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검찰 삼성물산 압수수색 보도
– 이건희 회장 자택 보수 위해 회사 자금 유용 여부 조사 중
– 한국의 족벌 대기업, 재벌에 대한 법적 책임 너무 약해
– 이건희 회장 상속세 피하려 편법으로 재산 관리, 유죄 판결 받아
뉴욕타임스가 한국 경찰이 삼성물산의 건설부문 본부에 대해 압수수색을 진행한 사실을 보도했다. 삼성이 이건희 회장 자택 보수 공사에 회사 자금을 유용했는지의 여부를 검찰이 조사 중에 있다고 기사는 설명했다. 기사에 따르면 검찰은 곧 삼성 관계자들을 심문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 후계자이자 이건희 회장의 아들인 이재용 부회장이 박근혜 부패 스캔들에 연루되어 지난 8월 수뢰죄로 징역 5년을 선고 받았다고 전한 뉴욕타임스는 과거 대기업의 최고경영자들이 비교적 가벼운 형량과 이어지는 공식 사면 등 가벼운 처벌을 받아왔음을 지적했다.
뉴욕타임스는 더불어민주당 박용진 의원의 말을 인용하여 이건희 회장이 과거 상속세를 피하기 위해 아버지 이병철 회장으로부터 받은 재산을 대리인의 계좌에 분산 관리했던 사실이 드러나 2008년 유죄 판결을 받았지만 당시 이명박 대통령으로부터 사면을 받은 바 있다고 보도했다.
이어서 삼성은 지난 수요일 이건희 회장이 2008년에 배상하기로 한 세금을 전액 납부했다고 성명을 발표했다고 기사는 언급하며, 아울러 이건희 회장은 2014년 심장마비로 병상에 누운 이후 업무를 볼 수 없는 상태라고 전했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뉴욕타임스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nyti.ms/2iodus5
Samsung Is Under Scrutiny Again as South Korean Police Raid Offices
삼성 다시 수사선상에… 경찰, 삼성물산 압수수색
Lee Kun-hee, Samsung’s patriarch, leaving a court in Seoul, South Korea, in 2008. The police are now investigating whether he misappropriated company funds to renovate his family’s home. CHUNG SUNG-JUN / GETTY IMAGES
2008년, 한국 서울의 법정을 떠나는 삼성 가문의 총수 이건희 회장. 현재 경찰은 이건희 회장이 주택 보수를 위해 삼성 자금을 유용하였는지 조사 중이다.
By JEYUP S. Kwaak
October 18, 2017
SEOUL, South Korea — Barely two months after its crown prince was sent to prison on corruption charges, the family that controls Samsung’s vast business empire is again facing allegations of white-collar crime.
한국 서울 – 후계자가 부패 혐의로 수감된 지 두 달도 채 안 되어, 삼성의 대규모 기업 제국을 통치하는 회장 일가가 또 다시 화이트칼러 범죄 혐의에 직면하고 있다.
The South Korean police raided the head office of Samsung’s construction arm on Wednesday as they investigated whether Lee Kun-hee, the group’s patriarch, had misappropriated company funds to renovate his family’s home. Investigators will soon begin questioning others, including company officials, an officer involved with the investigation said.
수요일, 한국 경찰은 삼성 가문의 총수인 이건희 회장이 자택 보수를 위해 삼성의 자금을 유용하였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삼성의 건설부문 본부를 압수수색 했다. 수사관들이 곧 삼성 관계자를 포함한 다른 이들을 심문할 것이라고 사건 조사 관계자가 밝혔다.
The construction arm, a unit inside the Samsung C&T Corporation, said on Wednesday that it could not comment on a continuing police inquiry. It had previously disputed the allegations. The police officer, who asked not to be identified because he was not authorized to speak publicly, declined to disclose how much money investigators believe may have been involved.
삼성물산 내 건설부문 본부는 수요일, 현재 진행 중인 경찰 심문에 대해 논평할 수 없다고 밝혔다. 삼성물산 건설본부는 이전에 이 혐의를 부인한 바 있다. 공개적으로 논평할 권한이 없다며 익명을 요구한 한 경찰관은 유용한 금액이 얼마나 되는지에 대해 알고 있는 바를 밝히길 거부했다.
