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P, 北 박근혜 제안 ‘정신병자의 몽상’ 맹공격
-독일 통일은 서독이 동독 흡수, 6.15선언 복귀 촉구
-한미 군사합동 훈련 후 교착상태 6자회담, 북한 곧 복귀할 듯
북한이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를 통해 박근혜의 소위 ‘드레스덴 선언’에 대해 맹비난을 퍼부은 가운데 11일 AFP 통신이 이 같은 사실을 상세하게 전했다. AFP 통신은 특히 박근혜를 맹비난하는 북한의 표현을 그대로 전해 북한이 박근혜의 드레스덴 선언을 거부했음을 타전했다.
AFP 통신은 ‘N. Korea blasts reunification offer as ‘psychopath’s daydream’-북한, 통일 제안을 ‘정신병자의 몽상’이라 비난’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북한의 국방위원회로부터 나온 맹렬한 공격은 지난 달 전 동독의 드레스덴에서 했던 연설에서 박 대통령이 제시한 제안에 대한 첫 공식적인 응답이었다’라고 전했다. 특히 북한은 “독일의 통일은 우리들에게 평화적 통일의 한 예요 모델이다”라는 박근혜의 발언에 대해 ‘독일 통일은 서독이 동독을 흡수해서 이루어졌다고 말하며 박 대통령은 남한이 북한을 흡수하는 통일을 하도록 도와달라고 외국 국가들에게 애원하고 있다’고 비난해 북한의 이러한 반응이 흡수통일에 대한 반발로 보여진다고 보도했다.
AFP 통신은 북한이 이 성명에서 “이것은 정신병자의 몽상일 뿐이다”라고 말하며 서울에서는 “드레스덴 선언”이라고 표현한 박 대통령의 제안을 “위선과 기만”으로 가득한 “허튼 소리” 라고 매도했다고 전하며 북한이 2000년에 서명한 획기적인 합의서를 포함한 이전의 협정으로 돌아갈 것을 촉구했다고 밝혔다. 2000년의 합의서란 김대중 전 대통령과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이 합의한 6.15 공동선언을 뜻한다.
이러한 북한의 반응은 박근혜 정권 후, 그리고 박근혜가 ‘통일은 대박’이란 발언을 한 뒤 박근혜 정권의 통일 정책이 흡수통일을 기반에 둔 정책이라는 평가가 주를 이루는 가운데 나오는 것으로 북한의 경계심을 잘 보여주고 있다. AFP는 한미 합동 군사훈련이후 고조되고 있는 남북 간의 긴장을 전한 뒤 박근혜가 북한이 핵무기 프로그램을 포기한다면 북한의 경제개발에 국제적 재정지원이 이루어지도록 돕겠다고 말했지만 북한은 ‘“남북관계는 박 대통령이 그녀의 메스꺼운 입을 닥치기만 한다면 지금보다 부드러워질 것이라는 것이 공공의 일치한 견해다”라며 박근혜의 제안을 거부했다고 전했다.
AFP 통신은 하지만 오랫동안 교착상태에 있는 6자회담을 소생시키기 위해 중국과 미국의 접촉이 시작되고 있다며 한미 군사합동훈련이 마무리되는 이 달 말경에는 북한이 대회에 복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북한의 반발은 현실인식이 떨어지는 박근혜의 ‘통일 대박’ 등 경솔한 발언과 흡수통일에 기반을 둔 통일 정책이 불러일으킨 자업자득이라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AFP 통신의 기사를 전문 번역한 것이다.
번역 감수: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yhoo.it/1qrIxwx
N. Korea blasts reunification offer as ‘psychopath’s daydream’
북한, 통일 제안을 ‘정신병자의 몽상’이라 비난
South Korean President Park Geun-hye visits the remains of the Berlin Wall in Germany on March 27, 2014 (AFP Photo/Johannes Eisele)
한국 대통령 박근혜가 2014년 3월 27일 베를린 장벽의 유적을 방문하고 있다.
