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Headline / NYT “미국 평화활동가, 한국 입국 거부당해“

NYT “미국 평화활동가, 한국 입국 거부당해“

NYT “미국 평화활동가, 한국 입국 거부당해“

NYT는 지난 2015년 여성 평화활동가들의 비무장지대 종단을 도운 미국인이 한국에서 입국을 거부당했다고 보도했다.

NYT에 따르면, 한국 출신 미국 시민권자인 크리스틴 안은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비행기 탑승을 거부당할 때까지도 자신이 한국에서 기피 인물이라는 사실을 몰랐다고 주장했고, 한국 법무부는 “국가 이익 및 공공 안전을 해칠 우려”가 충분하다는 이유로 안 씨의 입국이 거부됐다고 설명했다.

안 씨는 지난 2015년 5월 위민크로스디엠지(Women Cross DMZ) 캠페인 주최를 도운 이유로 박근혜 전 대통령 정부가 자신을 블랙리스트에 올렸을 것으로 추측한다고 주장했다.

‘비무장 지대를 건너는 여성들’의 캠페인에서 글로리아 스타이넘 씨와 노벨 평화상 수상자 두 명이 포함된 여성 평화활동가 30명은, 한국전쟁 공식 종료 협정 의결을 촉구하며 북한을 방문한 뒤 비무장지대를 지나 남한으로 건너왔다.

NYT는 북한 정부 언론이 이들 활동가 일부가 북의 지도자를 찬양했다고 보도했지만, 활동가들은 그런 발언은 없었다고 주장했다고 전했다.

한편 한국 법무부는 NYT 보도 이후, 안 씨에 대한 입국금지를 해제한 것으로 알려졌다. (글, Jeffrey Hyun)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뉴욕타임스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nyti.ms/2u2Onyu

American Peace Activist Is Denied Entry to South Korea

미국 평화 활동가, 한국 입국 거부 당해

By CHOE SANG-HUN
JULY 17, 2017

Christine Ahn, fifth from right, marching with Gloria Steinem and other activists near the border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n May 2015. CreditLee Jin-Man/Associated Press

2015년 5월, 글로리아 스타이넘 씨를 비롯한 다른 활동가들과 함께 남북한 경계 부근을 행진하는 크리스틴 안 씨 (오른쪽에서 다섯 번째)

SEOUL, South Korea — An American who helped arrange for 30 female peace activists to cross the heavily armed border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 2015 has been denied entry to South Korea, officials confirmed on Monday.

지난 2015년 30명의 여성 평화 활동가들이 경비가 삼엄한 남북한 경계를 건너는 일을 주최한 미국인이 한국에서 입국 거부를 당한 사실을 관계자들이 월요일 확인했다.

Christine Ahn, a South Korean-born American citizen, said she did not know she was persona non grata in the country until Asiana Airlines stopped her from boarding a flight at the San Francisco airport on Thursday. She had planned to transit through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outside Seoul on her way to China, where she intended to spend a week before visiting South Korea.

한국 출신의 미국 시민권자인 크리스틴 안 씨는 목요일,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아시아나 항공기로부터 탑승 거부를 당할때까지 자신이 한국에서 기피 인물이라는 사실을 몰랐다고 밝혔다. 크리스틴 안 씨는 중국으로 가기 위해 서울 외곽지역에 있는 인천 국제공항을 경유할 예정이었으며, 한국에 가기 전 일주일을 중국에서 지내려 했다.

After being told she was not allowed to transit though South Korea, she bought a new ticket to fly directly to Shanghai, she said.

안씨는 자신이 한국을 경유할 수 없다는 사실을 들은 후 상하이 행 직항 항공권을 구매했다고 말했다.

The Justice Ministry of South Korea said on Monday that Ms. Ahn had been denied entry because there were sufficient grounds to fear that she might “hurt the national interests and public safety” of South Korea.

월요일, 한국 법무부는 크리스틴 안 씨의 입국이 “국가 이익 및 공공 안전을 해칠 우려”가 충분하다는 이유로 거부됐다고 설명했다.

Ms. Ahn said she suspected that the government of the former president Park Geun-hye, a conservative who was impeached over a corruption scandal and removed from office in March, had put her on a blacklist for helping organize the Women Cross DMZ campaign in May 2015.

크리스틴 안 씨는, 부정부패 파문으로 탄핵당하고 지난 3월 파면된 보수파의 박근혜 전 대통령의 정부가 2015년 5월 위민크로스디엠지(Women Cross DMZ) 캠페인 주최를 도운 이유로 자신을 블랙리스트에 올렸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In that campaign, a group of 30 female peace activists, including Gloria Steinem and two Nobel Peace Prize laureates, visited North Korea and then crossed the Demilitarized Zone, or DMZ, into South Korea, calling for a treaty to formally end the Korean War.

