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NYT, “재벌 경영권 분쟁, 투자자 우려 키워”
– 한국 재벌, ‘왕자의 난’으로 홍역 겪어
– 재벌 개혁 필요성 지적하는 보도, 한국 언론 반성해야
미국 유력 신문인 뉴욕타임스(NYT)가 롯데가의 경영권 분쟁을 자세히 다뤄 눈길을 끈다.
롯데가 경영권 분쟁을 바라보는 NYT의 어조는 사뭇 신랄하다. NYT는 22일(화)자 보도를 통해 롯데 창업주의 차남인 신동빈이 형과 아버지를 차례로 밀어내고 경영권을 차지한 과정이 흡사 TV드라마를 방불케 한다고 적었다.
이어 경영권 분쟁을 ‘왕자의 난’으로 표현하면서 한국 재벌치고 이런 분쟁에 흔들리지 않은 재벌은 없었다고 꼬집는다. NYT는 한 걸음 더 들어가 이런 경영권 분쟁이 투자자로 하여금 “복잡한 사업 구조, 그리고 창업주의 마음에 드는 자식에게만 해당되는 승계 고리의 조합으로 인해 수십억 달러의 기업자산을 지닌 기업이 흔들리는 사태를 우려하게 한다”고 비판했다.
NYT 보도는 재벌개혁이 왜 시급한지 일깨운다. 신동빈-신동주 형제의 분쟁이 한창일 때 오로지 서로의 세력다툼을 스포츠 중계하듯 보도만 하고 근본적인 문제를 짚어내지 못한 한국 언론이 반성해야 할 보도이기도 하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NYT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nyti.ms/1QWf76U
‘War of Princes’ Sows Turmoil at South Korean Conglomerate
‘왕자의 난’이 한국 대기업을 소용돌이로 몰아넣다
By CHOE SANG-HUN
SEPT. 22, 2015
Shin Dong-bin, center, the younger son of the founder of the Lotte Group, speaking to reporters at an airport in Seoul, South Korea, a few days after taking control of the conglomerate. Credit Chung Sung-Jun/Getty Images — Agence France-Presse
기업 주도권 쟁취 성공 뒤 며칠 후 한국 서울의 한 공항에서 기자들에게 말하는 롯데 그룹 창립주의 차남 신동빈(가운데).
SEOUL, South Korea — The plot sounds like something out of a Korean television drama.
An executive is kicked out of the management of his family’s $79 billion business empire and suspects his younger brother is behind the move. The elder brother enlists the help of the chairman — their father — in regaining power. But the younger brother dethrones their father, too, and consolidates control of the conglomerate, at least for now.
한국 서울 – 줄거리는 한국 TV 연속극에나 나옴 직한 것이다. 한 임원이 자신의 가족이 가진 790억 달러 거대 기업체의 경영권에서 쫓겨나며 친동생이 그 배후에 있다고 의심한다. 형은 권력을 다시 장악하도록 아버지인 그룹 회장에게 도움을 청한다. 하지만 동생은 아버지 역시 자리에서 몰아내고 대기업의 주도권을 온전히 장악한다. 적어도 지금으로선 그렇다.
Yet this isn’t fiction. It’s the saga of the Lotte Group, a household name in South Korea that includes a nationwide chain of hotels, shopping malls, movie theaters, apartment buildings, coffee shops and burger joints.
하지만 이것은 소설이 아니다. 전국적인 호텔 체인, 쇼핑몰, 영화관, 아파트, 커피숍, 햄버거 가게 등을 소유하고 있는 한국에서 그 이름이 잘 알려진 롯데 그룹의 실제 이야기이다.
Sibling disputes — like the feud this summer between the two sons of Shin Kyuk-ho, the 92-year-old founder of Lotte — are a recurring phenomenon at South Korean chaebol, or family-owned conglomerates. And as small as these squabbles may appear, they have direct implications for the country’s economy. Every major industry in South Korea is dominated by such groups, which include Samsung, Hyundai and LG.
올여름 92세의 롯데 창립주 신격호의 두 아들 사이에 있었던 것과 같은 형제간의 불화는 한국 재벌, 혹은 가족 소유 대기업에서 자주 일어나는 현상이다. 아주 사소한 것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이런 싸움은 한국 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국의 모든 주요 산업은 삼성, 현대, LG와 같은 기업들에 의해 장악된다.
