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Headline / 한국성인 60% 이상, 북한과 정상회담 해야 

한국성인 60% 이상, 북한과 정상회담 해야 

한국성인 60% 이상, 북한과 정상회담 해야 
– 위협적 공격보다 대화전략이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도움
– 김대중-김정일 정상회담일 또는 8월 15일 가능성
– 한국의 안보 보장 위해 미국 소외시켜선 안돼

도이체벨레가 “Majority of South Koreans favor North Korea ‘friendship’-대다수 한국인, 북한과 ‘우호적 관계’ 선호”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많은 한국인들이 한반도 긴장관계 완화와 함께 이를 기반으로 남북한 정상회담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평창 동계올림픽이 진행 중인 시점에 한국인들은 비무장지대 너머 북한에 대한 인식이 우호적인 감정으로 급격이 변했다고 지적하며, 또한 한국인들의 이러한 변화는 한국 사회에 만연된 전쟁의 두려움과 평화라는 희망이 복합적으로 혼합된 감정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기사는 한국인이 느끼는 두려움 중에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북한을 표적으로 한 무력 행사의 의향을 드러낸 “코피내기” 전략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문재인 정부의 남북한 협력적 관계를 재건하려는 노력과 북한의 제안으로 급격히 변한 남북한 정상회담을 통한 평화분위기 조성이 위협적인 공격보다는 남북한 대화 전략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가져올 확률이 높다고 한국인들은 생각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도이체벨레는 문대통령이 작년 5월 취임한 이후 남북한 관계 개선을 위한 다방면의 노력을 취해왔다며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해 군사적 위협의 수위를 줄이려는 문대통령의 노력이 초기에는 북한의 반응을 끄집어 내지 못했지만, 2017년 말부터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가 점차 강화되면서 김정은 체제가 남북한 간의 대화 국면으로 돌아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기사는 또 평창 동계올림픽의 시기와 장소가 남북한이 대화와 화해의 분위기로 전환할 수 있었던 최적의 조건이었다고 보고 있다. 아울러 남북한 정상회담은 장기적인 남북한 관계의 전환점이 될 수도 있지만 동맹국인 미국과의 관계가 멀어질 수 있다는 분석을 내 놓았다.

한편, 한국은 여전히 미국의 안보 보장이 필요하기 때문에 문 대통령은 미국 특히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 대통령을 소외시키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문 대통령은 핵무기 폐기를 위한 진정한 진전이 있어야 남북 정상회담의 진전이 있을 것이며, 남북한 신뢰구축을 위한 남북한 군사회담과 이산가족 상봉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의 조치가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했다.

도이체벨레는 남북정상회담이 6월 김대중-김정일 정상회담 날짜와 독립기념일인 8월 15일이 상징성을 띤다고 내다보았다. 아울러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보인 행보는 큰 성과를 이루었다고 분석했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도이체벨레의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bit.ly/2C9A0ho

Majority of South Koreans favor North Korea ‘friendship’

대다수 한국인, 북한과 ‘우호적 관계’ 선호

More than 60 percent of South Koreans believe President Moon should sit down with Kim Jong Un at a summit designed to improve bilateral relations and ease the military tensions that have dogged the region for many years.

남한 국민 60% 이상은 문 대통령이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그리고 한반도 지역을 오랫동안 곤경에 처하게 했던 군사 긴장관계 완화를 위해 마련된 정상회담에 김정은과 마주 앉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A poll conducted on February 15 showed that 61.5 percent of South Korean adults nationwide were in favor of Moon travelling to Pyongyang for face-to-face talks with Kim, while 31.2 percent disagreed and expressed the belief that additional pressure – such as international sanctions – is the best way to force North Korea to moderate its behavior.

2월 15일에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 성인 중 61.5%가 문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해 김정은과 마주보고 대화하는 것을 지지하는 반면, 31.2%는 이에 반대하며 국제적 제재 등의 추가 압박이 북한의 행동을 완화시킬 수 있는 최상의 방법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The poll was conducted half-way through the Winter Olympic Games, which are being held in the South Korean city of Pyeongchang, and the results underline the surge in friendly feelings that ordinary South Koreans have felt towards their neighbors on the other side of the Demilitarized Zone.

해당 여론조사는 한국 평창에서 열리는 동계 올림픽이 중간 쯤 진행된 시점에 행해졌으며 그 결과는 평범한 한국 국민들이 비무장지대 너머 북한에 대해 가진 우호적인 감정이 급격히 증가하였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And that is a direct result of a combination of sense of fear and feeling of hope among many in the South.

또한 그것은 한국의 많은 이들 사이에 만연한 두려움과 희망의 감정이 복합된 직접적인 결과이기도 하다.

North Korea invites South Korean president to Pyongyang

북한이 남한 대통령을 평양으로 초대하다

‘Bloody nose’ attack

‘코피 내기’ 공격

The fear for them is that US President Donald Trump intends to carry out a “bloody nose” military strike against targets in the North in an attempt to demonstrate Washington’s capabilities and its willingness to use force.

