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Headline / 글로벌포스트에까지 박근혜 사라진 7시간 등장

글로벌포스트에까지 박근혜 사라진 7시간 등장

글로벌포스트에까지 박근혜 사라진 7시간 등장
-교토통신 기사 받아 산케이 고소 보도
-‘朴 최근 이혼 전 보좌관 만났을지 모른다’ 보도 문제 삼아

세월호 침몰 당시 박근혜의 사라진 7시간이 이를 다룬 산케이신문에 대한 관변보수단체의 고소와 외교부와 청와대의 강경 발언 등으로 오히려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국제관계 전문 뉴스만을 게재하는 미국의 온라인 뉴스인 글로벌포스트가 12일 교토통신의 기사를 받아 게재함으로서 이제 박근혜의 사라진 7시간은 아시아권을 넘어 전 세계적인 스포트라이트를 받게 됐다.

글로벌포스트에 올라온 교토통신의 ‘S. Korea raps Japanese daily for “defaming” president-한국, 대통령에 대한 “명예훼손”이라 일본 신문 비방’이라는 제목의 이 기사는 “그 기사는 근거도 없는 소문으로 가득했고 국가원수의 명예를 훼손하는 악의적인 보도이다”라는 외교부 한혜진 부대변인의 발언 소개로 소문의 내용과 이를 보도한 산케이신문 고소사실을 전하고 있다.

교토통신은 이 기사가 증권가의 루머와 한국 신문을 인용하며, 이 기사는 미혼인 박 대통령이 세월호가 전복됐던 날 7시간 동안 청와대에 없었고 비밀리에 최근 이혼한 전 보좌관을 만났고 있었을지도 모른다고 보도했고 청와대는 이 기사와 소문들을 묵살했지만 한 보수단체장을 맡고 있는 남성의 산케이신문 서울지국을 명예훼손으로 고발했다고 보도했다.

이 기사는 가토 지국장이 출국금지를 당했으며 그 기사가 한국의 국회에서 나온 발언과 한국 신문의 칼럼에 나와 있는 정보에 의거해 밝혔다는 산케이신문의 입장을 전했다. ‘아니다’라고 말하면 말할수록 점점 더 소문은 확산되어가는 형국이다.

사정이 이렇게 커지자 청와대도 박근혜가 청와대 경내에 있었다고 밝히거나 최근 새누리당의 의원을 통하여 박근혜가 사고 당일 21차례 보고받은 사실을 시간별로 정리해 발표했지만 이 발표만으로는 여전히 박근혜가 직접 대면하여 보고를 받았는지, 21차례의 보고 중 왜 두 차례만 지시를 내렸는지, 보고를 받고 어떤 대응책을 누구와 상의했는지에 대한 것은 여전히 알 수 없어 의혹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

박근혜는 처음부터 대통령의 동선은 국가기밀이라든지, 사생활이라든지 하는 엉뚱한 발언으로 의혹을 더욱 부추긴 청와대와 여당 관계자들부터 명예훼손으로 법적책임을 물어야 하는 것이 아닐까?

글로벌 포스트는 보스톤에 본사가 위치하고 있으며, 2009년에 설립되어 주로 국제 뉴스를 보도하는 미국의 온라인 뉴스회사로 전 세계에 65명의 특파원이 있다

다음은 글로벌포스트에 올라온 교토통신의 기사 전문을 뉴스프로가 번역한 것이다.

번역 감수: 임옥

기사 바로가기☞    http://bit.ly/Ya3T90

 

S. Korea raps Japanese daily for “defaming” president

한국, 대통령에 대한 “명예훼손”이라 일본 신문 비방

Kyodo News International August 12, 2014 12:00pm

gp_0812_2014

South Korea’s Foreign Ministry on Tuesday rapped a Japanese newspaper for carrying a report on President Park Geun Hye that questioned her whereabouts on April 16 when a ferry sank off southwestern waters, killing more than 300 people.

지난 화요일, 한국 외교통상부는 남서 연안에서 여객선이 침몰해 300명 이상이 사망한 지난 4월 16일의 박근혜 대통령의 행적에 의혹을 제기한 기사를 보도한 것에 대해 일본 신문을 비방했다.

“The report was filled with baseless rumor and is a malicious report defaming the head of state,” Han Hye Jin said at a press briefing.

“그 기사는 근거도 없는 소문으로 가득했고 국가원수의 명예를 훼손하는 악의적인 보도이다”고 부대변인 한혜진은 언론에 말했다.

Han’s comment was made when asked about the government’s position on the summoning of Tatsuya Kato, the bureau chief of Sankei Shimbun, by prosecutors over a report he filed that was carried in the Aug. 3 online edition of the newspaper.

산케이신문의 서울지국장 가토 다쓰야가 지난 8월 3일 온라인판에 보도된 이 기사와 관련해서 검찰에 소환되는 것에 대한 정부의 입장에 대해 질문 받자 한 씨는 이렇게 대답했다.

The report, citing rumors in the stock brokerage industry and a South Korean newspaper, suggested that Park, who is single, was not at the presidential office during a seven-hour period on the day the ferry capsized, and may have been secretly meeting with a recently divorced former aide.

증권가의 루머와 한국 신문을 인용하며, 이 기사는 미혼인 박 대통령이 세월호가 전복됐던 날 7시간 동안 청와대에 없었고 비밀리에 최근 이혼한 전 보좌관을 만났고 있었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The presidential office has dismissed the rumors and report.

청와대는 이 소문들과 기사를 묵살했다.

Angered by the report, a South Korean man who heads a conservative civic organization filed a defamation suit against the Sankei Shimbun’s Seoul bureau on Aug. 9.

그 기사에 분개하여, 보수 시민단체의 장을 맡고 있는 한국 남성이 8월 9일 산케이 신문의 서울지국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했다.

The Seoul Central District Prosecutors’ Office subsequently issued a travel ban on Kato and ordered him to appear for questioning on Tuesday. His summons was postponed to next Monday at the daily’s request.

서울중앙지검은 이어서 가토에게 출국금지를 내렸고 심문을 위해 화요일에 출두할 것을 통보했다. 그의 소환은 신문사의 요청으로 다음주 월요일로 연기됐다.

In response to the case, Sankei Shimbun said in a statement that its report was based on information contained in statements made in South Korea’s National Assembly and a column in a South Korean newspaper.

이 사안에 대한 반응으로 산케이 신문은 성명에서, 그 기사는 한국의 국회에서 나온 발언과 한국 신문의 칼럼에 나와 있는 정보에 의거했다고 말했다.

 

[번역저작권자: 뉴스프로, 번역 기사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십시오.]
소셜 댓글
뉴스프로 후원하기

One comment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x

Check Also

日 요미우리, 미 국무부 인권 보고서 한국 보도자유 침해 주목

日 요미우리, 미 국무부 인권 보고서 한국 보도자유 침해 주목– 가토 다쓰야 산케이 지국장 기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