Shin Dong-joo, center, the elder son of the founder of the Lotte Group, lost his management positions in a family feud but remained a substantial shareholder in key companies within the conglomerate. Credit Kyodo, via Reuters
롯데 창업주의 장남인 신동주(가운데)는 집안싸움에서 경영권은 잃었지만, 여전히 대기업 내 핵심 계열사들의 상당 부분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
The country’s lawmakers were concerned enough that they called a parliamentary hearing on Lotte’s troubles last week, in which the younger brother personally apologized for the turmoil.
국회의원들은 우려한 나머지 롯데 문제를 놓고 지난주 국회 청문회를 소집했으며 청문회에서 동생은 물의를 일으킨 것에 대해 개인적으로 사과했다.
“There is hardly any major chaebol group that has not been rocked by a ‘war of princes’; it’s such a volatile issue that it’s a great blessing for Samsung and Hyundai that their current chairmen only had one son,” said Lee Ji-soo, the director of the Law and Business Research Center in Seoul, which monitors chaebol. “When investors demand better corporate governance at chaebol, they include transparency in succession plans.”
“‘왕자들의 난’에 의해 흔들리지 않았던 재벌 그룹은 거의 없다. 왕자의 난은 언제 터질지 모르는 문제여서 현 회장들에게 아들이 단 하나뿐인 삼성이나 현대는 큰 축복을 받은 것이다”고 재벌을 감시하는 역할을 하는 서울의 법과 기업 연구소 이지수 대표가 말했다. “투자자들이 재벌에 기업 경영을 더 잘하라고 요구할 때는 승계 계획에 있어서의 투명성도 포함된다.”
Such governance issues can be alarming to global investors. They fear that the combination of complex business structures and chains of succession tied only to which founder’s child is in favor exposes multibillion-dollar companies to upheaval.
이러한 경영 문제는 전 세계 투자자들에게 경종을 울릴 수 있다. 투자자들은 복잡한 사업 구조, 그리고 창업주의 마음에 드는 자식에게만 해당되는 승계 고리의 조합으로 인해 수십억 달러짜리의 회사가 뒤흔들리는 것을 우려한다.
The families that run the top 10 chaebol own only 2.7 percent of their empires on average, according to government data. But typical chairmen wield what critics call kinglike control over their groups by keeping their companies interlocked through cross-shareholding. Units are supervised by executives whose careers rise and fall at the whims of the chairman.
정부 자료에 따르면 상위 10개 재벌을 운영하는 재벌 가족들이 자신들의 왕국에 대해 가진 소유권은 평균적으로 2.7%에 불과하다. 그러나 전형적인 회장들은 순환출자를 통해 회사를 연동시켜 자신들의 그룹에 대해 비평가들의 말처럼 왕같이 주도권을 행사한다. 각 계열사들은, 회장의 기분에 따라 그 승진의 여부가 달려 있는 임원들에 의해 관리된다.
Lotte, South Korea’s fifth-largest chaebol, is a classic example.
한국에서 다섯 번째 재벌인 롯데가 전형적인 예이다.
Its subsidiaries’ ownerships and futures are entangled in 416 rings of circular shareholding, which would make a diagram explaining it all look like a bowl of spaghetti. The structure is designed in part to prevent hostile takeovers by ensuring that no large stakes will be vulnerable. But it also means financial troubles at one company can easily spill over into the rest of the conglomerate.
롯데 자회사들의 소유권 및 미래는 416개의 순환 출자 고리에 얽혀있으며, 이는 사발 안에 국수 가락이 한데 엉켜있는 모습일 수 있다. 이 구조는 부분적으로는 큰 지분이 손해를 보지 않도록 보장함으로써 적대적 인수합병을 방지하기 위해 고안됐다. 하지만 이것은 또한 한 회사의 재정적 문제가 대기업의 나머지 계열사들에 쉽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Chaebol chairmen delay selecting heirs until late in life. With multibillion-dollar fortunes at stake, their offspring commonly file lawsuits, install surveillance cameras and accuse each other of forging their father’s wills in winner-takes-all struggles.
재벌 회장들은 노년에 이를 때까지 후계자 선택을 연기한다. 그들의 자식들은 수십억 달러의 재산이 걸린 승자 독식 투쟁에서 자주 소송을 제기하고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며 아버지의 유언을 위조했다고 서로를 비방한다.
Family feuds have often broken up chaebol. In 2000, Hyundai was split into four groups by such a spat. In other cases, they have led to prolonged management disarray, as in the episodes at the Doosan and Kumho groups.
