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Headline / 뉴욕타임스 신경숙 작가 두 번째 작품 영역 출간 서평

뉴욕타임스 신경숙 작가 두 번째 작품 영역 출간 서평

뉴욕타임스 신경숙 작가 두 번째 작품 영역 출간 서평
-‘엄마를 부탁해’는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목록에

뉴욕타임스는 6월 5일 작가 신경숙씨의 최신작 ‘내가 그쪽으로 갈게’의 영어번역판의 출간과 함께 작가 나미 문씨의 서평을 올렸다. 이번 번역 출간된 작품은 신경숙 작가의 2012년 소설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를 소라 김-러셀이 번역한 것이다. 뉴욕타임스는 신 작가의 이전 작품 ‘엄마를 부탁해’가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목록에 오르고 현재 세계 20여개 나라에서 읽히고 있음을 전했다.

뉴욕타임스는 이 작품이 주인공을 비롯한 네 명의 대학 시절을 그린 것으로 ‘문학과 문학이 끼치는 영향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 파헤치고 있다’고 말한다. 소설 전체에 걸쳐 주인공인 화자는 자신의 젊은 시절을 회상하며 대학시절의 친구 셋과의 ‘불편했던 우정’을 돌아본다. 네 명의 친구들은 ‘대학 시절 동안 홀로서서, 변화를 갈구하고 변화되기를 간절히 원하며, 학생 시위와 최루탄이 일상적이던 한국에서 격동의 1980년대를 살아내려 한다’고 서평은 말한다.

이들에게 구세주로 다가온 교수는 ‘여러분에게 문학이나 예술은 여러분을 태워 강저편으로 건네주는 것만이 아니네. 여러분이 신명을 바쳐 짊어지고 나가야할 필생의 일이기도 한 것이네’고 말하며 문학이나 예술이 문학을 하는 사람들에게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정의한다. 서평은 신경숙 작가의 뛰어난 이야기 구성과 모티브 형성, 흥미로운 이야기 전개에 대해 찬사를 보내며, 하지만 ‘미스터리가 쌓여가다가 결국 아무것으로도 발달하지 못한 채로 끝이난다’고 하며, 그래도 작가의 다음 작품에 대한 기대를 언급하며 끝을 맺는다.

뉴욕타임스가 말했듯, ‘일반적으로 한국문학은 오랫 동안 지체됐던 인정을 이제야 받고 있는 듯’ 하며, 앞으로 보다 많은 번역에 대한 투자와 노력은 한국 문학을 세계로 알려 세계인들이 ‘한국과 한국 문학에 대해 더 잘 알 수 있게 해 줄’ 기회를 줄 것이라 본다. 신경숙 작가가 말한대로 “우리가 책으로부터 얻는 감정들이나 인식들은 나중 언젠가 우리가 내릴 결정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믿는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전문번역한 뉴욕타임스 서평이다

번역 감수: 임옥

기사 바로가기☞   http://nyti.ms/1hDBtNp

 

An Education
‘I’ll Be Right There,’ by Kyung-sook Shin

신경숙의 ‘내가 그쪽으로 갈게’

By NAMI MUN
JUNE 5, 2014

nyt_0605_2014_1
nyt_0605_2014_2
Kyung-sook Shin Credit Lee Byungryul
신경숙

Translated books make up only about 3 percent of titles published in America, so I’m ecstatic to see the Korean writer Kyung-sook Shin’s rising popularity. Her previously translated novel, “Please Look After Mom,” hit the New York Times best-seller list and is now available in more than 20 countries.

번역 서적은 미국에서 출판되는 책 제목들의 겨우 3 퍼센트에 불과할 뿐이어서 한국 작가 신경숙의 인기가 오르고 있는 것을 보는 것은 말할 수 없이 기쁜 일이다. 그녀의 이전 작품, ‘엄마를 부탁해’는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목록에 올랐고 지금은 20개 이상 나라에서 구입할 수 있다.

