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에 쇠사슬 걸고… 레볼루션 뉴스 밀양 사진 충격
-톱 포스트에 올라, 외신 외국인 관심 폭발
-2차 밀양희망버스 시위 생생하게 전해
외신들이 뉴스소스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사이트 중 하나인 레볼류션 뉴스에 지난 25일 제 2차 밀양희망버스 시위의 생생한 사진이 실린 뉴스가 올려져 톱 포스팅에 오르는 등 외국인들과 외신들에 충격을 던져주고 있다. 특히 목에 쇠사슬을 묶은 채 32시간 동안 경찰에 포위된 채로 식사를 하고 시위를 하는 모습은 과연 이것이 21세기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 한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인지 하는 의문을 전 세계에 던져주고 있다.
2일 레볼루션 뉴스에 올려진 이 기사는 경찰이 시위대를 진압하는 모습, 경찰이 시위대를 둘러싸고 외부와 격리시킨 모습, 밀양주민들과 경찰의 대치 모습 등을 생생하게 전하고 있다. 이 기사는 사진과 함께 밀양 송전탑 건설의 배경과 건설을 반대하는 주민들과 정부의 충돌을 전하며 송전탑 건설로 작은 농촌공동체가 파괴되는 과정을 전하고 있다. 이 기사는 ‘한국의 급격한 경제성장은 막대한 양의 전력을 필요로 하고, 바로 이 필요가 부산에서 북서쪽으로 47km 떨어진 작은 도시인 밀양 농민들의 격심한 저항에 부딪혔다’며 ‘국가전력산업체인 한국전력 (KEPCO)의 노동자들이 공사현장에 갈 수 있도록 농민들의 과수원 사이로 길이 나고 산허리에도 산길이 파졌으며 조상들을 모신 가족묘지가 거칠게 급조된 산길가 송전탑의 그늘에 가려 자리하고 있다’고 송전탑 건설 시작 후의 파괴된 산골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
이 기사는 주민들이 저항했지만 이들의 저항은 무력과 맞부딪혔고 밀양의 작은 농촌 마을들이 경찰국가처럼 되고 말았다고 밀양의 참혹한 현실을 전하고 있다. 이러한 폭압에 저항의 뜻으로 음독 사망한 유한숙씨의 죽음을 전한 이 기사는 25일 고인들이 유한숙씨의 분향소 설치를 요구하였으나 경찰이 주민들을 둘러싸고 끌어내며 돗자리까지 빼앗아 갔다고 전했으며 심지어 화장실 가는 것까지 막아섰다고 경찰의 무자비한 태도를 비난했다.
다음은 정상추가 번역한 레볼루션 뉴스의 밀양에 대한 기사 전문 번역이다.
번역 감수: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bit.ly/LFPzim
South Korean Protesters In Miryang Sit Surrounded by Police With Necks Chained Together For 32 Hours
목을 함께 쇠사슬로 묶은 채로 32시간 동안 경찰에 포위되어 있는 한국 밀양의 시위대
February 2, 2014 – Revolution News
Korea’s rapid economic growth demands enormous amounts of electricity, and it’s that demand that has met the fierce resistance of the farmers of Miryang, a small city 47 kilometers northwest of Busan. To these mostly elderly farmers, the most visible effect of “development” is not cell phones, flat screen TVs, or air-conditioning. It is the high-voltage transmission towers that have sprouted along the ridges of their mountain valley.
한국의 급격한 경제성장은 막대한 양의 전력을 필요로 하고, 바로 이 필요가 부산에서 북서쪽으로 47km 떨어진 작은 도시인 밀양 농민들의 격심한 저항에 부딪혔다. 대부분 노인인 이곳 농민들에게 “발전”의 가장 눈에 보이는 결과는 휴대전화나 평면 텔레비전 혹은 에어컨디션이 아니다. 그것은 산골짜기 능선을 따라 생겨난 고압송전탑들이다.
Since October protests against the 765kV Power transmission tower’s have taken place. On Jan 25th Close to three thousand people, including labor and environmental activists from cities throughout South Korea, converged on the small city of Miryang to protest the building of high-voltage power lines connected to a nuclear power plant.
지난 10월 이후로 765kV 송전탑 건설에 반대하는 시위들이 있어왔다. 1월 25일에는 한국 전역의 도시들로부터 모여든 노동운동가와 환경운동가들을 포함 3,000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원자력발전소와 연결되는 고압선 건설공사에 항거하기 위해서 작은 도시 밀양에 모여들었다.
Roads have been cut through their orchards, and trails dug out from the mountainsides, so that workers from the state utility, KEPCO, can reach the tower sites. The family burial sites of ancestors sit next to the crudely cut paths, in the shadow of towers. While some farmers have accepted buyouts from the state, many others have resisted, and this resistance has been met with force. The small farming villages of Miryang have come to resemble a police state.
