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넷 뉴스, 초대형 러버덕 문제의 석촌호수에 띄워져
– 러버덕 후원자는 초고층 빌딩을 짓고 있는 롯데
– 공사장 인근 싱크홀, 석촌호수 수위 감소로 정밀조사 시작
예술 관련 뉴스를 보도하는 미국기반의 매체 아트넷 뉴스가 22일 “Is Giant Rubber Duck Masking an Environmental Disaster? – 초대형 러버덕, 환경재해를 감추려는 의도?” 라는 제목으로 석촌호수에 띄워진 러버덕을 둘러싼 논란을 보도했다.
아트넷 뉴스는 “자신의 러버덕은 예술적인 “촉매”이고 홍보성 과시행위로 이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작가 호프만의 말을 인용했으며 러버덕 프로젝트의 후원자가 최근 논란이 된 2016년 말 완공예정으로 123층의 고층빌딩을 짓고 있는 롯데라고 전했다.
특히 이 매체는 싱크홀이 공사현장 인근지역에 나타난 것과 석촌호수의 수위가 감소하기 시작해 안전에 대한 정밀조사가 시작되며 공사가 난관에 부딪혔다고 소개하며, 러버덕이 문제의 석촌호수에 띄웠졌다고 전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환경문제들과 공사현장 사이의 확인된 연관성은 없다”고 전하며 이 전시물이 세월호 참사로 인한 슬픔과 비탄을 달래는 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는 호프만의 말도 함께 전했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아트넷 뉴스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artnt.cm/1uEZfsp
Is Giant Rubber Duck Masking an Environmental Disaster?
초대형 러버덕, 환경재해를 감추려는 의도?
Zoe Li, Wednesday, October 22, 2014
Florentijn Hofman’s rubber duck in Taiwan. Via: www.florentijnhofman.nl
타이완에 모습을 보인 플로렌틴 호프만의 러버덕
Florentijn Hofman’s rubber duck is at it again. This time, the giant inflatable art piece is in Seoul, sitting in the middle of a controversial $3.3 billion development project. According to the artist, his rubber duck is an artistic “catalyst” and won’t be hijacked for PR stunts. But is that really so?
플로렌틴 호프만의 러버덕이 다시 나타났다. 이번에는 공기로 부풀리는 이 초대형 예술작품이 서울시에서 한참 논쟁이 되고 있는 33억 달러의 개발 계획의 중심에 놓여졌다. 작가에 따르면 자신의 러버덕은 예술적인 “촉매”이고 홍보성 과시행위로 이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과연 정말 그럴까?
The Lotte Group is constructing what it hopes will be Asia’s largest shopping mall in a landmark 123-story-tall structure, dubbed the Lotte World Tower. It is scheduled for completion by the end of 2016. But the project hit a snag when sinkholes began to appear in the area and the water level of nearby Seokchon Lake began to decline, sparking intense public scrutiny over the safety of the development.
롯데그룹은 아시아에서 가장 큰 쇼핑몰이 될것을 기대하며 롯데월드 타워라고 불리는 획기적인 123층 높이의 건축물의 공사를 하고 있다. 이는 2016년 말 완공예정이다. 그러나 싱크홀들이 인근지역에 나타나기 시작하고 석촌호수의 수위가 감소하기 시작해서 개발의 안전에 대한 철저한 공공의 정밀조사가 시작되며 난관에 부딪히고 있다.
So far there is no confirmed link between the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 construction site. The project won approval from authorities to open its first phase on October 14 and the rubber duck floated on the troubled Seokchon Lake to mark the occasion.
아직까지 환경문제들과 공사현장 사이의 확인된 연관성은 없다. 프로젝트는 10월 14일에 첫 단계의 개장 승인을 정부당국으로부터 얻어냈으며 이를 기념하기위해 러버덕을 문제의 석촌호수에 띄웠다.
Dutch artist Hofman insists that the environmental issues were all “purely coincidental” and that Lotte had contacted him as early as last year to bring the sculpture to Seoul.
네덜란드 미술가 호프만은 환경문제들은 다 “순수하게 우연”이며 롯데가 이 조형물을 서울에 가져오기 위해 이미 지난 해 초에 자신에게 연락했다고 주장한다.