The investigation follows the conviction in August of Mr. Lee’s son, Lee Jae-yong, 49, who is vice chairman of Samsung Electronics, the most profitable arm of the company. The younger Mr. Lee was sentenced to five years in prison for bribery.
이번 조사에 앞서 지난 8월, 이건희 회장의 아들인 삼성전자(삼성 내 수익이 가장 높은 부문)의 이재용 부회장(49세)이 유죄 판결을 받았다. 이재용 부회장은 수뢰죄로 징역 5년을 선고 받았다.
He has appealed the conviction.
이 부회장은 이에 항소했다.
The raid on Wednesday and the investigation behind it added to the uncertainty surrounding Samsung, South Korea’s biggest company and a global name in electronics and other industries. Samsung’s myriad businesses, which range from smartphones and memory chips to drugs and insurance, appeared to be running without major hiccups in recent months.
경찰의 수요일 압수수색, 그리고 이와 관련된 수사는 전자 및 기타 산업에서 한국의 최대 기업이자 세계적으로 유명한 브랜드인 삼성을 둘러싼 의혹을 가중시켰다. 스마트폰으로부터 메모리칩과 약품, 그리고 보험에 이르기까지 무수히 많은 삼성 계열 기업들은 최근 몇 달 동안 커다란 문제 없이 운영되는 듯했다.
But the legal troubles of the family behind Samsung have renewed concerns in South Korea about the fate of the conglomerate, a major economic force in the country. The scrutiny also reflects public frustration with years of criminal charges leveled against the leaders of Samsung and some other big family-run companies that have led to light sentences and even to official pardons.
삼성 일가의 법적 문제는 한국의 주요 경제 동력인 이 대기업의 운명에 대한 우려를 새롭게 했다. 이번 조사는 오랜 세월 삼성을 비롯한 족벌 대기업 회장들에 대한 형사 기소가 가벼운 형량 혹은 심지어 공식 사면으로 이어진 것에 대한 대중의 좌절감도 반영한다.
Lawmakers have also turned up the pressure. This week, Park Yong-jin, a member of South Korea’s governing Democratic Party and a vocal critic of the country’s corporate culture, dragged one of Lee Kun-hee’s two earlier convictions back into the limelight when he said that financial authorities had allowed the Samsung executive to inherit billions of dollars from his father without paying taxes.
국회의원들도 압박을 가해왔다. 이번 주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한국의 기업 문화에 대한 강경한 비판자인 박용진 의원은 이건희 회장이 이전에 선고 받았던 두 유죄 판결 중 하나를 지목하여 삼성 경영인 상속세를 내지 않고서 수십 억 달러를 아버지로부터 상속받을 수 있도록 재무 당국이 허용했다고 말했다.
South Korea would have reaped about $2 billion from the transaction, “if tax authorities had followed the rules and levied inheritance taxes,” Mr. Park said.
“재무 당국이 규정을 따라 상속세를 부과했다면” 한국은 이 과정에서 약 20억 달러를 거둘 수 있었다고 박 의원이 밝혔다.
The criticism put the spotlight on one of Samsung’s most embarrassing episodes.
이 비판으로 삼성의 가장 수치스러운 사건 중 하나가 주목을 받았다.
In 2008, prosecutors found 4.5 trillion South Korean won, or roughly $4.5 billion at the time, in assets that belonged to Lee Kun-hee but were divided up in more than 1,000 accounts under his lieutenants’ names. Prosecutors alleged that Lee Kun-hee had inherited the money from his father, Lee Byung-chull, Samsung’s founder, and that it had been structured to avoid taxes.
검찰은 2008년 당시 이건희 회장에게 속한 4.5조원, 대략 45억 달러가 대리인 명의 1,000여 개 계좌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발견했다. 검찰은 이건희가 삼성 창업주인 아버지 이병철로부터 이 재산을 물려받았으며, 세금을 피하기 위해 그렇게 해놓았다고 주장했다.
