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Headline / 해외동포, ‘더불어민주당’에 촉구하는 성명서

해외동포, ‘더불어민주당’에 촉구하는 성명서

해외동포, ‘더불어민주당’에 촉구하는 성명서
-더불어민주당은 박근혜 정권 퇴진 운동의 선봉에 서야
-박근혜 정권의 비리, 철저히 규명 척결 요구

편집부

 

11월 4일 박근혜의 대국민사과 담화 이후, 해외동포들은 박근혜가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지도 못했고,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분노했다. 미동부포럼소속 해외동포들은 박근혜의 하야를 촉구하는 성명서 그리고 더불어민주당에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아래는 그 전문이다.

blog_naver_com_20161105_1013221

<더불어민주당에 촉구하는 성명서>

더불어민주당은 박근혜 정권 퇴진 운동의 선봉에 서야 합니다.

박근혜 게이트로 국기문란을 넘어 국정농단사태로 대통령 스스로 대한민국의 헌법을 훼손하고 국가권력을 불법적으로 사설정부화해 국가의 인사와 천문학적인 강제모금으로 회복할 수 없는 중대한 범죄행위를 저질렀습니다.

11월 4일,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담화에서 사과문을 낭독하는 대통령은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지도 못했고, 어제 한 말은 오늘 거짓말로 판명 나고, 오늘 발표는 내일 또 거짓말이 되풀이되어 국격을 한없이 추락시켜 전 세계적 웃음거리가 되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 조국의 정국은 누란의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또한 더불어민주당을 사랑하고, 지지하는 해외동포들은 너무나 답답한 마음을 가눌 수 없어, 아래와 같은 내용의 권고사항을 더불어민주당에 촉구하고자 합니다.

4.19혁명은 학생들과 시민의 힘으로 이루어져서 혁명의 주체가 정국을 주도하지 못해 혼란이 극심하게 되어 5.16 군사 쿠데타의 불씨가 되었습니다. 6월 항쟁에서도 집권 세력에게 기선을 빼앗겨 군사정권의 아류정권이 탄생할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따라서 이번에는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이 결연히 선봉에 서서 정국을 이끌어 가며 수권 정당으로서 기능을 다하지 못하면, 천우신조의 기회를 놓치고 야합의 정당이 집권할 우려를 배제할 수 없습니다.

박근혜 정권은 국민이 위탁한 신성한 통치권을 악용하여 초헌법적 패륜패덕한 통치행위를 자행함으로써, 이미 그 존립의 근거가 훼손되어 국정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능력과 자격을 상실했으므로 퇴진하는 것이 순리이며, 새누리당도 박근혜 정권의 탄생을 돕고 몰락과정을 함께한 책임을 통감하고, 스스로 해체하던가 자숙하며 정치 2선으로 물러나야 합니다.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의 신임을 가장 많이 수렴한 제1야당입니다. 이런 국가비상시기에는 그 어떤 야당보다도 가장 앞장서 수권 태세를 갖추고, 정국의 주도세력으로 소임을 다할 수 있는 역량을 발휘할 때입니다. 다 썩어 넘어진 박근혜 정권과 그 호위군단 새누리당과 협치를 염두에 두지 않는 것이 정치공학적으로도 현 사태 해결이 더불어민주당의 역사적 책무입니다.

지금 이 헌정중단사태를 신속히 마무리하기 위해서는 더불어민주당이 주도하여, 아래 요구사항을 즉시 이행해 줄 것을 해외동포들은 촉구합니다

첫째; 더불어민주당은 당명으로 최선봉에서 정권퇴진을 강력히 요구해야 하며,

둘째; 야3당이 연대해서 공동대응 방안을 도출하는 정치력을 발휘해야 하고,

셋째; 각 재야시민단체, 종교계, 노동. 농민계, 학계 등을 망라한 “비상범국민회의”를 결성하여

넷째; 비상국민회의에서 과도내각수반을 선출, 국회동의 하에 조각하여 국정을 수행케 한다.

다섯째; 과도내각수반은 조각과 동시에 국회의 동의를 얻어 헌법에 정해진 기한 내에 대선실시를 선포한다.

여섯째; 더불어민주당은 “특별검사제 도입”을 선도해서 박근혜 정권의 비리를 철저히 규명 척결한다.

일곱째; 공정한 선거를 위해 국정원 및 정부기관은 선거에 개입할 수 없도록 공무원 가중처벌법을 입법 조치한다.

2016년 11월 4일

미동부민주포럼 대표 강준화 외 회원일동

*미동부민주포럼은 인권과 민주주의 정착을 염원하는 지역대표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요활동지역은 워싱턴DC, 볼티모어, 버지니아, 달라스, 필라델피아, 뉴저지, 뉴욕, 커네티컷, 보스턴, 시카고, 시애틀, 캘리포니아, 캐나다 토론토, 동경, 한국입니다.

[저작권자: 뉴스프로, 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십시오.]

소셜 댓글
뉴스프로 후원하기

One comment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