국가전력산업체인 한국전력 (KEPCO)의 노동자들이 공사현장에 갈 수 있도록 농민들의 과수원 사이로 길이 나고 산허리에도 산길이 파졌다. 조상들을 모신 가족묘지가 거칠게 급조된 산길가 송전탑의 그늘에 가려 자리하고 있다. 일부 농민들은 국가의 매수를 받아들였지만 일부는 저항했으며 이들의 저항은 무력과 맞부딪혔다. 밀양의 작은 농촌 마을들이 경찰국가처럼 되고 말았다.
Mr. Yoo Han-Sook, (71) a villager who attempted to commit a suicide by taking a poison and who was hospitalised, died on December 6. Prior to his death when he became conscious, he had shared with his family members and rights activists his frust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tower that would have adverse effects on villagers, including himself.
독약을 마시고 자살하려 시도해 병원에 입원했던 유한숙씨(71세)는 12월 6일 사망했다. 사망하기 전 의식이 들었을 때 그는 가족들과 인권운동가들에게 자신을 포함한 마을사람들에게 좋지않은 결과를 불러올 송전탑에 대해 자신이 느끼는 좌절감에 대해 말했다.
The incense alter of late Yoo Han-Sook who took poison and passed away last December asking to stop construction of Power Transmission Tower, was originally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athletic park across Yeongnamnu Pavilion, but the local Merchants Association called for the removal.
지난 12월 송전탑 건설 중단을 요구하며 음독 사망한 고 유한숙씨의 분향소는 원래 영남루 건너편 체육공원 입구에 위치에 있었으나, 지역 상인연합회가 철거를 요구했다.
A small group including the family of the deceased and villagers went to City Hall to ask for a talk with the mayor of Miryang City to move the incense alter of late Mr Yoo Han-Sook from nearby City Hall to the another place. They sat with necks chained together on a mat together out front.
소그룹의 유가족과 주민들은 고 유한숙씨의 분향소를 시청 인근에서 다른 곳으로 이전해 달라며 밀양시장과의 면담을 요구하기 위해 시청에 갔다. 그들은 목에 쇠사슬을 걸어 서로를 묶은 채 돗자리에 앉아 있었다.
Police surrounded the villagers to take away it. Police took away the mat that villagers sat on it by pushing and pulling them off of it. They picked up and took away the small mat and disposable raincoat around them. Villagers and related people who have lost everything cried aloud embracing together.
경찰은 돗자리를 뺏기 위해 마을 주민들을 포위했다. 경찰은 주민들을 밀치고 끌어내고 하면서 마을주민들이 사용하던 돗자리를 빼았아 갔다. 경찰은 주변에 있던 작은 방석과 일회용 비옷을 주워서 가져갔다. 모든 것을 빼앗긴 마을 주민과 관계자들은 서로 부둥켜 앉고 크게 울었다.
Then an older woman Lee Keum-Ja lost it and started appealing, “I am struck dumb with amazement. What kind of nonsense is that? What’s the reason why they were doing such a thing, in spite of the fact that mat is not a deadly weapon.”
그때 이금자 할머니가 감정에 겨워 하소연하기 시작했다 “기가 차서 말이 나오지 않는다. 이런 경우가 어디 있나? 돗자리가 흉기도 아닌데, 이렇게 까지 하는 이유가 뭐야?”
The protest started on Jan. 27 at noon and protesters called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at 2:30 pm to explain that they can’t go to the restroom because Police had surrounded and isolated them. Police had told protesters that you can go to the restroom, but once you go to the restroom, you can’t come back to the same place again because the police blocked the people as we see in the photos. One man even use a PET bottle for his urine in the meantime.
시위는 1월 27일 정오에 시작됐고 시위대는 오후 2시 30분경 경찰에 둘러싸여 고립되어 화장실에 갈 수 없음을 설명하기 위해 국가인권위원회(아래 인권위)에 전화를 걸었다. 사진처럼 경찰이 시민들을 막고 있기 때문에, 경찰은 시위대에게 화장실에 갈 수는 있으나 한 번 나가면 다시 들어올 수 없다고 말했다. 한 남성은 심지어 페트병에 소변을 보기도 했다.
Protesters were allowed to go to the restroom from Jan. 27 at 5pm after officials from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complained to the police.
인권위 직원들이 경찰에 이의를 제기한 후 1월 27일 5시부터 시위대에게 화장실 가는 것이 허용됐다.
A woman who tried to squeeze between the legs of the surrounding police.
둘러싸고 있는 경찰의 다리 밑으로 들어가려고 시도한 한 할머니.
The protest lasted from Jan 27 at noon to Jan 28 at 8:30 pm. They were surrounded by police all night until they finish their protest.
시위는 1월 27일 정오부터 1월 28일 오후 8시 30분까지 계속됐다. 그들은 시위를 마칠때까지 밤새도록 경찰에 둘러싸여 있었다.
Sources
OhMyNews 페트병에 소변… 밀양시장 너무한다
OhMyNews 1박2일 ‘돗자리 전쟁’, 주민들이 이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