Lee Kun-hee was convicted in 2008, but South Korea’s president at the time, Lee Myung-bak, pardoned him the following year. It was the second time Lee Kun-hee had been given a presidential reprieve: He was also pardoned in 1997, a year after a conviction on bribery charges.
이건희 회장은 2008년에 유죄판결을 받았지만 당시 대통령이었던 이명박이 다음해에 그를 사면했다. 이는 1997년 뇌물죄로 유죄판결을 받은 다음해에 대통령 사면을 받은 이후로 두 번째였다.
In a statement on Wednesday, Samsung said, without specifying amounts, that Mr. Lee had paid all the taxes that he promised to reimburse in 2008.
삼성은 수요일에 성명을 발표하며 액수를 언급하지 않은채 이건희 회장이 2008년에 배상하기로 한 세금을 전액 납부했다고 밝혔다.
“The principle remains completely unchanged that the money will be used for a good cause,” the statement said.
성명서는 “이 돈이 좋은 일에 쓰여질 것이라는 원칙은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Lee Kun-hee, 75, has been incapacitated since a heart attack in 2014. Many South Koreans still express admiration for the industrialist because of his transformation of Samsung from a local manufacturer of cheap goods into a global behemoth.
75세인 이건희 회장은 2014년 심장마비를 일으킨 이후 일을 할 수 없는 상태이다. 많은 한국인들은 값싼 상품을 만들던 국내 제조업체를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시킨 이 사업가를 여전히 칭송한다.
Samsung C&T, one of the conglomerate’s biggest units, has a portfolio including major power plants and suspension bridges, as well as the Burj Khalifa in Dubai, the world’s tallest building.
삼성의 가장 큰 자회사중 하나인 삼성물산은 주요 발전소 및 현수교 뿐 아니라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인 두바이의 버즈 칼리파 등을 포함한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Lee Kun-hee reportedly owns the five most expensive houses in Seoul, the South Korean capital, all valued at more than $10 million. His main residence in the area of Itaewon, a coveted address occupied by ambassadors and the country’s wealthiest families, is worth around $20 million, according to official city data.
이건희 회장은 한국의 수도인 서울에 각각 시가 천만 달러가 넘는 가장 비싼 주택 5채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 공식 자료에 따르면, 각국 대사들과 가장 부유한 가족들이 살고 있는 이태원에 위치한 그의 제1 주택의 시가는 약 이천만 달러에 이른다.
Correction: October 19, 2017
정정: 2017년 10월19일
An earlier version of this article at one point misstated the reason Lee Kun-hee, chairman of Samsung Electronics, was convicted in 2008. He was convicted of inheriting money from his father in a way that avoided taxes, not for money his son, Lee Jae-yong, inherited. The article also misspelled the name of Lee Kun-hee’s father. It was Lee Byung-chull, not Lee Byung-chul. It also misstated the reason for Lee Jae-yong’s conviction earlier this year. It was for bribing South Korea’s former president, not for bribing multiple government officials. The article also misstated Lee Jae-yong’s title at Samsung Electronics; it is vice chairman, not deputy chairman.
이 기사의 초기버전에는 삼성전자 이건희 회장이 2008년에 유죄판결을 받은 이유가 잘못 기술되어 있다. 그는 세금을 피하기 위한 편법을 써서 선친으로부터 유산을 물려받은 것으로 유죄를 받았으며, 아들인 이재용에게 물려준 유산 때문에 받은 것이 아니다. 또한 기사는 이건희의 아버지의 이름을 잘못 표기했다. Lee Byung-chul이 아니라 Lee Byung-chull이 맞다. 또한 올해초 이재용이 유죄판결을 받은 이유도 잘못 기술했다. 그의 죄목은 여러 정부 관료들에 대한 뇌물이 아니라 전직 대통령에 대한 뇌물이었다. 또한 삼성전자에서 그의 직함은 deputy chairman이 아니라 vice chairman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