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Headline / “미국 본토에 성남 알린다” 이재명 성남시장 미국 순방

“미국 본토에 성남 알린다” 이재명 성남시장 미국 순방

“미국 본토에 성남 알린다” 이재명 성남시장 미국 순방
-자매결연 오로라시 공식 초청방문… 보스턴과 우호교류 협력 다짐
-이재명 시장, 하버드 강연 및 맨스필드재단 초청 간담회 등 ‘광폭 행보’

편집부

1491748_1005097142896649_1312105420945151198_n

이재명 성남시장을 단장으로 한 성남시대표단은 20일부터 11박 13일 동안 워싱턴, 보스턴, 뉴욕, 오로라 등을 미국을 순회하며 ‘성남 알리기’에 나선다.

이 가운데 성남시의 자매도시인 오로라시 방문은 지난 5월 스티브 호건 오로라 시장 부부가 성남을 방문한 이후 오로라 측의 공식 초청으로 성사된 답방이다. 이 시장은 현지에서 오로라시의주요 관계자들과 만나고 양 도시의 교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성남지역 7개 기업으로 구성된 별도의 미국 시장개척단은 대표단 방문 일정에 맞춰 오로라시 등에서 현지 바이어를 상대로 수출상담회를 개최한다. 이 시장은 시장개척단의 미국 진출에 힘을보탠다.

이 시장은 보스턴의 마틴 월시 시장도 만난다. 두 도시의 우호교류 의사를 확인하고 향후 협력사업을 발굴하기 위해 머리를 맞댄다는 계획이다. 보스턴은 창업생태계가 잘 갖춰져 있고 하버드, MIT 등 굴지의 대학이 있는 도시로 경제, 교육, 문화 등 다방면에 걸쳐 미 동부지역의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밖에도 이 시장은 하버드대학교에서 유학생과 교민들을 대상으로 한 초청강연에 나서 성남시의 지방자치 사례를 소개하고 나아가 각종 사회이슈에 대한 자신의 철학을 밝힐 예정이다.

아울러 맨스필드 재단 초청 간담회에도 참석해 남북관계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등 광폭행보를 이어간다. 맨스필드 재단은 미국과 아시아 국가의 이해 및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설립된권위 있는 비영리재단이다. 대북 관계나 위안부 문제 등에 대해 지속적인 입장 표명을 하며 국내에도 널리 알려졌다.

또한 이 시장은 뉴욕 팰리세이즈파크에 위치한 해외최초의 위안부 기림비도 방문 헌화할 예정이다.

한편, 이재명 시장은 스티브 호건 오로라시장의 공식 초청에 따라 부부 동반으로 순방길에 오른다. 이 시장 부인의 모든 경비는 개인비용으로 처리했다. 시는 공식 초청에 의한 부부 동반 국외공무수행 시 개인이 비용을 부담하지 않도록 지방자치단체 세출예산 집행기준 등의 개정을 건의할 예정이다.

[다음은 이재명 성남시장의 미국순방 공식일정이다.]

1. 3/20. 워싱턴 DC도착
18시 워싱턴 교민 간담회-팔레스식당

2. 3/21.
11:30 메릴랜드 한인의원 워싱턴 전교민회장등과 오찬 간담회

14시 맨스필드재단 간담회
18시 워싱턴 주재 기자단 간담회

3. 3/22 보스턴으로 이동

4. 3/23 18시 하버드대학교 강연회 한인학생 및 교민 대상 – 로스쿨 WCC-2012 CLASSROOM

5. 3/24
15시 보스턴시 마틴 왈시 시장 면담
오후에 뉴욕으로 이동

6. 3/25 주요인사 면담 및 뉴욕위안부기림비(팰리세이즈파크) 방문
7. 3/27 콜로라도 오로라시 이동
8. 3/27 ~31 자매도시 공식방문 일정 및 관내기업체 해외상담 지원

성남시 보도자료
제공일자 : 2016년 3월 18일 금요일
부서명 : 기업지원과 국제통상교류팀
담당자 : 성남시대변인
이종빈(031-729-2641)
김남준(031-729-2087)

[저작권자: 뉴스프로, 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십시오.]

소셜 댓글
뉴스프로 후원하기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x

Check Also

타임, 쓰라린 ‘삶의 현장’이 길어 올린 ‘삶과 사람의 정치’

타임, 쓰라린 ‘삶의 현장’이 길어 올린 ‘삶과 사람의 정치’ – 실제로 체험한 절박함이 정치의 원동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