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몽드 주간지, 영화 ‘노무현입니다’ 조명
-다큐멘터리로는 이례적 190만 관객
-박근혜 탄핵 국면이라는 상황 한 몫
-지난 정부서 ‘변호인’ 제작사 불이익
-‘노무현’은 언제나 주요한 영화 소재
프랑스 유력 일간지 <르몽드>의 토요판 격인 잡지 <르 마가진 뒤 몽드>가 최근 한국에서 개봉해 호응을 얻은 다큐멘터리 영화 ‘노무현입니다’를 조명했다.
필립 메스메르 <르몽드> 도쿄 특파원은 25일자 인터넷판에 “한국에서 자살한 전직 대통령을 주인공으로 삼은 다큐멘터리 영화가 성공을 거두다”라는 기사를 썼다. 메스메르 특파원은 기사에서 지난 5월 개봉해 190만 관객을 모은 다큐멘터리 영화 ‘노무현입니다’는 이창재 감독이 바치는 헌정물이라고 적었다.
기사는 이 영화에 39명의 노 대통령 주변 인물 증언과 고인의 연설 장면 등이 교차로 등장한다고 설명하면서, 정보원 이화춘씨나 오랜 친구인 문재인 대통령의 인터뷰를 소개했다. 아울러 기사는 영화의 성공이 박근혜 탄핵 국면이라는 정치적 상황의 덕을 봤다고 분석하면서도 이와는 무관하게 제작됐다는 제작진의 말을 함께 실었다.
메스메르 특파원은 “‘노무현’이라는 주제는 언제나 주요하게 다뤄진다”며 상업 영화인 ‘변호인’의 성공과 이를 못마땅해 한 박근혜 정부가 제작사의 모기업인 CJ에 불이익을 준 일 등을 설명했다.
한편 <르 마가진 뒤 몽드>는 주간지로 문화 예술 소식을 주로 다룬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르 마가진 뒤 몽드> 기사 전문이다.
번역 및 감수 : Sang-Phil Jeong
기사 바로가기 : http://lemde.fr/2jZnj04
Un ex-président suicidé, héros d’un documentaire à succès en Corée
한국에서 자살한 전직 대통령을 주인공으로 삼은 다큐멘터리 영화가 성공을 거두다
Roh Moo-hyun, président de la Corée du Sud de 2003 à 2008, est le personnage principal d’un documentaire mêlant témoignages et extraits de ses discours enflammés.
2003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 대통령을 지낸 노무현이 주인공인 이 영화는, 주변인들의 증언과 열정적인 연설 장면들로 이뤄져 있다.
M le magazine du Monde | 25.09.2017
Par Philippe Mesmer (Tokyo, correspondance)
필립 메스메르 (도쿄, 특파원)
L’un des plus gros cartons de l’année du cinéma sud-coréen ? Un documentaire consacré à un homme politique. Sorti dans 775 salles du pays, Roh Moo-hyun ipnida (« notre président Roh Moo-hyun ») a attiré 1,9 million de spectateurs depuis sa sortie en salle, en mai. Roh Moo-hyun présida le pays entre 2003 et 2008, avant de se suicider, en 2009, en sautant d’une falaise, après avoir été mis en cause dans une affaire de corruption. Plus qu’une analyse, le documentaire de Lee Chang-jae se veut surtout un hommage. Pourtant, le cinéaste, né en 1967, n’est pas connu pour avoir été proche du progressiste Roh Moo-hyun. « Au contraire, à cette époque, il était plutôt conservateur », s’amuse une de ses connaissances. Si l’intéressé ne le nie pas, il avoue avoir ressenti une « profonde tristesse » à l’annonce du suicide de M. Roh.
한 정치인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가 올해 한국 영화계에서 가장 큰 성공을 거둔 영화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전국 775개 상영관에서 지난 5월 개봉한 ‘노무현입니다’(<우리 대통령, 노무현>)는 190만 관객을 끌어 모았다. 노무현은 뇌물 사건에 연루돼 조사를 받은 뒤 절벽에서 뛰어내린 2009년 이전 2003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의 대통령을 지냈다. 이창재 감독의 이 다큐멘터리 영화는 단순한 분석을 넘어 일종의 헌정물이다. 1967년생인 감독은 그러나, 진보주의자 노무현의 측근이 아니었다. 이 감독의 한 지인은 “반대로 당시 그는 매우 보수적이었다”고 말했다. 감독은 자신이 보수적이었다는 말을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노 대통령의 자살 소식에 “깊은 슬픔”을 느꼈음을 고백했다.
Le film, patchwork de témoignages, raconte l’étonnante ascension de cet homme politique – élu en décembre 2002, il entre en fonctions en février 2003 –, alors qu’au début de la campagne son Parti démocratique du millénaire ne dépassait pas les 2 % d’opinions favorables. Trente-neuf personnes interviennent. Comme Lee Hwa-choon, un membre des services secrets chargé de le surveiller, qui deviendra son ami. « Sa voix claire et sonnante, ses jurons, ses blagues. Je n’oublierai jamais tout cela », raconte-t-il.
