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멕시코의 은의 천국(Cielo Platead), 타쓰꼬
S. Macho CHO
rok-hid @ inbox . ru
내가 타쓰꼬를 처음 갔을 때가 12월쯤이었다. 한국은 한겨울이었으나 그곳은 그냥 봄 같았다. 도시 초입부터 차는 계속 산 등을 돌면서 올라가 언덕을 넘자 도시 타쓰꼬(Taxco de Alarcón)가 보인다.
원래 이름은 타쓰꼬 엘 비에호(Taxco El Viejo), 즉 타쓰꼬 구도시란 말이다. 태평양을 끼고 있는 게레로(Guerrero)주에 속해 있다. 스페인 식민지 시절, 아스텍 문화가 꽃피우던 곳으로 은의 주산지다. 스페인에서 온 침략자들은 아스텍인들이 은으로 만든 많은 장신구를 몸에 주렁주렁 달고 다니는 것을 보고 ‘은의 천국’이라 부르며 우순 죽순 은광을 개발했다. 물론 아스텍인들은 은도 빼앗기고 노예처럼 부려졌다. 그 당시 타쓰꼬에서 생산되는 은의 양은 전 세계 생산량에 큰 비중을 차지했다.
강우량도 적은 열대성 기후라 평균 날씨는 일 년 내내 섭씨 18~20도 정도로 선선해 살기 좋고, 고지대인 만큼 소나무, 참나무 등이 많아 공기도 맑다. 10월~5월 사이가 건기로 낙엽이 진다. 스페인 양식의 영향으로 붉은 기와지붕 건물이 많다. 멕시코의 명물 딱정벌레(VW) 택시 기사는 쉴 새 없이 날 쳐다보며 떠들면서도 좁고 꾸불꾸불하고 급경사가 많은 길을 잘도 달린다. 도로는 검은 돌을 촘촘히 깔았고 벽엔 흰 돌을 박아 개성이 넘친다. 인도는 아주 좁지만, 자동차나 사람들은 잘도 다닌다. 도로는 꼭 풍경화 같다. 재미있는 건, 도로의 이정표다. 200년도 넘은 싼따 쁘리스까 성당(Santa Prisca Cathedral) 근처에 황소자리 그림이 보인다. 그쪽으로 가면 정육점이 있다는 말이다.
대부분의 특산품은 은 가공, 은 세공, 은 제품 등 은(銀)은 타쓰꼬의 기반산업인 관광을 크게 떠받치고 있어 은세공업자가 많다. 도시 외곽에 가장 큰 은광이 있으나 은맥의 고갈과 고된 광부 일을 할 사람이 없어 스페인식민지 때부터 이어 오던 은광 산업은 2007년쯤부터 휴업상태다. 영세하던 은 산업은 1920년대 윌리엄 스프레이팅이란 미국인이 이주해 디자인 공방 등을 열고 미국으로 수출하면서 활기를 띠었다. 이때쯤 타쓰코는 관광도시로 탈바꿈한다. 현재, 거리에는 수백 개의 은공방과 은 가공용품점들이 보이고, 5만여 명 주민의 반이 관광산업에 종사한다.
타쓰코는 수도인 멕시코 시티(Mexico D. F.)와 휴양도시 아까뿔꼬(Acapulco) 중간에 있다. 멕시코 시티 버스터미널 아우또부세스 델 수르(Autobuses del Sur)에서 오전 9시~오후 8시까지 고속버스가 매시간 출발한다. 편도 2시간 30분 정도로 요금은 일 인당 200 Pesos(약 15,000원)로 싼 편은 아니다. 그러나, 버스에 화장실도 있고 에어컨과 TV에 음료수까지 제공하고 첫 버스는 간단한 샌드위치까지 준다. 중간중간 보이는 아름다운 산과 경치를 바라보면 어느새 타쓰꼬 시 버스터미널이 보인다. 터미널에서 성당과 상점들이 즐비한 가장 번화가인 중심부 광장 쏘깔로(Zocalo) 까진 걸어갈 거리 정도. 택시나 버스로 가려면, “쏘깔로!”라고 외치면 통한다. 타쓰꼬에서 출발해 멕시코 시티로 돌아오는 버스는 오전 5시~오후 8시까지 운행하며 가격과 소요시간은 비슷하다.
돌바닥이고 급경사 오르막 내리막이 많으니 편한 신발이 좋다. 택시는 대부분 비틀이고 요금도 보통 20~30 Pesos(2,000원 안팎)이면 웬만한데 다 간다. 쏘깔로에 많은 저렴한 꼴렉티보(Collectivo)는 승합차라 여럿이서 한 바퀴 돌기 좋다. 1700년대 건축된 싼따 쁘리스까 성당(Santa Prisca de Taxco)이 도시 중심이다. ‘끄리스또(Cristo)라 불리는 예수 동상이 이정표 역할을 한다. 아름다운 건축물 까사 보르다(Casa Borda)는 은박물관 겸 문화원이다. 2010년에 새롭게 단장해 더욱 많고 아름다운 은세공품들을 전시하고 있다. 산꼭대기에 있는 호텔인 몬떼 타쓰꼬는 텔레페이꼬(Teleferico)라 불리는 곤돌라를 타고 올라간다. 호텔 라운지에선 타쓰꼬 도시 전체가 잘 보여 온종일 관광객들이 북적인다.
