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타임스, 비무장지대 여성 평화행진 남북 모두 승인
– 휴전 상태인 한반도에서 영구적 평화 협정 추진 목적
– 지뢰와 철조망으로 보호되는 군사 경계 지역 도보 횡단
뉴욕타임스는 24일 국제 여성 운동가들이 한반도의 영구적인 평화 정착을 추진하려는 목적으로 한반도의 비무장지대를 걸어서 가로지를 예정이라는 소식을 보도하고 남북한 정부 모두 이를 조건부로 승인했다고 전했다.
글로리아 스타이넘 등 저명한 여성해방운동가와 노벨상 수상자들이 참여하는 이번 걷기 행사의 의도에 대해 주최 측은 한국 전쟁은 원칙적으로 끝난 것이 아니라 ‘잠시 중단한 것’일 뿐이며 “우리는 아직 끝나지 않은 세계의 가장 긴 전쟁에 대한 종식을 요구하며, 여성들이 평화 협상 과정의 모든 부분에 참여하기를 요구한다”고 밝히고 지지를 촉구했다.
주최 측은 한국이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식되지 않은 유일한 국가”라고 말하며 제2차 세계대전의 여파로 냉전 세력들에 의해 반으로 갈린 남북한의 파국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대화를 통해 휴전에서 정전으로 바꾸는 평화 협정에 사인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뉴욕타임스는 이번 행사에서 약 30명의 세계의 여성 운동가들이 평양에서 출발해 남과 북을 가르는 2마일의 구간을 걸을 예정이며 이 구간은 군사력이 가장 집결된 경계 지역 중 하나로 지뢰와 철조망으로 보호되어있다고 밝혔다.
기사에서는 이들이 이번 행사에 대해 순진하다는 비판을 들었으나 여성들이 세계적으로 어려운 분쟁 해결에 핵심역할을 한 것을 예로 들며 이러한 비판은 단지 성차별적 편견을 반영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일축하고 북한의 인권에 대해 침묵한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장기적인 평화 구축을 위한 노력에서 공격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뉴욕타임스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nyti.ms/1KrxHjP
Activists Say Both North Korea and South Korea Approve Women’s Peace Walk
여성 평화행진 남북한 모두 승인한 것으로
By RICK GLADSTONE, APRIL 24, 2015
Organizers of a women’s international peace walk across the Korean Peninsula’s heavily mined Demilitarized Zone next month said Friday that the governments of both North and South Korea had given their conditional approval for the event, which is meant to create new pressure for a formal end to the Korean War. But the organizers acknowledged that they did not yet have the final written confirmations or visa approvals.
지뢰가 다량 매설된 한반도의 비무장지대를 가로지르는 여성 국제평화행진의 주최 측은 한국전쟁의 공식적인 종전을 위한 새로운 추진력을 실으려는 이번 행사에 대해 남북한 정부 모두 조건부의 승인을 했다고 금요일 말했다. 하지만 주최 측은 문서화된 최종 허가나 비자는 아직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Participants in the walk, which includes a number of Nobel laureates and disarmament activists, are planning to go regardless and have purchased plane tickets, the organizers said. North Korea, the starting point for the May 24 walk, also has presented the organizers with a tentative itinerary.
노벨상 수상자와 평화군축활동가들을 포함한 이번 행진의 참가자들은 이에 개의치 않고 참여할 계획이며 비행기 표를 구매했다고 주최 측은 말했다. 5월 24일의 출발지인 북한 역시 주최 측에 임시 일정을 제공했다.
“At this point we consider having obtained the approval of both governments,” said Suzy Kim, a professor of Korean history at Rutgers University who is one of the organizers of the event, which was first announced last month. “It just takes some paperwork to proceed.”
“현시점에서 우리는 양쪽 정부로부터 허가를 받은 것으로 여긴다”고 지난달 처음 발의된 이번 행사의 주최자 중 한 명인 럿거스 대학의 한국사 교수인 수지 김이 말했다. “서류를 갖출 일만 남아 있을 뿐이다.”
The organizers, who also include Gloria Steinem, the feminist author and an honorary co-chairwoman, held a news conference in New York to provide an update on their progress in arranging the walk, which was conceived to punctuate their desire for a permanent peace treaty to replace the armistice that halted — but technically never ended — the 1950-1953 Korean War.
여성해방주의 작가이자 명예 공동의장인 글로리아 스타이넘 역시 포함된 주최 측은 행진 준비 과정의 진행 사항을 알려주기 위해 뉴욕에서 기자회견을 열었으며, 이 행사는 1950-1953년에 걸친 한국전쟁을 중단시킨 휴전협정- 엄밀하게 말해 전쟁은 종식되지 않았다-을 대신할 영구적인 평화조약을 위한 자신들의 요구를 추진하기 위해 기획됐다.
