 문 대통령의 대화 제안에 응했고 평창 동계올림픽에 선수단을 파견하겠다고 말하며 한국과의 대화를 제안했다.
The two Koreas have also exchanged high-level envoys in recent weeks, including Mr. Kim’s sister, Kim Yo-jong, who met Mr. Moon in Seoul last month.
남북한은 또한 지난 달 문 대통령을 만난 김 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을 포함한 고위급 특사단을 최근 몇 주 동안에 주고 받았다.
Analysts expressed skepticism about Mr. Trump’s decision to meet Mr. Kim, saying there was no indication that North Korea had given up its determination to be a nuclear weapons state.
분석가들은 북한이 핵무기 보유국이기를 포기한다는 아무런 조짐도 없다고 말하면서 김 위원장을 만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에 대해서 회의적 반응을 보였다.
“There is every reason to believe that North Korea is attempting to blunt sanctions and secure de facto legitimacy for its nuclear weapons program with this gesture,” said Michael J. Green, a former Asia adviser to President George W. Bush, speaking by telephone from Tokyo.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전 아시아 보좌관이었던 마이클 그린은 일본에서의 전화 통화를 통해 “북한이 이러한 제스처로 제재를 약화시키고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에 대한 사실상의 합법성을 확보하려 한다고 믿을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말했다.
Evan S. Medeiros, an Asia adviser to President Barack Obama, said that any direct talks would elevate Mr. Kim and legitimize him. “We got nothing for it. And Kim will never give up his nukes,” Mr. Medeiros said. “Kim played Moon and is now playing Trump.”
바락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보좌관이었던 에반 미디에로스는 직접 대화는 김 위원장의 위상을 높이고 그를 합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는 그 대가로 아무 것도 얻지 못했다. 김 위원장은 핵무기를 결코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김 위원장은 문 대통령을 기만했고 이제는 트럼프 대통령을 기만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This week, administration officials had spoken in scathing terms about North Korea’s offer of direct talks. They noted that Mr. Kim said nothing about halting the production of nuclear bombs or missiles during negotiations — which meant the North could build its arsenal while stringing out the talks.
이번 주 행정부 관료들은 북한의 직접대화 제안에 대해 비난했다. 그들은 북한이 협상 중에 핵폭탄이나 미사일의 생산을 중단에 관해 언급하지 않았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는 대화를 지속하는 동안에도 북한이 핵무기고를 비축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It seemed that the only thing that changed was Mr. Kim’s invitation to meet Mr. Trump himself. The president’s deal-making skills, one of his aides said on Thursday, could produce an outcome different from previous rounds of diplomacy, which have always ended in failure and disappointment.
바뀐 유일한 것은 트럼프 대통령을 직접 만나고 싶다는 김정의 위원장의 초대인 듯하다. 목요일 보좌관 들 중 한 명은 트럼프 대통령의 협상 능력이 늘 실패와 실망으로 끝난 이전의 외교와는 다른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말했다.
The highest-level American official to meet with a North Korean leader was Secretary of State Madeleine K. Albright, who visited Pyongyang in 2000, near the end of the Clinton administration. Dr. Albright had planned to arrange a visit by President Bill Clinton.
북한과 만난 미국의 최고위급 당국자는 클린턴 행정부가 끝날 무렵인 2000년 평양을 방문한 매들린 올브라이트 국무장관이었다. 올브라이트 박사는 빌 클린턴 대통령의 방문을 계획했었다.
But it fell apart when Kim Jong-il, the father of the current leader, would not agree to a missile deal in advance; he wanted to negotiate it face-to-face with the president. Mr. Clinton decided not to take the risk, skipped the trip, and used his last weeks in office to make a race for Middle East peace instead.
그러나 현 지도자의 아버지인 김정일 위원장이 사전에 미사일 합의를 동의하지 않으려 했기에 이는 실패로 돌아갔다. 김정일 위원장은 클린턴 대통령과 얼굴을 맞대고 직접 협상하기를 원했다. 클린턴 대통령은 위험을 감수하지 않기로 결정하고, 방문을 취소했으며 그 대신 임기의 남은 몇 주를 중동 평화를 위한 행보를 하며 보냈다.
Correction: March 8, 2018
An earlier version of this article misstated the country with which the United States will take part in joint military exercises. It is South Korea, not Nor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