이들이 느끼는 두려움은 자국의 공격력을 과시하고 무력 행사의 의향이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 도날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을 표적으로 한 이른바 “코피 내기” 군사 전략을 실행하려하는 데에서 기인한다.

And the other element of the equation is hope that North Korea is genuinely interested in building a more collaborative relationship with the South and that peace is finally possible, 65 years after the end of the Korean War.

그리고 이 방정식의 또 다른 요소인 희망은 북한이 남한과 더 협력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데 진정으로 관심이 있으며 한국전쟁 이후 65년만에 마침내 평화가 가능하리라는 희망이다.

“Those numbers in this poll, and others, come as no surprise to me at all,” said Ahn Yin-hay, a professor of international relations at Korea University in Seoul.

“이번 설문조사와 다른 조사의 결과는 저한텐 별로 놀랍지 않다”고 고려대학교 국제관계학과의 안인해 교수는 말한다.

“There have been lots of reports of Washington planning a ‘bloody nose’ attack on a missile site or a nuclear facility in the North, and that makes people very worried because Pyongyang can be expected to retaliate and it is likely to target South Korea,” she told DW.

“미국이 북한의 미사일 기지나 핵시설에 ‘코피 내기’ 공격을 계획 중이라는 많은 보도가 있었고, 사람들은 북한이 보복을 개시할 수 있고 그렇게 되면 남한이 타겟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한다”고 그녀가 도이체벨레지에 밝혔다.

“South Koreans believe that a strategy of talking to the North is better than a violent approach that threatens our safety,” she said. “Talking has a far better likelihood of achieving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그녀는 “남한 사람들은 북한과 대화하는 전략이 우리의 안전을 위협하는 공격적인 정책보다 낫다고 믿는다. 대화하는 것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가져올 확률이 훨씬 높다”고 말했다.

Moon is widely seen as having worked extremely hard since he took over the government in Seoul in May last year to build bridges with the North. Those approaches – including offers of talks to reduce the military threat levels, a front-line military hotline and reunions for families separated since the end of the Korean War in 1953 – were initially ignored or rebuffed by Pyongyang.

문 대통령은 작년 5월 취임한 이후 북한과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매우 열심히 노력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는 군사적 위협수위를 낮추기 위한 대화, 군 핫라인 개설, 한국전쟁 이후 떨어져 살고 있는 이산가족 만남 등의 제안이 포함되는데 이 제안들은 처음에 북한으로부터 무시당하거나 거절당했다.

The gradual ratcheting up of international sanctions in the closing months of 2017, however, appear to have convinced Kim Jong Un to be more amenable to discussions, while the timing and location of the Winter Olympic Games have provided the perfect opportunity for détente to flourish.

그러나, 2017년 말 국제 제재를 점차 증대시킴에 따라 김정은이 점차 대화를 수용하는 쪽으로 돌아선 듯하며, 동계올림픽의 시기와 장소는 화해의 분위기를 꽃피우는 데 결정적인 기회를 제공했다.

Yet Moon is clearly in a difficult position. He may want to push ahead with a summit that may turn out to be a turning point in the bilateral relationship. It may, however, equally be a ploy by the North Korean regime to drive a wedge between Seoul and its most important security partner, Washington, as part of Pyongyang’s broader long-term aim of a united Korean Peninsula controlled by the government that presently occupies the North.

하지만 문 대통령은 여전히 어려운 자리에 있다. 그는 정상회담을 추진하고 싶어할지 모르며, 이 정상회담은 두 나라의 관계에서 전환점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정상회담은 통일 한반도를 지배하고자 하는 장기적인 목표를 가진 북한정권이 남한과 남한의 중요한 안보 파트너인 미국의 사이를 틀어지게 하는 책략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North Korea holds military parade before Olympics

북한은 올림픽 직전에 열병식을 열고 있다

Alienating the US

미국을 소외시키는 것

Moon must be careful not to alienate the US – and its present unpredictable leader – as he still needs Washington’s security guarantees.

여전히 미국 정부로부터의 안보 보장이 필요하기 때문에 문 대통령은 미국-그리고 예측 불가능한 미국의 현 지도자-을 소외시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Underlining the tightrope that he is walking, Moon said on Saturday that a decision on a summit with Kim is too early.

토요일 문 대통령은 줄타기를 하고 있는 듯한 자신의 현 상황을 가리키며, 김 위원장과의 정상회담에 대해 결정을 내리기에는 너무 이르다고 말했다.

“There are many expectations, but I believe they might be a little too anxious,” Moon told reporters when asked about the possibility of a summit. He reiterated that there needs to be progress on the question of North Korea getting rid of its nuclear weapons before real progress can be made.

정상회담의 가능성에 대한 질문을 받았을 때 문 대통령은 “많은 기대들이 있지만, 좀 지나치게 조바심을 내고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기자들에게 말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이 핵무기를 폐기할 것인가의 질문에 있어 진전이 있어야만 진정한 진전이 있을 수 있다고 다시 말했다.

