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Headline / 백악관서 한일 위안부합의 철회 외쳐

백악관서 한일 위안부합의 철회 외쳐

백악관서 한일 위안부합의 철회 외쳐
-위안부합의 철회 박근혜 퇴진이 곧 평화
-환수복지당 평화 미국 원정단 현지 평화단체와 연대 시위

편집부

한일’위안부’합의 철회와 박근혜 퇴진을 요구하는 집회가 28일 백악관 앞에서 열렸다.

환수복지당 평화 미국원정단과 미주민가협양심수후원회, 미국의 반전평화단체 앤서콜리션(ANSWER coalition), 카톨릭워커(Catholic Worker) 등은 집회를 열고 “한일’위안부’합의철회·박근혜 퇴진이 평화다”라고 외쳤다.

참가자들은 “12월 28일 굴욕적인 한일’위안부’합의가 체결된 지 1년이 되는 날”이라며 “우리는 한일’위안부’합의와 한일군사비밀정보보호협정을 체결한 박근혜의 즉각적인 퇴진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또한 한일’위안부’합의를 환영했던 황교안 총리의 사퇴와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의 대선출마 포기를 촉구했다.

환수복지당 평화미국원정단 단장은 여는 발언을 통해 “매국적인 한일합의의 배후에 미국이 있다는 것은 공개된 사실”이라며 “1965년 한일협정, 2015년 한일’위안부’합의의 진짜 주범 미국을 규탄하며 백악관 앞에서 집회를 시작한다”고 말했다.

워싱턴디씨에 사는 동포는 자유발언을 통해 “잘 알다시피 미국 정부가 한국 정부와 일본 정부에게 위안부합의를 졸속 협의할 것을 종용했다. 패전 이후 단 한 번도 사과하지 않은 일본정부, 불의를 조장하는 제안을 내놓은 미국정부, 그러한 굴욕적인 협상에 동의한 한국정부 모두 다 옳지 않다. 그중 가장 분노하는 것은 바로 국민을 지켜주지 못하는 한국정부, 나아가 돈으로 희생자들을 농락한 한국정부다. 한일합의는 당장 폐기되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앤서콜리션의 썬일은 “우리는 부패하고 억압적인 박근혜 정권에 맞서 계속해서 투쟁하는 코리아인들에게 연대를 표하며 이 자리에 있다”며 “작년, 박근혜 정부와 아베 정부가 위안부협정에 사인했을 때, 이것은 한국이 국민의 이익을 일본 제국주의에 종속시키는 것을 순순히 받아들인 신호다. 불행히도 이런 정책들은 박근혜가 퇴진하더라도 황교안 총리에 의해 계속될 것이다”고 지적했다.

함석헌사상연구소의 한 회원은 “역사의 추이는 발전한다. 구시대는 가고 새 시대는 반드시 올 것”이라며 “우리의 아픔이 아픔으로 끝나서는 안 되며 저 무도한 자들의 사죄와 배상을 받아내야 할 것”이라며 메시지를 보냈다.

코리아의 민주주의와 평화를위한 연대위원회 소속의 그레고리 일리치는 이날 집회에 “일본이 제대로 된 배상금을 제공할 때까지, 제국주의 일본이 조직적으로 의식적으로 광범위하게 성노예정책을 실행했다는 것을 인정할 때까지 정의는 실현됐다고 말할 수 없다”는 내용의 연대 메시지를 보냈다.

참가자들은 집회에서 마지막으로 올 한해 세상을 떠난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추모했다.

아래는 성명 전문이다.

[성명서] 한일<위안부>합의철회·박근혜 퇴진이 평화다

12월 28일 굴욕적인 한일<위안부>합의가 체결된 지 1년이 되는 날이다. 박근혜 정부는 일본이 코리아를 침략할 당시 저지른 성노예범죄에 면죄부를 제공했다. 20만 명의 여성들을 성노예로 끌고 간 야만적인 범죄에 대해 어떠한 일본정부의 공식사죄나 법적배상도 없었다. 한일 양국은 피해자들의 요구를 묵살하고 한국 정부가 설립하는 <위안부>재단에 10억 엔(약 108억)의 예산을 출연하는 것으로 협상을 마무리했다. 뿐만 아니라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철거문제까지 합의하며 일본군<위안부>문제를 역사 속에서 지우려고 하고 있다.

지난해 한일<위안부>합의를 체결했던 박근혜 정부는 올해는 11월 23일 한일군사비밀정보보호협정에 서명하며 일본 재침략의 길을 열어주었다. 일본군대에 군사기밀을 넘기고, 상호 군수를 지원하고 국방을 협력하겠다는 이 협정은 코리아를 일본의 식민지로 만들었던 제2의 을사늑약과도 같은 협정이다. 일본 아베 정부는 군국주의 부활을 꿈꾸며 평화헌법을 무력화하고 자위대의 해외진출을 실행에 옮기고 있다. 2차 세계대전 전범국 일본은 다시 전쟁을 할 수 있는 나라가 되고 있으며 동아시아를 비롯한 세계 평화에 큰 위협을 주고 있다.

한일<위안부>합의와 한일군사비밀정보보호협정의 배후에는 미국이 있다. 미국은 한미일 3각군사동맹의 강화를 위해 한일<위안부>합의와 한일군사비밀정보보호협정을 환영했다. 미 국무부는 지난해 12월 28일 <위안부 문제는 우리의 가장 가까운 두 동맹을 지속적으로 긴장시키는 원천이었다.>며 신속하게 <위안부>합의 축하메시지를 보낸 바 있다. 박정희가 체결한 1965년 한일협정의 배후에도 미국이 있었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다. 미국은 아시아· 태평양지역에서 군사패권을 유지하기 위해 한국과 일본과의 동맹을 강화하며 장애요인들을 제거하고 있다. 이는 남북관계를 악화시키고 동북아지역의 평화를 깨뜨리는 큰 위험요소다.

우리는 한일<위안부>합의와 한일군사비밀정보보호협정을 체결한 박근혜의 즉각적인 퇴진을 요구한다. 또 <필요에 따라 일본 자위대가 한국에 들어올 수도 있다>, <위안부합의, 많은 분들이 이 정도도 다행이라 생각한다>는 망언을 일삼은 황교안의 사퇴를 촉구한다. 한편 <위안부합의, 대통령 올바른 용단이었다>며 <역사가 높게 평가할 것>이라고 극찬했던 반기문의 대선출마를 반대한다.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안기고, 일본의 군국주의 부활을 용인하며 재침략 가능성을 열어 준 이들은 심판의 대상이다. <다시는 이 땅에 전쟁이 없어야 하고, 우리 후손들은 우리와 같이 당하지 말아야 한다.>는 일본군<위안부>피해자 할머니들의 목소리를 우리는 절대 잊지 말아야 한다.

– 박근혜는 무조건 즉각 퇴진하라
– 한일<위안부>합의 환영한 황교안 내각 즉각 사퇴하라
– 굴욕적인 일본군<위안부>합의 철회하라
– 한일군사비밀정보보호협정 폐기하라
– 한미일 3각군사동맹 반대한다

2016년 12월 28일 백악관 앞
미주민가협양심수후원회 환수복지당평화미국원정단 앤서콜리션 카톨릭워커

[저작권자: 뉴스프로, 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십시오.]

소셜 댓글
뉴스프로 후원하기

One comment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x

Check Also

미국 애틀란타에서 열린 <김복동>영화 상영회

미국 애틀란타에서 열린 <김복동>영화 상영회 – 인권과 평화의 의미 새겨 –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 책임자처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