은 제품은 다양한 디자인 제품이 많다. 모든 제품엔 “MEXICO 925” 또는 “TAXCO 925″등 순은 보증 낙관이 새겨져 있어 품질을 보증한다. 도심 큰 상점을 벗어나면 가격도 흥정할 수 있고 도심지보다 저렴하다. 도시 중심인 플라자 쎈뜨랄(Plaza Centrál)엔 많은 남녀노소 호객꾼들이 있다. 눈만 마주치면 바로 좌판을 열고 은 제품을 보여주며 흥정을 시작한다. 관심 없으면 그냥 눈길을 피해 외면하거나 오른 검지를 세워 들고 좌우로 두세 번 흔들면 바로 효과 있다.
멕시코 음식은 우리 입맛에도 딱 맞다. 어쩌면 오래전 베링 해를 건너 남쪽으로 내려간 우리 선조쯤일 수도 있을 거다. ‘포졸레(Pozole)’는 말린 옥수수알, 돼지껍질, 아보카도, 토르티야 부스러기 등을 섞어 끓인 수프다. 매주 목요일은 빨강, 초록 수프를 먹는 포졸레 날이다. 그 이외 요일엔 보통 흰색 수프가 나온다. 그냥 현지인들이 가는 골목 식당에 가면 가격은 저렴하고 양은 푸짐한데 해장에 아주 제격이다. 시청 팔라치오(Palacio Municipal) 맞은편에 카페 치포틀레 데 발바스(Cafe Chipotle de Balbas)는 샐러드가 유명한데 오후 6시~새벽 1시까지 영업하며 가벼운 샌드위치에서 풀코스까지 60~90 Pesos(약 5,000~8,000원) 정도로 추천할 만하다.
약 400년 된 호텔 까사 그란데(Hotel Casa Grande)가 인상적이다. 해 질 녘 옥상 테라스에서 보는 따스코의 야경은 황홀하고 신비롭다. 호텔 산따 프리스까(Hotel Santa Prisca)는 나무가 우거진 미니 정원에 조그만 분수도 있다. 야외 수영장이 있는 아구아 에스콘디다(Agua Escondida)는 광장 맞은편에 있어 편리하다. 약 800 Pesos(50,000원) 정도면 하룻밤 묵고 아침 식사까지 할 수 있다. 대부분 무료 WiFi다.
멕시코는 세계 10위의 관광국으로 관광업이 국내 3대 산업 중 하나다. 관광객 대부분은 가까운 미국인과 캐나다인이다. 보이는 동양인은 대부분 일본인이다. 관광자원도 풍부하고 날씨도 온화한데, 2014년 부패인식지수 35점으로 세계 103위, 2015년 언론자유지수 43.69로 180여 개 국가 중 148위다. 정부나 마약 갱단을 비판하는 언론인들이 대로에서 죽어 나가는 나라다.
지난 5월 15일 마약 거래 및 조직범죄를 취재하던 탐사보도 전문기자 하비에르 발데스(Javier Valdez Cárdena) 기자가 대낮 도로에서 살해당했다. 언론인들은 도심에서 피살된 동료의 사진을 들고 항의시위를 한다. 국경없는기자회에 따르면 멕시코는 시리아와 아프가니스탄에 이어 세계에서 3번째로 언론인이 많이 살해되는 나라다. 정권이 부패하면 얼마나 나라가 망가지는지 보여주는 한 예다.
인천공항에서 직항은 없다. 가장 빠른 여정은 인천-샌프란시스코(약 11시간)–멕시코 씨티(약 4시간 반)으로 약 17시간, 또는 인천-나리타(약 2시간 반)–멕시코 시티(약 13시간) 약 17시간. 에어캐나다로 인천-밴쿠버-멕시코 시티 직항이면 미국 ESTA 비용을 아낄 수 있다. 왕복 약 170~220만 원 정도.
타쓰꼬에 얽힌 추억의 쎄뇨리따(Señorita)가 있다. 따스코 초입에 유명한 2층 식당이 있다. 장작에 잘 구워진 닭을 또르띠야에 싸 먹으면 감탄사가 절로 나오는 꽤 이름난 맛집이다. 동양인 그것도 한국이라니까 신기해하던 그 집 막내 딸내미가 눈에 띄게 귀여웠다. 나에게 다음에 또 오면 뭐든지 원하는 거 다 해주겠다고 장난삼아 약속하기에 출장 핑계를 만들어 또 갔었다. 2주 만에 다시 온 나를 보고 반색하며 약속을 지키겠다며 내 손을 잡고 불 꺼진 옥상으로 올라갔는데 어떻게 알았는지 그녀 오빠가 따라 올라와 결국 안타깝게도 그녀는 약속을 못 지켰다.
[저작권자: 뉴스프로, 기사 전문 혹은 부분을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