There are, however, a number of areas in which progress can take place and would arguably serve as confidence-building measures for the two sides, believes Ahn. These include discussions between military leaders at the border on easing tensions and reunions of families divided by the DMZ.

그러나 진전이 있을 수 있는 수많은 분야가 있고 이러한 것들이 분명 남북한 신뢰 구축을 위한 조치가 될 수 있다고 안 교수는 믿는다. 여기에는 긴장 완화에 대해 군 지도자들이 국경에서 만나 대화를 나누는 것과 비무장지대로 갈라진 이산 가족들의 상봉도 포함된다.

“If progress can be made in these areas, then I am optimistic that we could see a summit in the late summer months,” she said, suggesting a meeting that would coincide with the anniversary of the June 2000 summit between Kim Jong Il and Kim Dae-jung, the then South Korean leader. Another symbolic date that could appeal to both sides might be August 15, the Liberation Day national holiday marking the end of Imperial Japan’s colonial rule over the peninsula.

안 교수는 2000년 6월 당시 남북 지도자인 김정일과 김대중 사이의 남북정상회담 기념일에 회담을 제안하며 “만약 이와 같은 분야에서 진전이 이루어진다면 나는 늦여름에는 정상회담이 있을 것으로 낙관한다”고 말했다. 일본 제국주의의 한반도 식민통치를 종식시킨 8월 15일 광복절 역시 남북한 모두가 수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상징적인 날짜일 수 있다.

Yet others are less positive about the outlook on the peninsula.

그러나 한반도의 이런 전망에 대해 덜 긍정적인 이들도 있다.

“Of course South Koreans are saying they want the summit to happen; they do not want a war and the North Korean ‘charm offensive’ during the Olympics has been a huge success,” said Jun Okumura, a political analyst at the Meiji Institute for Global Affairs.

메이지 국제 정치 연구소의 정치분석가 준 오쿠무라는 “물론 한국인들은 정상회담이 열리기를 원한다고 말한다. 한국인들은 전쟁을 원하지 않으며, 올림픽 기간 동안 북한의 ‘매력적인 공세’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라고 말했다.

Difficult situation

어려운 상황

“But Moon is in a very difficult position, stuck between the US, North Korea and even China as a major player in this situation,” he said.

“하지만 문 대통령은 미국, 북한 및 심지어 이 상황에서 주요한 역할자인 중국 사이에 끼어 매우 어려운 상황에 있다”고 그는 덧붙였다.

“I do not see how Moon can square the South’s relationship with the US with this meeting,” he said. “And I believe that the issue of the joint US-South Korean military exercises could be the flash point.”

그는 “나는 문 대통령이 어떻게 한미 관계와 이번 회담을 조화시킬 수 있을지 모르겠다”라며, “그리고 나는 한미연합훈련 문제가 인화점이 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At the request of Pyongyang, the US and South Korea agreed to postpone military annual exercises that were due to be held during the Winter Olympics. North Korea is now demanding that the maneuvers be cancelled entirely, warning that failure to do so would reverse all the positive developments in the bilateral relationship of recent weeks.

북한의 요청에 따라 미국과 한국은 동계 올림픽 기간 동안에 실시하기로 예정되어 있던 연례 군사 훈련을 연기하는 데 동의했다. 북한은 최근 몇 주간 남북한 관계의 모든 긍정적인 전개가 뒤집힐 수 있다고 경고하며 이 훈련을 완전히 취소할 것을 이제 요구하고 있다.

Moon has a choice; one option is to bow to the North Korean demand and risk alienating the US entirely – and possibly encouraging Washington to take a unilateral approach to dealing with North Korea, which could involve the much-feared “bloody nose” approach. Alternatively, he can reschedule the exercises and face the wrath of Pyongyang.

문 대통령은 선택할 수 있다. 첫째 옵션은 북한의 요구를 따르고 미국을 전적으로 소외시켜, 아마도 미국으로 하여금 북한에 대해 일방적인 접근, 즉 큰 두려움을 자아내는 “코피 내기” 접근 방식을 취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게 아니라면, 문 대통령은 한미연합훈련 일정을 재조정하여 북한의 분노에 직면할 수도 있다.

“I would say that everything hinges on these exercises and the situation is extremely dangerous at the moment,” Okumura said. “A decision must be made in the next few weeks and, whatever that decision is, the ramifications will be felt this spring.”

오쿠무라는 “모든 것이 이 훈련에 달려 있고 현재 상황은 극히 위험하다고 말하겠다”며, “결정은 향후 몇 주 안에 내려질 것이며, 그 결정이 무엇이든 간에 그에 따른 파문이 올 봄에 보일 것이다”고 했다.

[번역 저작권자 : 뉴스프로, 번역 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반드시 밝혀 주십시오.]

 

 

 

소셜 댓글
뉴스프로 후원하기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