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타임스, 배넌 ‘군사적 해결 불가 발언’ 후 대혼란 집중 보도
-트럼프 고위관료 일제히 ‘군사조치 취할 준비 되어 있다’
-주한 미군철수는 자기 방식 통일 원하는 북에 미리 항복하는 꼴
-평화협정 체결, 핵 동결 이후에나 가능한 이야기
스티브 배넌의 ‘북에 대한 군사적 해결 불가’ 발언과 ‘주한미군 철수 가능 언급’ 후 미 트럼프 행정부는 물론 동아시아권의 대혼란을 뉴욕타임스가 상세하게 분석 보도해 눈길을 끌고 있다.
결과적으로는 스티브 배넌이 이 보도 후 해당 발언으로 인해 경질되었지만 뉴욕타임스는 이 보도에서 스티브 베넌의 경질 가능성을 예측하기도 했다.
뉴욕타임스는 16일 ‘Bannon and Dunford Remarks Muddle U.S. Strategy for North Korea-배넌과 던포드의 발언, 미국의 대북전략을 뒤죽박죽으로 만들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미 행정부와 군부 관계자들의 혼란과 수습, 한국 일본 등 미 동맹국과 중국 등 주변국의 반응 등을 상세하게 전했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의 한국의 동의 없이 한반도에서 군사 행동이 없을 것이라는데 트럼프가 동의했으며 전쟁은 없을 것이라는 광복절 발언을 다시 한 번 언급하기도 했다.
뉴욕타임스는 백악관의 수석전략가가 군사적인 해결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힘에 따라 트럼프 행정부는 북한의 핵 위협을 저지할 방법을 두고 서로 상반되는 신호를 보내며 아시아의 동맹국들을 또 다시 혼란 상태로 빠트렸다고 전한 뒤, 트럼프 행정부의 또 다른 고위급 관료 세 명(중국을 방문한 트럼프 행정부의 군 장성, 그리고 워싱턴의 국방장관과 국무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필요할 경우 군사 조치를 취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강조하며 사실상 수석전략가와는 반대 입장을 취했다고 혼란스런 입장을 가감 없이 전달했다.
뉴욕타임스는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주석을 만난 조셉 던포드 합참 의장의 주한미군 철수 가능성 일축, 한미 합동군사훈련 취소 계획 없음 등의 발언에 무게를 두고 소개하며 매티스 국방장관, 틸러슨 국무장관 등이 신속한 던포드 합참의장 발언지지로 파문 수습에 나서고 있음을 보도했다.
뉴욕타임스는 이어 틸러슨 장관의 북에 대한 군사적 옵션이 아직 가능하다는 발언, “나는 한국에서의 미군 주둔을 축소하거나 철수하는 것과 관련된 어떤 논의에도 관여하지 않았다. 그러한 이야기가 있다고 해도 나는 아는 바 없다”는 던포드 합참의장의 반박 등을 소개하기도 했다.
하지만 뉴욕타임스는 문재인 대통령의 한국 동의 없이 한반도에서 군사적 행동 없다는데 대한 문재인 대통령의 발언이 트럼프 대통령도 동의한 것이라는 문대통령의 발언을 소개한 데 이어 트럼프 대통령의 그러한 강경발언들이 “트럼프 대통령이 꼭 군사적 조치를 실현하려는 의도로 그러한 발언을 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는 문대통령의 발언을 소개해 군사적 옵션 배제입장을 전했다.
뉴욕타임스는 배넌이 중국을 상대로 무역 캠페인을 제기하려는 자신의 노력에 집중하지 못하게 방해하는 문제라는 정도로 북한을 볼 뿐이라는 관계자들의 말을 전하며 배넌의 발언이 미국정책을 바꿀 가능성은 별로 없다고 내다봤다.
하지만 뉴욕타임스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 분석가들은 배넌이 모든 주한미군 철수를 제안한 것에 놀라움을 금치 못하고 있다며 관계자들의 혼란스런 분위기를 전하며 “그것은 한반도를 자기네 원하는 방식으로 통일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인 정권에 미리 항복하는 것이 될 것”이라는 세종연구소 연구 위원인 전 미국외교관 데이비드 스트라우브씨의 말을 덧붙였다.
뉴욕타임스는 배넌 발언 후 미 행정부 고위급들이 일제히 군사옵션 가능성을 열어두었다고 전했지만 “그래서 그러한 군사적 옵션들에 대해 사전에 대화하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는 던포드 합참의장의 말로 기사를 마무리해 구사적 옵션 보다는 평화적 해결에 무게를 두고 있음에 방점을 찍었다.