Korean literature, in general, seems to be getting some long overdue recognition. Of note, Dalkey Archive Press has been collaborating with the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to release 25 novels and story collections. This excites me, not just as a Korean-born American, but also as a lover of translated texts and their power to transport us across cultural DMZs and open us to unfamiliar societal and narrative sensibilities.

일반적으로 한국문학은 오랫 동안 지체됐던 인정을 이제야 받고 있는 듯 하다. 주목할 만한 사실로, 달키 아카이브 프레스는 25개의 소설과 단편집을 출간하기 위해 한국 문학번역연구소와 협력해 일해왔다. 이 사실은 내가 한국계 미국인이어서 뿐만 아니라, 번역된 서적을 애호하고 이 서적들이 가진 힘, 문화적 경계를 넘어 우리를 이동시키며,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은 사회적이고 서술적인 감성의 세계로 인도하는 힘을 사랑하는 사람으로서 나를 설레게 한다.

Perhaps this rise in Korean literature will improve the average American’s I.Q. about Koreans and Korean culture. Maybe I’m hoping for too much. Maybe literature can influence only the willing. Shin is more optimistic: “The feelings or realizations we get from a book will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decisions we will make someday later,” she said in a 2013 interview.

아마도 한국 문학의 이러한 인기 상승은 보통의 미국인들이 한국과 한국 문화에 대해 더 잘 알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내가 기대하는 바가 너무 클 수도 있다. 문학은 원하는 사람들에게만 영향을 끼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신경숙씨는 더 낙관적이다: “우리가 책으로부터 얻는 감정들이나 인식들은 나중 언젠가 우리가 내릴 결정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고 그녀는 2013년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Shin’s latest novel, “I’ll Be Right There” explores this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influence. The story begins suspensefully as Yoon, our narrator, receives a call from an ex-­boyfriend, who tells her that their old poetry professor is near death.

신 씨의 최근 소설 “내가 그쪽으로 갈게”는 문학과 문학이 끼치는 영향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 파헤치고 있다. 이 이야기는 우리의 화자인 윤이 전 남자친구로부터, 시인인 그들의 노교수의 죽음이 임박했음을 알리는 전화를 받으며 불안하게 시작된다.

Yoon can’t seem to make herself visit the hospital, and over the course of the novel she reflects on her youth: her strained friendships with Miru (whose burned hands act as metonymies of her suffering), Myungsuh (who’s seeking a calling) and Dahn (Yoon’s childhood friend who wants to be more).

윤은 병원에 선뜻 갈 수가 없는 것처럼 보이고, 소설 전체에 걸쳐 그녀는 자신의 젊은 시절, 자신과 미루(미루의 화상입은 손은 그녀의 고통에 대한 또 다른 표현으로 사용된다), 명서(소명의식을 추구하는 인물), 그리고 단(윤과 유년기 친구로서 친구 이상이 되고 싶어한다)들과의 불편한 우정을 회상한다.

These four metaphorical orphans, during their college years, are alone, desperate for change, desperate to be changed as they try to survive in the tumultuous 1980s, when student protests and tear gas become common in South Korea. Boyfriends disappear. Siblings self-immolate. Plants wilt. Trees need to be saved. And so do Yoon and her three friends.

은유적으로 표현되는 이 4명의 고아들은 대학 시절 동안 홀로서서, 변화를 갈구하고 변화되기를 간절히 원하며, 학생 시위와 최루탄이 일상적이던 한국에서 격동의 1980년대를 살아내려 한다. 남자친구들은 사라진다. 자매들은 분신해서 죽는다. 식물들은 시든다. 나무들을 살려내야한다. 윤과 그녀의 세 친구들도 마찬가지 상태이다.

Their savior arrives in the form of the professor. He tells them the story of St. Christopher, who ferries an unbelievably heavy child across a river only to discover it was actually Jesus Christ and the weight of the world he had been carrying. “The waters are rough,” he says. “Literature and art are not simply what will carry you; they are also what you must lay down your life for.”