Seoul (AFP) – North Korea on Saturday blasted South Korean President Park Geun-Hye’s proposal on laying the groundwork for reunification through economic exchanges and humanitarian aid as the “daydream of a psychopath.”
서울AFP – 토요일 북한은 경제교류와 인도적 차원의 원조를 통해 통일의 기반을 마련하자는 박근혜 대통령의 제안을 ‘’정신병자의 몽상”이라고 비난했다.
The blistering attack from the North’s powerful National Defence Commission (NDC) was the first official reaction from Pyongyang to a proposal Park made in a speech last month in Dresden in the former East Germany.
북한의 막강한 국방위원회로부터 나온 맹렬한 공격은 지난 달 전 동독의 드레스덴에서 했던 연설에서 박 대통령이 제시한 제안에 대한 첫 공식적인 응답이었다.
She urged the North to expand reunions of families separated by the division of Korea and increase cross-border economic and cultural exchanges, starting with the South bolstering humanitarian aid.
박 대통령은 북한에게 국토분단에 의한 이산가족의 상봉을 확대하고 남한이 인도적인 차원에서의 원조를 강화하는 것으로 시작해서 국가간의 경제 문화 교류를 증대하자고 촉구했다.
“Germany’s unity is for us an example and model for a peaceful reunification,” she had said.
“독일의 통일은 우리들에게 평화적 통일의 한 예요 모델이다” 라고 그녀는 말했다.
An NDC spokesman noted that German reunification came about with the West absorbing the East and accused Park of begging foreign countries to help a reunification in which South Korea absorbed the North.
국방위원회 대변인은 독일 통일은 서독이 동독을 흡수해서 이루어졌다고 말하며 박 대통령은 남한이 북한을 흡수하는 통일을 하도록 도와달라고 외국 국가들에게 애원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This is merely a daydream of psychopath”, he said, denouncing Park’s proposal, billed as the “Dresden Declaration” by Seoul, as “nonsense” full of “hypocrisy and deception”.
“이것은 정신병자의 몽상일 뿐이다” 라고 그는 말하며 서울에서는 “드레스덴 선언”이라고 표현한 박 대통령의 제안을 “위선과 기만”으로 가득한 “허튼 소리” 라고 매도했다.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attends a meeting of the Political Bureau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in Pyongyang on April 8, 2014 (AFP Photo/Kns)
북한 국방위원장 김정은이 2014년 4월 8일 조선 노동당 중앙 위원회의 정치부 모임에 참석하고 있다..
“The fact that in that particular place, Park Geun-Hye lashed her tongue about reunification gave away her sinister mind”, he said in a statement carried out by Pyongyang’s state media.
“특히 그 장소에서 박근혜가 통일에 대해 함부로 말했다는 사실은 그녀의 사악한 마음을 드러낸 것이다” 라고 그는 평양 방송에서 보도한 성명서에서 말했다.
Reunification is however enshrined as a national priority in both the South and North Korean constitutions, but pro-merger sentiment in the prosperous South has waned considerably in recent years.
통일은 남한과 북한 양쪽의 헌법에 국가적 중요사안으로 기록돼 있지만, 번영한 남한에서의 친흡수통일 정서는 최근 몇 해 동안 상당히 약해졌다.
The North Korean spokesman urged Seoul to abide by earlier agreements including a landmark agreement signed in 2000; stressing all these previous accords gave priority to addressing the issue of easing military confrontation.
북한의 대변인은 이 모든 이전의 협정들은 군사대결을 완화하는 이슈를 다루는 것을 우선으로 하고 있었음을 강조하며 서울이 2000년에 서명한 획기적인 합의서를 포함한 이전의 협정들을 고수할 것을 촉구했다.
Tensions high
고조된 긴장
South Korean Kim Se-Rin (R) waves goodbye from a bus to his North Korean sister Kim Young-Sook (C) and nephew Kim Ki-Bok (L)
as he leaves a family reunion at Mount Kumgang, North Korea on February 22, 2014 (AFP Photo/AFP)
2014년 2월 22일 북한 금강산에서 가족 상봉을 마치고, 남한인 김세린씨(오른쪽)가 버스에서
북한 누이 김용숙씨(중앙)와 조카 김기복씨(왼쪽)에게 작별인사를 하고 있다.