이 기사가 나간 후 결국 배넌은 경질 되었지만 북의 핵 동결 후 평화협정 체결, 주한미군 철수 등이 한반도 평화를 위한 테이블 위에 올라올 수 있다는 단초를 열었다는 점에 의미를 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글, 이하로 대기자)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뉴욕타임스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nyti.ms/2vI9Q0v
Bannon and Dunford Remarks Muddle U.S. Strategy for North Korea
배넌과 던포드의 발언, 미국의 대북전략을 뒤죽박죽으로 만들다

By JANE PERLEZ and CHOE SANG-HUN
August 16, 2017
BEIJING — The Trump administration plunged America’s Asian alliances into new confusion Thursday with conflicting signals over how to counter North Korea’s nuclear threat, as the chief White House strategist said a military solution was impossible.
베이징 – 목요일 백악관의 수석전략가가 군사적인 해결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힘에 따라 트럼프 행정부는 북한의 핵 위협을 저지할 방법을 두고 서로 상반되는 신호를 보내며 아시아의 동맹국들을 또 다시 혼란 상태로 빠트렸다.
Three other leading officials of the administration — its top military general on a visit to China, and its defense secretary and secretary of state in Washington — effectively contradicted him, emphasizing that Mr. Trump was prepared to take military action if necessary.
트럼프 행정부의 또 다른 고위급 관료 세 명(중국을 방문한 트럼프 행정부의 군 장성, 그리고 워싱턴의 국방장관과 국무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필요할 경우 군사 조치를 취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강조하며 사실상 수석전략가와는 반대 입장을 취했다.
The mixed messages about North Korea policy added to the sense of disarray coming from the White House, where Mr. Trump appeared to have all but forgotten the crisis a week after he threatened an ad hoc “fire and fury” response to North Korea’s leader, Kim Jong-un, if he menaced the United States.
대북 정책에 대한 엇갈린 메시지는 백악관이 야기해 온 혼란을 더욱 가중시켰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지도자 김정은이 미국을 위태롭게 할 경우 ‘화염과 분노’로 응징하겠다고 위협한 후 일주일 만에 그 위기를 거의 잊어버린 듯 했다.
Stephen K. Bannon, the nationalist ideologue who is Mr. Trump’s chief strategist, said in an interview that there was “no military solution”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at he might consider a deal in which United States troops withdrew from South Korea in exchange for a verifiable freeze in the North’s nuclear program.
국수주의 신봉자인 트럼프 대통령의 수석전략가 스티븐 배넌은 인터뷰에서 한반도에 “군사적 해법”은 없으며 북한의 핵 개발 동결이 입증될 경우, 주한미군을 철수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다.
But Gen. Joseph F. Dunford Jr., the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who was concluding a three-day visit to Beijing, dismissed the possibility of an American troop withdrawal. Speaking to reporters, he repeated the administration’s earlier position that military action was not preferable but still possible.
그러나 3일 간의 중국 방문을 마친 미 합참의장인 조셉 던포드 장군은 미군 철수의 가능성을 일축했다. 던포드 의장은 군사적 조치를 선호하지는 않지만 여전히 가능하다는 트럼프 행정부의 이전 입장을 기자들에게 재차 밝혔다.
General Dunford also said there were no plans to cancel American military exercises with South Korea scheduled to start Monday — drills that North Korea could interpret as a new provocation. He called the exercises “very important to maintaining the ability of the alliance to defend itself.”
던포드 합참의장은 또한 월요일에 시작될 예정인 한미 합동군사훈련(북한 측에서 새로운 도발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는)을 취소할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이 훈련은 “한국이 스스로를 방어할 수 있도록 군사력을 유지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던포드 합참의장은 말했다.
Later in the day, after a meeting in Washington with Japan’s defense and foreign ministers that was aimed partly at reassuring them, Defense Secretary Jim Mattis and Secretary of State Rex W. Tillerson expressed support for General Dunford’s statements.
같은 날 이보다 늦게, 한편으로 일본을 안심시킬 목적으로 일본의 국방부 장관, 그리고 외무성 장관과 워싱턴에서 회담을 가진 후 짐 매티스 국방장관과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은 던포드 합참의장의 발언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Our approach has been endorsed by the president,” Mr. Tillerson told reporters.
“우리의 접근 방식은 트럼프 대통령의 승인을 받은 것이다”라고 틸러슨 장관이 기자들에게 말했다.
He said the United States and its allies would further intensify economic and diplomatic pressures on North Korea, and he praised China for its increased cooperation in those efforts.