가족 간의 불화는 종종 재벌 총수 일가를 분열시키기도 한다. 2000년도 현대는 이 같은 분쟁 탓에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또 다른 경우, 가족 간의 싸움은 두산과 금호 그룹의 일화에서처럼 장기간 경영의 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Lotte is one of South Korea’s biggest employers, with 310,000 people on its payroll at home and abroad. In 2014, its 80 subsidiaries posted 93 trillion won, or $79 billion, in revenue. But it had humble roots.
롯데는 31만 명의 국내외 직원을 거느린, 한국에서 가장 큰 기업 중 하나이다. 2014년 80개 자회사의 매출은 93조 원 또는 790억 달러를 기록했다. 그러나 롯데의 시작은 미미했다.
Mr. Shin stowed away on a ship to Japan in 1941, when Korea was still a Japanese colony. There, he attended college and started a chewing gum company, later expanding his business to his home country. His Korean wife died young, leaving him with a daughter. He later had two sons with his Japanese wife: Dong-joo, 61, put in charge of Lotte’s operation in Japan; and Dong-bin, 60, the leader of Lotte in South Korea.
신 회장은 아직 한국이 일본의 식민지였던 시절인 1941년 배를 타고 일본으로 밀항했다. 일본에서 그는 대학을 다녔고 껌 만드는 회사를 시작했으며 훗날 고국으로 사업을 확장했다. 그의 한국인 아내는 딸 한 명을 남기고 젊어서 사망했다. 후에 그는 일본인 아내와 두 아들을 낳았는데, 61세의 신동주는 일본에서 롯데 운영의 책임을 지고 있으며 60세의 신동빈은 한국에서 롯데를 이끌고 있다.
While Lotte’s growth stalled in Japan, the younger son, Dong-bin, helped build it into South Korea’s No. 1 retail giant through mergers and acquisitions. Under his leadership, Lotte expanded its petrochemical business, opened a chain of shopping malls in China and Vietnam and bought hotels abroad, including the New York Palace Hotel. It is building the 1,821-foot Lotte World Tower, South Korea’s tallest building, in Seoul.
롯데의 성장은 일본에서는 교착상태에 빠진 반면에 동생 신동빈은 롯데를 한국에서 기업 인수합병을 통해 제1의 유통업체로 만드는 데 기여했다. 그의 경영권 하에 롯데는 석유화학 사업까지 확장했으며, 중국과 베트남에 쇼핑몰 지점들을 오픈 했고, 뉴욕 팰리스 호텔을 포함한 해외의 호텔들을 사들였다. 롯데는 현재 한국에서 가장 높은 1,821피트(555m) 높이의 롯데 월드 타워를 서울에 건설하고 있다.
Then, over several months starting at the end of 2014, Dong-joo was stripped of responsibility.
2014년 말부터 몇 개월 동안 신동주는 모든 경영권을 박탈당했다.
“It’s father, who is doing this,” Dong-bin told reporters in January, referring to his elder brother’s being edged out.
쫓겨 나는 형을 언급하면서 “이렇게 하는 분은 아버지시다”라고 신동빈은 1월 기자들에게 말했다.
In mid-July, Dong-bin was named chief executive of Lotte Holdings of Japan, the de facto holding company of the entire group. But Dong-joo fought back, appealing to his father and rallying support from uncles and his half sister, who local media said “holds the ears” of the wheelchair-bound patriarch. In late July, Dong-joo said the father had ordered the removal of Dong-bin and his allies from the board of Lotte Holdings.
7월 중순에 신동빈은 사실상의 전체 그룹의 지주회사인 일본 롯데 홀딩스의 회장에 임명됐다. 그러나 신동주는 아버지에게 호소하고 삼촌들과 이복 누나로부터 동맹 지원을 받으며 반격했다. 그의 이복 누나는 휠체어 생활을 하는 아버지의 “귀를 대신하는 역할”을 한다고 지역 언론은 말했다. 7월 말 신동주는 아버지가 신동빈과 그 측근을 롯데 홀딩스의 이사회에서 축출할 것을 명했다고 말했다.
The next day, however, Dong-bin convened a board meeting, where Mr. Shin’s order was nullified and the father was stripped of his chairman’s title.
그러나 다음 날 신동빈은 이사회를 소집했고 그 이사회에서 신 회장의 명령은 무효화 되었으며 아버지는 회장직을 강탈당했다.
In early August, the battle reached a crescendo. Dong-joo called his younger brother an ingrate mutinous son who had gone “against father’s will” in his greed to run the whole empire. Dong-joo also released documents anointing him as heir, which he said had been signed by his father.