That conflict, one of the bloodiest of modern times, left an estimated four million people dead, mostly Koreans but including nearly 34,000 American soldiers killed in combat. It separated millions of families and is an enduring vestige of World War II’s aftermath, when Korea was divided by the Cold War powers.
현대시대의 가장 참혹한 전쟁 중 하나였던 한국전쟁은 전투에서 사망한 3만 4천 명에 가까운 미국 병사들을 포함해 대부분은 한국인이었던 대략 4백만 명의 사망자를 남겼다. 한국전쟁은 수백만 명의 이산가족을 만들어냈으며 제2차 세계대전의 여파로 냉전 세력들이 한반도를 나누었던 사건이 남긴 영구적인 흔적이다.
“We’re calling for an end to the world’s longest war, which has not ended, and for women to be involved in all aspects of the peace process,” said Cora Weiss, a longtime American antiwar activist and president of The Hague Appeal for Peace, who is involved in planning the walk.
“우리는 아직 끝나지 않은 세계의 가장 긴 전쟁에 대한 종식을 요구하며, 여성들이 평화 협상 과정의 모든 부분에 참여하기를 요구한다”고 행진 기획에 관여하고 있는 미국의 오랜 반전활동가이며 ‘헤이그평화탄원’의 의장인 코라 바이스가 말했다.
Hyun-Kyung Chung, a professor at the Union Theological Seminary, who also is helping arrange the walk and a related peace symposium in South Korea, told the news conference that Korea was “the only country where World War II is not over.”
한국에서의 이번 행진 행사와 이와 연관된 평화 학술대회 준비를 돕고 있는 유니온 신학대 정현경 교수는 한국이 “제2차 세계대전이 종식되지 않은 유일한 국가”라고 기자회견에서 말했다.
The plan is for the participants, about 30 female peace activists from around the world, to fly to Pyongyang, the capital of North Korea, and walk the two-mile-wide stretch of land that separates North and South, one of the most militarized borders, protected by land mines and barbed wire.
그 계획은 약 30명의 세계의 여성 평화운동가들이 북한의 수도인 평양으로 입국해서, 남과 북을 가르는 2마일의 구간을 걷는 것으로 이 구간은 가장 군사력이 집결된 경계 지역 중 하나로, 지뢰와 철조망으로 보호되어있다.
Initially dismissed by some critics as naive, the organizers have pointed out that female activists played critically important roles in resolving other seemingly intractable conflicts, most notably the sectarian strife that ravaged Northern Ireland in the 1970s and the civil war that upended Liberia more than a decade ago. Ms. Steinem also said the criticism reflected gender bias, asserting that even the Army War College has said that “the only way to prevent the outbreak of catastrophic confrontation is to reach agreement on ending the armistice from the Korean War, in essence a peace agreement, and give a formal security guarantee to North Korea tied to nonproliferation – in other words, it is talking.”
처음엔 순진하다는 비판을 받으며 무시당했지만, 이 행진 조직위원회는 여성 운동가들이 해결이 불가능해 보이던 다른 갈등들을 해결하는 데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가장 유명하게는 1970년대 북아일랜드를 황폐하게 했던 종파분쟁, 10여 년 전 라이베리아 정부를 전복시킨 내전들의 경우가 그 예이다. 스타이넘은 또한 그러한 비판은 성차별적 편견을 반영하며, 미 육군전쟁대학조차 “파국적 갈등을 막는 유일한 방법은 한국 전쟁의 휴전 상태를 종식하는 것, 즉 평화 협정에의 합의에 이르는 것이며 핵확산방지 아래 북한 체제의 안보를 합법적으로 보장해주는 것, 다른 말로 하면 대화를 하는 것이다”고 말했다고 주장했다.
The organizers also rejected criticism by some human rights advocates that their engagement with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had conspicuously avoided challenging that country’s political repressions and human rights record. “If we’re trying to initiate a project for long-term peacebuilding measures, it seems that it’s not quite right to go in with an attack,” Ms. Kim said.
주최 측은 또한 북한 당국과 관계를 맺으며 북한의 정치와 인권 억압을 비판하는 것을 명백히 피해왔다는 일부 인권 운동가들의 비판을 반박했다. “만약 우리가 장기적 평화 구축을 위한 프로젝트를 시작하고자 한다면, 공격을 하며 그렇게 하는 것은 옳지 않아 보인다”고 김 씨는 말했다.
Ms. Chung also suggested that discussions of such issues, at this stage, would be counterproductive. “When you go out on a first date, you don’t talk about all the bad things you did last summer.” she said.
정 씨 또한 현시점에서 그런 문제를 논하는 것은 역효과를 낳을 것이라고 말했다. “첫 번째 데이트에 나가서 지난여름에 지신이 저지른 모든 나쁜 일들에 관해서 이야기하진 않는다”고 그녀는 말했다.
[번역 저작권자: 뉴스프로, 번역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십시오.]
아고라 http://bit.ly/1JzaiQ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