그는 미국과 미국의 동맹국들은 북한에 대해 경제적 외교적 압력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으며, 그러한 노력들에 있어 더욱 확대된 협력에 대해 중국에 찬사를 보냈다.
Mr. Tillerson said he had read Mr. Bannon’s remarks, but declined to respond directly to them. However, he said the diplomatic campaign against North Korea must be backed by the threat of “a strong military consequence if North Korea chooses wrongly.”
틸러슨 장관은 배넌의 발언을 읽었다고 말했으나, 그에 대해 직접적으로 대응하는 것은 거부했다. 그러나 틸러슨 장관은 대북 외교전략은 “북한이 올바르지 못한 선택을 한다면 강력한 군사적 결과”가 있을 것이라는 위협으로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The deal Mr. Bannon suggested, however unlikely, would be a stunning departure from decades of United States policy. Its mere mention astonished analysts in a region still grappling with the implications of Mr. Trump’s impromptu tirade against North Korea last week.
배넌이 제안한, 그러나 거의 가능성은 없는 그 대책은 지난 수십 년 간의 미국 정책과는 전혀 뜻밖으로 다른 것이다. 그 언급만으로도 지난 주 트럼프 대통령의 즉흥적인 대북 비난의 영향력을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지역 전문가들을 놀라게 했다.
President Moon Jae-in of South Korea with President Trump at the White House in June. PETE MAROVICH FOR THE NEW YORK TIMES
6월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있는 한국 문재인 대통령
The chief White House strategist Steve Bannon. ALEX BRANDON / ASSOCIATED PRESS
백악관 수석 전략가 스티브 배넌
Mr. Bannon’s statements are not likely to shift American policy. He no longer has a seat on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and has not been actively involved in North Korea policy, according to several officials. Mr. Bannon cares about North Korea, these officials said, to the extent that he views it as distracting from his effort to prosecute a trade campaign against China.
배넌의 발언이 미국정책을 바꿀 가능성은 별로 없다. 몇몇 관계자들에 의하면, 배넌은 더 이상 국가안보위원회 위원도 아니고 북한 정책에 적극 관여하지도 않는다. 배넌은 중국을 상대로 무역 캠페인을 제기하려는 자신의 노력에 집중하지 못하게 방해하는 문제라는 정도로 북한을 볼 뿐이라고 이 관계자들은 말했다.
Mr. Trump has soft-pedaled his economic rhetoric against China in order to enlist its support in curbing the North Korean regime. Mr. Bannon has told colleagues that he believes China is manipulating the United States by stringing it along on North Korea. He is pushing the president to move ahead on trade cases, including China’s alleged theft of technology from American companies.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정권을 억제하는 데 있어 중국의 지원을 얻기 위해 중국에 대한 경제적 발언을 자제해왔다. 배넌은 중국이 북한 문제에 대해 미국에 동의하며 미국을 교묘하게 조종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동료들에게 말해왔다. 배넌은 중국이 미국 기업들로부터 기술을 훔친 의혹을 포함해 무역에 관련된 사안에 있어 조치를 취하도록 트럼프 대통령을 부추기고 있다.
Mr. Trump is said to have been considering firing Mr. Bannon. It remains unclear what influence the strategist’s ideas about North Korea might have in Mr. Trump’s administration. But analysts in East Asia were astonished that Mr. Bannon would suggest pulling all United States troops from South Korea.
트럼프 대통령이 배넌을 해고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있다. 대북 정책에 대한 배넌의 의견이 트럼프 행정부에 얼마나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지는 불분명하다. 그러나 동아시아 분석가들은 배넌이 모든 주한미군 철수를 제안한 것에 놀라움을 금치 못하고 있다.
“The idea that anyone in the White House would even consider withdrawing U.S. forces defending South Korea if North Korea would only agree to a verifiable freeze on its current arsenal of an estimated 60 nuclear warheads is stunning,” said David Straub, a former American diplomat who is now a fellow at the Sejong Institute, a think tank near Seoul.
“북한이 현재 60여기로 추정되는 핵탄두를 동결할 것을 입증하는 것에 동의하기만 한다면 한국을 방어하고 있는 미군을 철수시킨다는 생각을 백악관의 누군가가 고려한다는 자체가 놀라운 일이다”라고 서울 근교에 위치한 싱크탱크인 세종연구소 연구 위원인 전 미국외교관 데이비드 스트라우브 씨는 말했다.
“It would be pre-emptive surrender to a regime whose ultimate aim is to unify the Korean Peninsula on its own terms,” he added.