그들의 구세주는 교수의 형태로 나타난다. 그는 그들에게 엄청나게 무거운 아이를 강건너로 태워 운반하는 성 크리스토퍼의 이야기를 들려주는데, 성 크리스터퍼는 결국 이 아이가 사실은 예수 그리스도와 그가 지고 있었던 세상의 무게였음을 알게된다. “물결은 사납다”고 그가 말한다. ”여러분에게 문학이나 예술은 여러분을 태워 강저편으로 건네주는 것만이 아니네. 여러분이 신명을 바쳐 짊어지고 나가야할 필생의 일이기도 한 것이네.”

Yoon and her friends view their professor as an inspiration — and readers will be just as entranced, so deftly does Shin create magnetic characters. The professor, who reads Max Picard’s “The World of Silence” while agonizing over the riots, appears as though he may erupt at any time. Although he scribbles at one point, “Do not write a single sentence that abets violence,” one wonders if he is really just struggling to rein in his own impulses. The reader waits patiently for an eruption that seems inevitable, and for the students to follow his lead in enacting a true revolution.

윤과 그녀의 친구들에게 교수는 영감을 주는 존재이다. 그리고 독자들 역시 꼭 빠져들만큼 능숙하게 신 씨는 매력 있는 인물을 창조해낸다. 맥스 피카드의 “침묵의 세계”를 읽으며 시위에 대해 고뇌하는 교수는 언제라도 폭발할 듯 보인다. 그는 어느 순간 ”폭력을 부추기는 것은 한 문장도 쓰지 마라”고 끄적거리기도 하지만 정말로 자신의 충동을 제어하려고 애를 쓰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독자는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이는 그의 폭발을, 그리고 학생들이 그 교수를 따라 진정한 혁명을 일으키기를 끈기 있게 기다린다.

But the professor never erupts, nor does the revolution. Rather than fully engaging in the political uprisings, the four friends roam the city, fall in love with and confide in one another. They collaborate on stories, via cadavre exquis, and find salvation in books by Dickinson, Rilke, Barthes, Francis Jammes and Romain Rolland.

그러나 교수는 결코 폭발하지도, 혁명을 일으키지도 않는다. 정치적 폭동에 온전히 가담하는 대신, 네 명의 친구들은 도시를 배회하고, 사랑에 빠지고, 서로에게 마음을 털어놓는다. 그들은 까다브르 엑스끼 기법(역주: 영어로는 exquisite corpse 혹은 엑스퀴지트 콥스라고 하는, 초현실주의자들이 시와 이미지 작업에 즐겨썼던 기법으로 몇 사람이 순서대로 종이에 무엇인가를 쓰거나 그린 후 이를 접어서 자신이 적은 부분을 가린 채로 다음 사람에게 전하고, 이를 받은 사람 역시 똑같은 행위를 반복하여 조합적으로 작품을 만드는 기법)을 통해 소설을 쓰며, 디킨슨, 릴케, 바르트, 프랑시스 잠, 로맹 롤랑 등의 작가들의 책들에서 구원의 길을 찾는다.

Even though the novel holds more dialogue and diegesis than plot revelations, it’s somehow still a page-turner, such is Shin’s gift for storytelling, as well as her careful cultivation of motifs. Her talent also lies in withholding information in a manner that makes each character mysterious rather than murky. Unfortunately, her talent turns against her, because the buildup of mystery ultimately doesn’t lead anywhere and our engagement with these artfully created characters eventually flatlines. The suspense disappears instead of resolves, and the motifs are too tidily crocheted.