“Each project rubber duck in the world needs a sponsor, and in this case it’s Lotte. And that’s it,” the Dutch artist told reporters in Korea on Tuesday, according to Yonhap News.
연합뉴스에 따르면, “세계의 곳곳의 러버덕 프로젝트는 후원자가 필요하며, 이 번 경우는 후원자가 롯데다. 단지 그뿐이다”고 네덜란드 미술가가 지난 화요일 서울에서 기자들에게 말했다.
The blow-up bird has toured the world, becoming a smash-hit in each city it visits, including Hong Kong, Sydney, and Sao Paolo (see “Giant Rubber Duck Vanishes in Chinese Flood“). So far, more than 700,000 people have visited the duck’s month-long outing in Seoul, according to the Songpa Ward office that co-hosts the project. Five thousand miniature versions of the duck, each signed by the artist, have mostly sold out.
공기를 채워 부풀려진 새는 세계를 순회해왔으며 홍콩, 시드니와 상파올로(“거대 러버덕 중국 홍수로 사라지다” 기사 보기) 를 포함한 각각의 도시 방문마다 대성공이었다. 프로젝트를 공동 주최하는 송파구청에 따르면 지금까지 7십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러버덕의 한달 동안의 서울로의 유람을 보러 왔다. 작가가 서명한 5천개의 축소모형판 러버덕은 거의 완매됐다.
Hofman said he had expected the rubber duck to be provocative: “I always say that the rubber duck is a catalyst. It simply shows what’s here. If there are problems in the vicinity because of the tower, it simply shows it and starts a conversation.”
호프만은 러버덕이 도발적이길 기대했다고 말했다: “나는 항상 러버덕이 촉매라고 말한다. 그것은 단순히 여기에 있는 것을 보여줄 뿐이다. 타워 때문에 인근에 문제들이 있다면 러버덕은 단순히 그 문제를 보여주고 대화를 시작하게 해준다.”
He also told Korean media that he hopes his public artwork can help to relieve the mass grief following April’s Sewol ferry tragedy in which more than 300 people died, most of them high school students heading for a school field trip (see “Artist-Owner of Sewol Ferry Found Dead“).
그는 또한 학교 수학여행을 위해 가던 대부분이 고등학생들인 300명 이상이 사망한 지난 4월의 세월호 참사에 따른 큰 슬픔을 달래는 데에 자신의 공공 예술작품이 도움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한국 언론에 말했다(“세월호 여객선 소유주인 예술가, 시체로 발견” 기사 참조).
“I feel very connected because it was on my birthday. It’s an honor to bring this project here, and if it can help relieve some grief and sadness, I’ll be very happy,” says Hofman.
“세월호 사고가 일어난 날이 내 생일이었기 때문에 나와 연관이 깊이 된 듯 여겨진다. 이 프로젝트를 이곳에 가져온 것을 영광으로 여기며 러버덕이 비탄과 슬픔을 덜어주는 데 도움이 된다면 아주 행복할것이다”고 호프만은 말한다.
The artist explained that he chose to exhibit the rubber duck on the controversial Seokchon Lake because it offered a close-up, 360-degree view of the sculpture.
그 미술가는 논란거리인 석촌호수에 러버덕을 전시하기로 결정한 것은 석촌호수에서 그 조형물을 아주 가까이, 360도에서 볼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When asked further about the problem of sponsorship for his massive installations, Hofman said: “If you look at a museum, it’s also paid by companies. A museum also brings in people, they want money to show art … I think a commissioner who brings a rubber duck has benefits; I’m not blind. But they respect the art to stand alone.”
자신의 거대 조형물에 대한 협찬 문제에 대해 더 질문 받자 호프만은 “미술관을 예로 들면 미술관도 기업에 의해 지원받는다. 미술관 역시 관람객을 불러오고, 예술을 보여주기 위해 돈을 요구한다… 러버덕을 유치하는 사람들에게 경제적 이득이 있으리라 생각한다; 나도 보지 못하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그들은 예술을 존중해 참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번역 저작권자: 뉴스프로, 번역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십시오.]
아고라 http://bit.ly/1pLUb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