8월 초에 그 싸움은 최고조에 달했다. 신동주는 자신의 동생을 롯데 제국을 운영하기 위한 탐욕으로 “아버지의 뜻”에 반하는 배은망덕하고 반항하는 아들이라고 불렀다. 신동주는 또한 자신을 계승자로 추대하는 서류를 공개했으며, 그 서류에 자신의 아버지가 서명했다고 말했다.
“Shin Dong-bin has no authority, no justification,” a frail Mr. Shin said, reading haltingly from a prepared statement, in video footage released by Dong-joo. “I can never understand or tolerate him for trying to exclude me, his father, from Lotte Group, which I have built for 70 years.”
신동주가 공개한 비디오 영상에서 “신동빈은 권한도 정당성도 없다”고 허약한 신 회장은 준비된 서류를 더듬거리며 읽으며 말했다. “내가 지난 70년 동안 가꿔온 롯데그룹에서 아버지인 나를 쫓아내려는 신동빈을 이해할 수도 용서할 수도 없다.”
Supporters of Dong-bin called his older brother an incompetent manager and accused him and his cronies of “brainwashing” Mr. Shin’s “addled mind” and plotting to split the group. To chaebol watchers, such comments crossed a line: It is taboo for chaebol managers to speak in public about the condition of a chairman.
신동빈의 지지자들은 그의 형을 무능력한 경영자라고 부르며 그와 그의 측근들이 신 회장의 “혼란스러운 마음”을 “세뇌시키고” 그룹을 분열시키려는 음모를 꾸민다고 비난했다. 재벌 전문가들이 보기에 그러한 표현들은 선을 넘은 것이다: 재벌 경영자들이 회장의 건강 상태에 대해 공공연하게 언급하는 것은 금기이기 때문이다.
“Lotte is what it is today due to the great leadership of the general chairman,” said Hwang Kag-gyu, a Lotte executive and an ally of Dong-bin, referring to the founder. “If you compare the performances of the two brothers, it’s clear who is the proven leader, who is better for the group and for its stakeholders and employees.”
“롯데는 총괄회장님의 위대한 지도력 때문에 지금의 롯데가 되었다”고 창업주에 대해 황강규 롯데 사장이자 신동빈의 측근이 말했다. “두 형제의 업무수행능력을 비교해보면 누가 증명된 리더인지, 누가 그룹과 주주들과 직원들을 위해 더 나은지 명확해진다.”
By mid-August, the dust had settled, with Dong-bin emerging as the victor. Shareholders of Lotte Holdings approved his leadership and his management plans, but the sibling dispute is not completely over. Dong-joo still is a major shareholder in key Lotte companies, and each brother has threatened to take the other to court.
8월 중순 무렵 그 싸움은 신동빈이 승자로 나타나면서 끝났다. 롯데 홀딩스의 주주들은 그의 리더십과 경영계획들을 인정하고 받아들였다. 그러나 형제간의 논쟁이 완전히 정리된 것이 아니다. 신동주는 여전히 주요 롯데 기업들의 대주주이며, 두 형제는 상대방을 법정에 세우겠다고 서로 위협하고 있다.
“The management of the group remains in a medieval era,” Chosun Ilbo, a South Korean daily, said in an editorial.
“그룹 경영 방식이 중세시대에 머물러 있다”고 한국 일간지 조선일보는 사설에서 말했다.
Dong-bin said the company would spend 7 trillion won, or about $5.9 billion, to remove many of the interlocking shareholder rings. That would make the conglomerate more resilient to losses at any of its component companies.
신동빈은 롯데가 서로 얽힌 다수의 주주 연결고리를 제거하기 위해 7조 원, 대략 59억 달러를 소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것은 롯데 기업이 계열사들의 손실을 더욱 잘 이겨내도록 해줄 것이다.
“This happened because while Lotte has been growing, it didn’t do enough to improve its ownership structure and management transparency,” he said, bowing in apology at a news conference in Seoul last month.
“이와 같은 일은 롯데가 성장하고 있는 동안 롯데의 소유권과 경영 투명성을 충분히 개선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했다”고 지난달 서울에서 가진 기자 회견에서 고개 숙여 사과하며 그는 말했다.
He said that he still respected his father. But, he added, “management is separate from the family.”
그는 자신은 여전히 아버지를 존경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경영과 가족은 별개다”고 덧붙였다.
[번역 저작권자: 뉴스프로, 번역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십시오.]
아고라 http://bit.ly/1LERi3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