Tensions on the Korean peninsula remain high since the South launched annual military exercises with the United States in February, described by Pyongyang as a rehearsal for an invasion against the North.
한반도에서의 긴장은 북한 침략을 위한 예행연습이라고 평양이 묘사했던 연례 한미군사합동훈련을 남한이 2월에 시작한 이후 고조된 상태다.
In a pointed protest at the exercises, Pyongyang carried out a series of rocket and missile launches, capped by its first mid-range missile test since 2009 on March 26.
훈련을 겨냥한 시위로, 평양은 일련의 로켓과 미사일을 발사했고 3월 26일에는 2009년 이후 첫 번째 중거리 미사일 실험으로 마무리지었다.
The two Koreas also traded artillery fire across the tense Yellow Sea border on March 31, after the North dropped around 100 shells across the maritime boundary during a live-fire drill.
북한이 실제훈련 동안 해안 경계선 넘어 약 100발의 포탄을 떨어뜨린 후 3월 31일 남한과 북한은 긴장된 해양경계선 너머로 포격을 교환하기도 했다.
The exchange followed a North Korean warning that it might carry out a “new” form of nuclear test — a possible reference to a uranium-based device or a miniaturised warhead small enough to fit on a ballistic missile.
그 포격의 교환은 “새로운” 형태의 핵실험 – 아마 우라늄을 기반으로 한 기기 혹은 탄도미사일에 맞을 만큼 충분히 작은 소형화된 탄두를 가리키는 말 – 을 수행할지도 모른다는 북한의 경고에 뒤이은 것이었다.
Park also said in the Dresden speech that the South would help funnel international funding to the North’s economic development should Pyongyang give up its nuclear weapons programmes.
박 대통령은 드레스덴 연설에서 북한이 핵무기프로그램을 포기한다면 북한의 경제개발에 국제적 재정지원이 이루어지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But the NDC spokesman said: “They should bear in mind that the tongue-lashing of Park Geun-Hye is the first root cause of deteriorating the North-South relations and beclouding the prospect of the nation.”
하지만 국방위원회 대변인은 “그들은 박근혜 대통령의 혹독한 비난이야말로 남북관계를 악화시키고 국가의 장래를 흐리게 하는 첫 번째 원인임을 기억해야한다” 라고 말했다.
“It is the unanimous view of the public that the North-South relations will be smoother than now only if Park keeps her disgusting mouth closed”, he said.
“남북관계는 박 대통령이 그녀의 메스꺼운 입을 닥치기만 한다면 지금보다 부드러워질 것이라는 것이 공공의 일치한 견해다” 라고 그는 말했다.
Despite its verbal attacks, professor Yang Moo-Jin of the University of North Korean Studies said Pyongyang was likely to ease up and return to dialogue late this month as the South and the United States were winding up their military exercises.
이러한 비난에도 불구하고 북한학 대학교 양무진 교수는 남한과 미국이 합동군사훈련을 마무리짓는 이 달말에는 평양이 자세를 누그러뜨리고 대화로 복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Diplomatic efforts to resuscitate long-stalled six-party talks on disarming North Korea also appear to have been rekindled.
오랜 동안 교착상태에 있던, 북한 비핵화를 위한 6자 회담을 소생시키기 위한 외교적인 노력들 또한 다시 살아난 것으로 보인다.
The US State Department said Friday that special envoy Glyn Davies would meet with his Chinese counterpart Wu Dawei in New York and Washington next week for discussions on the denuclearisation of North Korea.
금요일 미 국무부는 북한의 비핵화에 대해 상의하기 위해 글린 데이비스 특사가 뉴욕과 워싱턴에서 중국측 담당자인 우 다웨이를 만날 것이라고 언급했다.
아고라 http://bit.ly/1jKtaf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