비록 이 소설이 줄거리를 드러내는 것 이상의 많은 대화와 나레이션을 지녔기는 하지만 모티프의 섬세한 형성과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신 씨의 재능으로 인해 이 책은 여전히 흥미진진하게 다가온다. 각각의 등장인물들이 흐릿하기 보단 신비스럽게 보이도록 정보를 다 주지 않는 면에 있어서도 그녀의 작가적 역량이 엿보인다. 유감스럽게도, 그녀의 재능은 그녀에게 등을 돌리고 마는데, 미스터리가 쌓여가다가 결국 아무것으로도 발전하지 못한 채로 끝이나고, 솜씨 있게 잘 만들어진 등장인물들에 대한 우리의 관심도 결국 죽어버리기 때문이다. 긴장감은 해결이 되는 것이 아니고 사라져버리며, 모티프 역시 지나치게 단정히 짜여져 있다.

The characters’ struggles and insights are at times engrossing and emotionally striking, especially Yoon’s attempt to finally face her mother’s death. But the book contains numerous deaths, forcing the reader to dole out sympathy perhaps too equally and a numbing indifference takes over. This could conceivably be the story’s intent: Maybe it wants us to feel numb so that in the epilogue, when Yoon is older and looking back, we can view all that she let slip away in her youth and share her regrets.

등장인물들의 분투와 통찰력은 때때로 마음을 사로잡으며 두드러지게 감정을 자극하는데 특히 윤이 마지막에 어머니의 죽음을 직시하려는 시도가 그러하다. 하지만 이 책에 등장하는 수많은 죽음들로 인해, 독자는 지나치게 공평하게 동정심을 여기저기로 나누어주도록 강요를 받으며, 결국 무감각해질 정도의 무관심이 자리잡고 만다. 이것이 아마도 이 소설의 의도일 수도 있다: 이 소설은 어쩌면 우리 독자들을 무감각하게 만들어서 윤이 에필로그에서 나이 들어 과거를 회상할 때, 그녀가 젊은 시절 놓쳐버린 모든 것들을 우리가 볼 수 있고 그녀의 후회를 우리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일지도 모른다.

She finally does visit the dying professor, who traces his last words onto his visitors’ palms: “May each of you become one of those shining stars.” Whether Yoon herself will become a star is unknown, but it seems that the words of her friends and teacher, as well as certain authors, have influenced her and will continue to shine down on her. Will Shin’s story live on within the reader? Perhaps just long enough for us to want to read her next novel.

그녀가 마침내 죽음을 앞둔 교수를 찾아가자, 그 교수는 방문객들의 손바닥에 자신의 마지막 말을 적어준다: “한 사람, 한 사람, 이 세상의 단 하나의 별빛들이 되게.” 윤 스스로가 별빛이 될른지는 알 수 없지만, 그녀의 친구들과 교수가 한 말과 그리고 어떤 작가들의 말이 그녀에게 영향을 미쳐왔고 앞으로도 계속 그녀에게 빛을 비춰줄 것으로 보인다. 신 씨의 소설이 독자들 내면에 계속 살아있을까? 아마도 우리가 그녀의 다음 번 소설을 읽고 싶어 할 만큼은.

역주: ‘내가 그쪽으로 갈게’의 한국어 원작명은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이다

I’LL BE RIGHT THERE
By Kyung-sook Shin
Translated by Sora Kim-Russell
324 pp. Other Press. Paper, $15.95.

__________________________

Nami Mun is the author of the novel “Miles From Nowhere.”

 

[번역저작권자: 뉴스프로, 번역 기사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십시오.]

 

소셜 댓글
뉴스프로 후원하기

2 comments

  1. auto und versicherung für fahranfänger

    Doua fete frumoase si pline de energie pozitiva pe care ma bucur ca am avut placerea sa le cunosc si.. mai ales, sa le mananc biscuitii! :)Va pup fetelor si va doresc sa cresteti mult si frumos, in armonie cu voi si cu lucrurile minunate de care sunteti inconjurate.Cu drag,Andi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x

Check Also

뉴욕타임스, 박근혜 정부, 기능 마비 상태

뉴욕타임스, 박근혜 정부, 기능 마비 상태 – 위기 막기 위한 박근혜의 모든 노력 실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