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Headline / 가디언, 다시 북한으로 돌아갈래!

가디언, 다시 북한으로 돌아갈래!

가디언, 다시 북한으로 돌아갈래!
-탈북자 손정훈씨, 정치적 이유로 북한귀환의사 보도
-한국, 탈북자에 대한 처우에 항의하기 위해

프랑스의 대표 시사주간지 <렉스프레스>가 영국 유력 일간지 <가디언>을 인용해 ‘남한에 실망한 탈북자, 평양으로 돌아가길 원하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했다.

지난 4월22일자 <렉스프레스> 홈페이지에 게재된 이 기사에서 프랑수아 들랑크르 기자는 한국에서 12년 전부터 살고 있는 탈북자 손정훈씨가 자신의 고향인 북한으로 돌아가려 한다며, 이는 한국에서 정부로부터 홀대받고 있는데 대해 저항하기 위해서라고 보도했다.

기사는 손씨가 탈북자 신분으로 한국에서 적응하기 얼마나 어려운 지를 설명하면서, 탈북자들의 실업률이 한국내 평균의 5배에 달한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손씨가 다시 북한으로 가려는 이유가 배고픔 때문은 아니며, 정치적 이유에서 나온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1953년 창간된 프랑스 최초의 시사주간지 <렉스프레스>는 발행 부수가 50만부이며, 사이트의 월간 순 방문자수 770만명이다.

다음은 뉴스프로의 <렉스프레스>보도 전문번역이다.

번역 및 감수: Sang-Phil Jeong

<렉스프레스> 기사 바로가기 ☞ http://bit.ly/1mJcdGA

<가디언> 기사 바로가기 ☞ http://bit.ly/1ptUvZz

 

Déçu par le Sud, un Nord-Coréen veut revenir à Pyongyang

남한에 실망한 탈북자, 평양으로 돌아가길 원하다

Par François Delencre, publié le 22/04/2014 à 16:10

프랑수아 들랑크르

Après douze années en Corée du Sud, Son Jung-Hun veut revenir dans son pays natal, la Corée du Nord, pour raisons politiques.

한국에서 12년을 보낸 손정훈씨는 정치적 이유로 자신의 고향인 북한으로 돌아가길 원한다.

lexpress_04212_2014

Le régime communiste nord-coréen est dirigé par Kim Jung-Un depuis décembre 2011. REUTERS/Bobby Yip
북한 공산주의 체제는 지난 2011년 12월부터 김정은에 의해 통치되고 있다. 

C’est une démarche extrêmement rare que veut accomplir Son Jung-Hun. Dix-sept ans après avoir quitté la Corée du Nord, il souhaite faire le chemin inverse pour protester contre le traitement des transfuges nord-coréens en Corée du Sud.

손정훈씨가 실행하고자 하는 일은 굉장히 드문 과정이다. 북한을 떠난 지 17년 넘은 그가 한국에서의 탈북자들에 대한 처우에 항의하기 위해 지나온 길을 되돌아가기를 원하고 있다.

Dans une interview au Guardian, Son Jung-Hun explique que “le gouvernement (sud-coréen, ndlr) n’accepte pas combien il est difficile pour les transfuges de s’adapter à une vie où l’économie est libre, et, pour cela, nous sommes traités avec mépris”. Il poursuit: “La vie est dure en Corée du Nord, mais certains transfuges ont trouvé que ça l’est encore plus ici. Ils ont peur du gouvernement sud-coréen et de la police”.

영국 일간지 <가디언>과의 인터뷰에 따르면 손씨는 “한국 정부는 탈북자들이 자유 경제 속의 삶을 사는데 있어 얼마나 큰 어려움을 겪는지, 우리가 얼마나 무시당하는지 알지 못한다”며 “북한에서의 삶이 힘든 건 사실이지만 어떤 탈북자들은 한국에서 더 힘들다고 한다. 그들은 한국 정부와 경찰을 두려워 한다”고 말했다.