그는 “그것은 한반도를 자기네 원하는 방식으로 통일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인 정권에 미리 항복하는 것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A withdrawal of all 28,500 of the American troops based in South Korea would be far more than North Korea itself has demanded in return for suspending its nuclear and missile tests. Pyongyang wants the United States to halt joint military exercises with South Korea, and Washington has rejected that idea out of hand.
한국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 28,500명을 모두 철수하는 것은 북한이 핵과 미사일 실험을 중단하는 대가로 요구해왔던 것 훨씬 그 이상일 것이다. 북한은 미국이 한국과 함께하는 합동군사훈련을 중단하기를 원하고 있으며 미국은 그 조건을 거부해왔다.
In South Korea, a full American withdrawal is widely seen as possible only after North Korea is denuclearized and a peace treaty formally ending the 1950-53 Korean War is signed. Even then, many in South Korea argue that the United States military should stay.
한국에서는 완전한 미군철수는 북한이 비핵화되고 1950-53년 한국전쟁을 공식적으로 종식시키는 평화협정이 체결된 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일반적으로 여겨지고 있다. 심지어 그렇게 된 후에도 상당수 한국인들은 미군의 주둔을 주장하고 있다.
Tsuneo Watanabe, a senior research fellow at the Sasakawa Peace Foundation in Tokyo, dismissed Mr. Bannon as an “amateur” and said his idea “doesn’t make sense for anybody who is seriously watching the military balance in the world.” If the United States withdrew its troops, he said, “Japan would face a direct potential threat from the peninsula, and it may consider its own military options, including nuclear arms.”
도쿄 사사카와 평화재단의 쓰네오 와타나베 선임연구원은 배넌 씨를 “아마추어”라고 일축하며 그의 생각은 “전 세계 군사균형을 진지하게 감시하는 누구에게도 말이 안되는 소리다”라고 말했다. 그는 “만일 미국이 미군을 철수시킨다면, 일본은 한반도로부터의 직접적인 잠재적 위협에 직면하게 될 것이고 일본은 핵무장을 포함한 자체적인 군사적 선택을 고려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Chinese commentators noted that a full American withdrawal would be in line with China’s long-term goals, but said the idea would go nowhere politically. “I think it is bold, innovative but unrealistic,” said Zhang Baohui, a professor of international relations at Lingnan University in Hong Kong.
중국의 분석가들은 완전한 미군철수는 중국의 장기 목적과 일치한 것이라고 말하면서, 하지만 미군철수는 정치적으로 실현 가능성이 없다고 말했다. 홍콩 링난대학 국제정치학과 장 바오우이 교수는 “대담하고 혁신적이지만 실현 가능성이 없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In reality, this may be the type of bargain that could break the quagmire over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Professor Zhang said. “Only someone like Bannon could entertain such bold initiatives. However, they will be pushed back by the establishment types within the administration and by congressional hawks.”
장 교수는 “현실적으로 미군철수는 북한의 핵문제로 인한 난관을 타개할 일종의 흥정이 될지는 모른다”며, “배넌과 같은 사람만이 그런 대담한 생각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행정부내에 있는 기존 권력체제와 의회 강경론자들에 의해 밀려날 것이다”라고 말했다.
General Dunford said he had told Chinese officials that while the United States favored a peaceful outcome to the standoff with Pyongyang, “we are also being prudent in preparing military options.” He added, “So we think it’s better to talk about those military options in advance.”
던포드 미합참의장은 중국 관계자들에게 미국은 북한과의 난항보다는 평화적 성과를 선호하지만 “미국은 또한 모든 군사적 옵션을 준비함에 신중을 기울이고 있다”라고 했다고 말했다. 던포드 합참의장은 “그래서 그러한 군사적 옵션들에 대해 사전에 대화하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The general, who met with President Xi on Thursday, said he was eager to improve communications between the American and Chinese militaries, to reduce the risk of miscalculation. The two sides signed an agreement calling for periodic talks between their top generals.
목요일 시진핑 주석과 만난 던포드 합참의장은 미군과 중국군이 오판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소통을 더 잘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양측은 고위급 장성들 간의 정례회담을 요하는 합의서에 서명했다.
Jane Perlez reported from Beijing, and Choe Sang-hun from Seoul, South Korea. Reporting was contributed by Motoko Rich from Tokyo, Mark Landler and Gardiner Harris from Washington, and Rick Gladstone from New York.
[번역 저작권자: 뉴스프로, 번역 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반드시 밝혀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