여러 증언들을 뒤섞어 놓은 영화는 새천년민주당의 당내 경선이 시작될 무렵 지지도가 2%에 불과했었던 이 정치인의 놀라운 상승가도를 보여준다. 그는 2002년 12월에 당선돼 2003년 2월부터 대통령 집무를 봤다. 39명의 인터뷰가 등장한다. 이 중에는 국정원의 직원으로 그를 전담했다가 나중에 친구가 된 이화춘 같은 이들도 있다. 이화춘씨는 “그의 낭랑하고도 울림 있는 목소리와 욕지거리, 농담을 평생 잊을 수 없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Le réalisateur a également obtenu le témoignage de l’actuel président, Moon Jae-in, sans doute l’ami le plus proche de Roh Moo-hyun, les deux hommes ayant lutté ensemble dans les années 1980 contre la dictature. Moon Jae-in, qui avait travaillé en étroite collaboration avec Roh Moo-hyun pendant sa présidence, affirme s’être lancé dans la course électorale pour restaurer l’honneur de son ami défunt. Ces témoignages sont entrecoupés d’extraits de discours passionnés de ce dirigeant connu pour sa franchise, sa générosité et son charisme.
이 감독은 현직 문재인 대통령의 증언도 담을 수 있었다. 문 대통령은 노무현 대통령의 최측근 중 한 명으로 이 둘은 1980년대 독재에 맞서 함께 싸웠었다. 노무현 대통령의 임기 내내 긴밀한 자리에서 일했던 문재인 대통령은 사망한 친구의 명예를 바로 세우기 위해 선거전에 뛰어들었음을 밝히고 있다. 여러 인터뷰 사이에는 솔직하고 너그러우면서도 카리스마를 지닌 것으로 알려진 지도자 노무현의 열정적인 연설 장면들이 배치돼 있다.
Un contexte porteur
상황이 가져다 준 성공
Le succès rencontré par « Notre président » doit beaucoup au contexte politique du pays : la mobilisation de millions de Sud-Coréens, dès l’automne 2016, pour obtenir la destitution de la présidente conservatrice Park Geun-hye.
영화 <우리 대통령>의 성공은 다분히 한국의 정치적 상황 덕이다. 수백만명의 한국인들은 지난 2016년 가을부터 보수주의자 박근혜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며 거리에 나섰다.
En cause : son implication dans le « Choigate » (un scandale de trafic d’influence). Cet événement, tout comme l’élection du progressiste Moon Jae-in, au mois de mai suivant, ont créé un climat favorable pour le film. Mais Lee Chang-jae et les producteurs de CGV Arthouse nient avoir choisi leur moment. « La distribution n’a pas été décidée brutalement avant l’élection présidentielle », explique-t-on à la société de production. « Nous avions choisi de faire ce film en avril 2016 », ajoute le réalisateur.
이유는 박근혜가 부패 비리 스캔들인 ‘최순실 게이트’에 연루돼 있기 때문이다. 이 사건으로 인해 치러진 5월 선거에서 진보주의자 문재인이 승리했고, 이는 영화에 호의적인 분위기를 형성했다. 그렇지만 이창재 감독과 CGV 아트하우스의 제작자들은 시기를 일부러 선택하지 않았다고 말한다. 제작사 관계자는 “영화 배급이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갑자기 결정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 감독은 “우리가 이 영화를 하려고 한 것은 2016년 4월이다”라고 덧붙였다.
Le sujet Roh Moo-hyun est en tout cas toujours porteur. En 2013, The Attorney, film de fiction réalisé par Yang Woo-suk, déjà produit par CGV et inspiré de la lutte pro-démocratique de l’ancien président, avait connu un énorme succès. À sa sortie, il avait suscité la colère de la Maison Bleue (la présidence sud-coréenne), alors occupée par Park Geun-hye. La chef de l’État n’avait pas apprécié la tonalité progressiste du film. Des pressions avaient été exercées sur le conglomérat CJ, maison mère de la société de production CGV, pour que les responsables du projet soient renvoyés.
어쨌든 ‘노무현’이라는 주제는 언제나 주요하게 다뤄진다. 2013년 CGV가 제작한 양우석 감독의 픽션 영화 <변호인>은 노 대통령의 민주화 투쟁을 다뤄 대성공을 거둔 바 있다. 이 영화는 개봉하면서 박근혜 집권 당시의 청와대에 분노를 불러 일으켰다. 국가 수장이 이 영화의 진보적 색채를 인정할 수 없었던 것이다. 프로젝트의 책임자가 경질되는 등 CGV의 모기업인 CJ 그룹 전체에 압력이 가해졌다.
[번역 저작권자 : 뉴스프로, 번역 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반드시 밝혀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