Un chômage cinq fois plus élévé pour les transfuges

평균보다 5배나 높은 탈북자 실업률

Son Jung-Hun mûrit son projet depuis déjà quelques mois. En juillet 2013, il donnait une interview au site NK News où il révélait sa volonté de revenir vivre dans l’un des pays les plus fermés du monde. Membre de l’élite de Pyongyang, il s’était échappé de la Corée du Nord en 1997, laissant derrière lui sa femme et son fils. Ce dernier l’avait rejoint en Chine l’année suivante, avant qu’ils s’installent en 2002 en Corée du Sud.

손씨가 돌아갈 계획을 세운 것은 벌써 몇 달 전이다. 그는 지난 2013년 7월 NK News 사이트와의 인터뷰에서 세계에서 가장 닫혀 있는 나라로 돌아갈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평양의 엘리트 계층이던 그는 1997년 아내와 아들을 둔 채 북한을 탈출했다. 그의 아들은 이듬해 중국으로 넘어와 손씨에게 합류했고 그들은 2002년 한국에 정착했다.

“J’ai vite découvert que la vie ici (en Corée du Sud) était très différente de ce que j’avais entendu dans le Nord. Le gouvernement ici semble nous dire ‘eh bien, on ne vous a pas demandé de venir, alors à quoi vous vous attendiez ?’ “, raconte-t-il. Il dénonce également la difficulté de trouver un emploi pour les nouveaux arrivants. Selon une étude, 20% des transfuges du Nord seraient au chômage, un chiffre cinq fois plus élevé que la moyenne.

손씨는 “한국에 온 지 얼마 안돼 이곳의 삶이 북한에서 듣던 것과는 매우 다르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한국 정부는 우리를 향해 마치 ‘우리가 오라고 한 것도 아닌데, 우리에게 무엇을 기대하는가?’라고 말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 그는 한국에서 일자리를 찾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지에 대해서도 털어놨다. 한 조사에 따르면 탈북자의 20%가 실업 상태에 있으며 이는 평균 실업률의 다섯 배에 이르는 수치다.

25 000 défections vers la Corée du Sud depuis 60 ans

60년 동안 한국에 온 탈북자 수 25000 명

La Corée du Sud dispose pourtant d’un programme d’aide pour ces réfugiés. Appelé Hanawon, celui-ci verse 20 millions de wons (14 000 euros) aux nouveaux arrivants, ainsi qu’une rente mensuelle pendant cinq ans. Des formations existent également pour “rééduquer” les personnes fraîchement débarquées du régime nord-coréen. Depuis la fin de la guerre de Corée en 1953, 25 000 Nord-Coréens se seraient enfuis vers le Sud, dont 1 500 en 2013.

그렇지만 한국 정부는 탈북자들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하나원이라고 불리는 곳은 탈북자 한 명에게 2천만원을 지급하고, 5년 동안 매월 일정액을 지원한다. 이 기관은 북한 체제에서 뛰쳐나은 이들을 ‘재교육’을 하기도 한다. 1953년 한국전쟁이 끝난 이후 25000명의 탈북자들이 한국으로 넘어왔으며, 2013년 한 해에만 1500명에 달했다.

Son Jung-Hun n’a pas encore fixé de date de retour vers Pyongyang, mais est lucide sur son sort à son arrivée. “Le régime m’utilisera peut-être pour de la propagande, ou je finirai en prison. Après tout, je ne m’enfuis pas parce que j’ai faim, mais pour des raisons politiques” dit-il, tout en rappelant vouloir “sacrifier sa liberté pour que les Nord-Coréens puissent un jour avoir la leur”.

손씨는 아직 평양으로 돌아갈 날짜를 정하지 않았지만, 그가 북한에 도착했을 때 어떤 일이 벌어질지 잘 알고 있다. 그는 “북한 체제는 어쩌면 나를 선동에 이용할 것이고, 감옥에 보낼지도 모른다. 그러나 내가 떠나려 하는 것은 배고파서 아니라 정치적 이유 때문이다”고 말했다. 동시에 “언젠가 북한 주민도 자유를 가질 수 있게 하기 위해 나의 자유를 희생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소셜 댓글
뉴스프로 후원하기

One comment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x

Check Also

NYT, “탈북자 성형수술, 사회적응 돕는 가치있는 시도”

 NYT, “탈북자 성형수술, 사회적응 돕는 가치있는 시도” – 탈북자 대상 성형수술 시행 서울발로 상세 보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