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조현아 유죄판결로 한국 재벌 개혁에 압력 증대 보도
-조씨의 기이한 행동은 부와 권력을 독점한 한국 재벌의 전형
-한국 재벌들의 특권, 독점, 권력, 가족승계 등 재벌의 운영 방식에 도전할 시기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21일 사설에서 대한항공 조현아 부사장의 기이한 행동이 재벌의 전형을 보인 것으로, 한국인들은 오랫동안 한국의 재벌들에 대해 비난의 소리를 높여왔다고 전했다.
사설은 재벌들이 그동안 가벼운 처벌이나 대통령 사면으로 면죄를 받았지만, 대한항공 조현아 부사장이 비행항로 변경 강요, 여객기의 기장에 대한 업무방해, 승무원을 비행기에서 내리도록 강요한 것, 그리고 승무원에 대한 폭행으로 기소되어 유죄판결을 받음으로써 그러한 관행이 깨졌다고 전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아울러 이 사건이 재벌 제도의 개혁에 대한 압력을 증대시켰고 지금이 특권과 독점, 가족승계로 점철된 재벌들의 권력에 도전할 시기라고 전했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사설 전문이다.
번역 감수: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bit.ly/1GmDZzn
Time to challenge power of the rich
부자들의 권력에 도전해야 할 시기
SCMP Editorial
PUBLISHED : Saturday, 21 February, 2015, 12:31am
UPDATED : Saturday, 21 February, 2015, 12:40am
Cho Hyun-ah is taken to prison after the verdict. Photo: Reuters
선고 후 조현아를 감옥으로 데려가고 있다.
The jailing of Korean Air heiress Cho Hyun-ah for her tantrum over the way nuts were served to her in first class as a flight was about to take off was inevitable. Koreans have long been voicing disapproval at the way the country’s giant conglomerates, the chaebol, operate and have questioned the power of the wealthy families that control them. The rare instances where court cases have arisen have usually ended in suspended sentences and a presidential pardon. Whether the one-year term is sufficient justice continues to be a topic of public debate, but that is less the point than that a judge has finally put the law before the identity of the accused.
여객기가 이륙하려던 순간에 일등석에서 견과류가 제공되는 방식을 두고 성질을 부린 대한항공의 상속녀 조현아가 수감되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었다. 한국인들은 오랫동안 한국의 거대 기업, 재벌이 운영하는 방식에 대해 비난의 소리를 높여왔고 재벌기업을 지배하는 부유한 일가들의 권력을 문제 삼았다. 법정 소송이 제기된 드문 경우에도 보통 집행유예나 대통령사면으로 끝나곤 했다. 1년형이 충분한 처벌인지는 계속해서 대중의 토론 주제가 될 것이지만, 보다 중요한 점은 판사가 마침내 피고의 신분보다 법을 우선했다는 점이다.
Cho’s antics typified what Koreans have come to expect of the sons and daughters of the heads of chaebol. The daughter of Korean Air’s chairman had ordered the chief flight attendant off a December 5 flight for her having been served macadamia nuts in a packet rather than a bowl. At the time, she was the airline’s head of cabin service, but travelling as a passenger; she used her position to force the plane back to the New York airport gate so that the offending crew member could disembark. Her resignation did not calm the outrage. Charges were laid that led to guilty verdicts for forcing a flight to change its route, obstructing the flight’s captain, forcing a crew member off a plane, and assaulting a crew member.
조 씨의 기이한 행동은 한국인들이 재벌총수들의 아들과 딸들에 대해 기대하게 된 행동의 전형이었다. 대한항공 회장의 딸은 자신에게 마카디아 넛이 접시가 아닌 봉지에 담겨 제공된 것 때문에 사무장을 12월 5일의 여객기에서 내리도록 지시했다. 당시 그녀는 기내서비스 총괄 부사장이었으나, 승객으로서 여행을 하고 있었다; 그녀는 자신의 직위를 이용해 비행기를 뉴욕 공항 게이트로 되돌려 문제의 승무원이 내리도록 했다. 그녀가 사임한 것으로 분노는 진정되지 않았다. 비행항로 변경 강요, 여객기의 기장에 대한 업무방해, 승무원을 비행기에서 내리도록 강요한 것, 그리고 승무원에 대한 폭행으로 기소됐고 유죄판결을 받았다.
The incident has heightened pressure for reforms of the chaebol system. Presidential candidates for elections in 2013 had promised change to a model that has allowed privilege, monopolies and far-reaching powers in society, but there has been little follow-through. One-third of the South Korean economy is controlled by just 30 companies and most are run by founding families that are able to exert unchallengeable power through having small, but controlling, interests. Top jobs are passed among members without regard for qualification or abilities. Chaebol helped the nation become Asia’s third-biggest economy, but the incident known as “nut rage” has made clear why it is time for a rethink.
이 사건은 재벌 제도의 개혁에 대한 압력을 증대시켰다. 2013년(2012년, 역주) 대선 후보들은 특권, 독점, 그리고 사회에서의 광범위한 권력을 허용했던 방식을 바꾸겠다고 약속했으나, 관철된 것은 거의 없다. 한국 경제의 1/3이 약 30개의 회사에 의해서 지배되고 대부분은 창업자 가족들에 의해서 운영되며, 그들은 수적으론 적지만, 기업지배권을 소유하여 도전할 수 없는 권력을 행사할 수 있다. 최고직들은 적합도나 능력에 상관없이 가족들에게 승계된다. 재벌은 한국이 아시아에서 세 번째로 큰 경제국이 되도록 도왔으나 “땅콩 분노”로 알려진 이 사건은 왜 이제 이를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시점인지를 명확히 해줬다.
[번역 저작권자: 뉴스프로, 번역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십시오.]
아고라 http://bit.ly/1DPmVl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