비무장 지대를 건너는 여성들의 캠페인에서 글로리아 스타이넘 씨와 노벨 평화상 수상자 두 명을 포함한 여성 평화 운동가 30명은, 한국 전쟁을 공식적으로 종료시키기 위한 협정 의결을 촉구하며 북한을 방문한 뒤 비무장지대를 지나 남한으로 건너왔다.

“I’m hoping the Moon administration can quickly correct this,” Ms. Ahn wrote in an email from China, referring to President Moon Jae-in, who replaced Ms. Park in May. “It would not look favorably if they’re allowing the dark ages to remain by banning pro-democracy, human rights and peace activists from entering their country.”

“나는 문재인 정권이 신속히 이를 바로 잡기를 원한다”고 안씨는 중국에서 보낸 이메일에서 지난 5월 박근혜 대통령을 대신해 당선된 문재인 대통령을 언급하며 말했다. “친 민주주의와 인권, 그리고 평화 활동가들의 입국을 거부함으로써 암흑 시대를 지속하는 것은 결코 좋게 보이지 않는다.”

While in office, Ms. Park, who took a hard line on North Korea and its nuclear weapons program, had prevented South Korean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from making contact with the North. In 2015, her government deported a South Korean-born American citizen who had spoken warmly about her trips to North Korea in public appearances and articles in South Korea.

집권 시절 박 대통령은 북한과 북한의 핵 프로그램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보이며 남한의 비정부기구들이 북한과 접촉하는 것을 막았다. 2015년에, 박씨의 정부는 공개석상과 언론에서 자신의 북한 방문 경험에 대해 우호적으로 발언한 한국계 미국인을 추방한 바 있다.

Some critics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pposed the Women Cross DMZ campaign, saying the activists’ trip to North Korea would be used as propaganda by the North’s repressive government. North Korean state media later quoted some of the activists as praising the country’s leaders, but organizers denied that the remarks had been made.

한국과 미국의 일부 비평가들은 위민크로스디엠지 캠페인을 반대하며, 이들이 북한을 방문하는 것이 억압적인 북한 정권의 선전물로 이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북한의 정부 언론이 후에 이들 활동가들 중 일부가 북의 지도자를 찬양했다고 인용했지만, 활동가들은 그런 발언은 없었다고 부인했다.

Ms. Ahn, 44, has been an international coordinator for the campaign. On Sunday, two of its members, Ms. Steinem and the Nobel Peace Prize laureate Mairead Maguire, sent letters to Ahn Ho-young, the South Korean ambassador to Washington, urging Seoul to lift the ban on Ms. Ahn.

44세의 안씨는 이 캠페인의 국제 진행자로 일했다. 일요일 이 조직의 멤버인 스타이넘 씨와 노벨상 수상자 메어리드 맥과이어 씨는 워싱턴 주재 한국대사인 안호영씨에게 편지를 보내 안씨에 대한 입국 금지령을 해제할 것을 촉구했다.

Ms. Ahn said she was now in China with other female peace activists from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She had planned to fly to Seoul next Monday, together with another antiwar activist, Mary Ann Wright, a retired United States Army officer and former diplomat.

안씨는 지금 미국과 캐나다에서 온 여성 평화 활동가들과 함께 중국에 있다고 밝혔다. 그녀는 당초 은퇴한 미 육군 장교이자 전직 외교관인 반전 활동가 메리 앤 라이트씨와 함께 월요일에 서울로 들어갈 계획이었다.

Ms. Ahn said that Ms. Wright still plans to go to Seoul, where she and other female activists from the United States, Switzerland, Japan and Australia plan to campaign for a peace treaty to officially end the 1950-53 Korean War. Ms. Ahn said there were no indications that Ms. Wright or any of the other activists would be barred from South Korea.

안씨는 라이트씨가 미국, 스위스, 일본, 호주에서 온 여성 활동가들과 함께 서울로 들어가 한국전쟁의 공식적인 종료를 위한 평화협정을 위해 캠페인을 벌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녀는 라이트씨와 다른 활동가들의 한국 입국이 거부당할 어떤 징후도 없다고 말했다.

In a speech on July 6, President Moon said his government would push for a peace treaty with North Korea, as part of a comprehensive solution to the crisis over the North’s nuclear weapons program. The Korean War was halted with a cease-fire that left the peninsula still technically at war.

7월 6일의 연설에서 문 대통령은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에 대한 포괄적인 해결책의 일환으로 평화조약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국전쟁이 휴전협정이 의해 중단되었으므로 한반도는 사실상 아직 전시상태인 셈이다.

[번역 저작권자 : 뉴스프로, 번역 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반드시 밝혀 주십시오.]

소셜 댓글
뉴스프로 후원하기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