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Headline / 한국 시위 진압 무기, 경험 수출로 국제적 명성?

한국 시위 진압 무기, 경험 수출로 국제적 명성?

한국 시위 진압 무기, 경험 수출로 국제적 명성?
-캄보디아 피의 진압 배후 논란과 시위진압 최루탄 수출
-BBC 등 외신들 바레인 최루탄 수출 중단 크게 다뤄

한국이 캄보디아 노동자들을 피로 진압한 시위진압의 배후에 있다는 글로벌 포스트의 폭로가 터져 한국의 폭력적 이미지가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8일 영국의 BBC등 외신들이 한국이 바레인에 최루탄 수출을 중단하기로 했다는 기사를 일제히 내보냈다. 이는 뒤집어 말하면 바레인 시위진압에 사용된 살인최루탄으로 불리는 악명 높은 최루탄이 한국산이라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이 기사는 한국의 발달된 시위진압의 경험과 무기가 역설적으로 외국으로 수출되어 개발도상국의 민주주의를 탄압하는 무기로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BBC는 ‘South Korea halts Bahrain tear gas exports-한국 바레인에 최루탄 수출 중단하다’라는 기사에서 바레인에서 잘못 이용한 최루탄으로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국제적인 활동가들의 압력으로 한국의 국영 방위사업청 (방사청, DAPA)이 최루탄을 수출하던 두 회사에게 수출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고 보도했다. ‘친민주주의 시위에 대한 엄중 단속을 시작한 2011년부터 바레인 당국은 최루탄을 무기로 사용하여 시민들을 불구로 만들고 눈을 멀게 하고 심지어 죽게하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인권단체와 야당 운동가들의 비난을 받아왔다’고 소개한 이 보도는 ‘지난 10월 미국에 주재한 ‘인권을 위한 의사협회’는 무분별한 최루탄의 사용으로 39명의 사망자가 생겼다고 말했으나, 바레인 정부는 발표된 사망자의 숫자가 옳지 않다고 반박했다’고 전했다.

이 기사는 이어 인권 그룹들이 한국을 비롯한 최루탄 수출을 중지할 것을 요구하는 캠페인을 시작했고 한국의 방사청은 바레인에 최루탄 수출을 보류하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보도했다. 방사청 대변인은 인권단체들의 항의를 고려하여 결정을 내렸다고 말했으며 국제 앰네스티는 한국정부가 “추가적인 인권 침해를 막을 수 있도록 돕는 이런 결정은 칭찬받아야”한다고 말하며, 이 결정을 환영했다고 전했다.

한국의 민주주의를 이루어낸 한국의 시위를 탄압했던 한국 시위 진압 기술과 무기가 국제사회의 초점으로 연이어 떠오른 것은 민주주의가 위협을 받고 있는 요즘 아이러니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다음은 정상추의 BBC 보도 전문 번역이다.

번역 감수: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bbc.in/KLmu4W

 

8 January 2014

South Korea halts Bahrain tear gas exports

한국 바레인에 최루탄 수출 중단하다

bbc_0108_2013_1

 

bbc_0108_2013_2

The Bahraini government said tear gas was being used entirely in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law
바레인 정부는 최루탄은 국제법을 전적으로 준수하며 사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South Korea has ordered the suspension of tear gas exports to Bahrain amid pressure from activists.

한국은 활동가들로부터의 압력을 받는 가운데 바레인에 최루탄 수출을 중단할 것을 지시했다.

Officials at the state-run Defence Acquisition Programme Administration (DAPA) said two firms had been told not to ship any to the Gulf kingdom.

국영 방위사업청 (방사청, DAPA)의 관계자들은 바레인에 더 이상 최루탄을 보내지 말 것을 두 회사에 당부했다고 말했다.

The decision was made because of the situation in Bahrain, including reports that the misuse of tear gas had caused protesters’ deaths, they said.

이 결정이 내려진 이유는 최루탄을 잘못 이용한 것이 시위자들을 죽게했다는 보도를 포함, 바레인에서 벌어지는 상황 때문이었다.

Bahrain’s interior ministry said it had not been informed of any ban by Seoul.

바레인 내무부는 서울의 이러한 중단조치에 대해 통보 받은 바 없다고 전했다.

“Tear gas is used by Bahrain’s police force only as a necessary and proportionate measure and in public order and riot-control situations,” a statement said. “It is used entirely in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law.”

성명서를 통해 “최루탄은 필요하고 적당할 만큼만, 그리고 공공질서와 시위진압 사태를 위해서 바레인 경찰에 의해 사용된다”며 “전적으로 국제법을 준수한다”고 밝혔다.

‘Commended’

‘칭찬받아야’

But since launching a crackdown on pro-democracy protests in 2011, the Bahraini authorities have been accused by human rights and opposition activists of using tear gas as a weapon, resulting in the maiming, blinding and even killing of civilians.

그러나 친 민주주의 시위에 대한 엄중 단속을 시작한 2011년부터, 바레인 당국은 최루탄을 무기로 사용하여 시민들을 불구로 만들고 눈을 멀게 하고 심지어 죽게하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인권단체와 야당 운동가들의 비난을 받아왔다.

In October, US-based Physicians for Human Rights said 39 deaths had been attributed to the unprecedented use of tear gas, although the Bahraini government disputed the figure.

지난 10월 미국에 주재한 ‘인권을 위한 의사협회’는 무분별한 최루탄의 사용으로 39명의 사망자가 생겼다고 말했으나, 바레인 정부는 발표된 사망자의 숫자가 옳지 않다고 반박했다.

That month, the local activist group Bahrain Watch published what it said was a Bahraini interior ministry tender for bids for up to 1.6 million tear-gas canisters, 90,000 tear-gas grenades and 145,000 stun grenades.

같은 달 지역 활동가 그룹인 ‘바레인 워치’는 바레인 내무부가 최루탄 통 160만개, 최루탄 9만개 그리고 섬광수류탄 14만 5천개 까지를 경매 입찰한다고 발표했다.

The South Korean company DaekWang Chemical, which has previously supplied a million tear gas shells to Bahrain in 2011 and 2012, was among the companies designated to fill the order.

2011년과 2012년에 바레인에 백만개의 최루탄을 수출했던 한국의 대광화공은 주문을 채우도록 지정된 회사들 중의 하나였다.

Human rights groups subsequently launched a campaign to pressure foreign governments, including South Korea’s, to halt shipment of tear gas to the Gulf state while there was a risk that it might be misused against peaceful protesters.

그 후 인권 그룹들은 최루탄이 평화로운 시위자들을 향해 잘못 사용될 수 있는 위험이 있는 한, 한국을 포함한 외국 정부들이 이 걸프 지역 국가에 최루탄 수출을 중단하도록 압력을 넣는 캠페인을 시작했다.

bbc_0108_2013_3

The campaign, Stop the Shipment, urge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 halt tear gas exports
‘수출 금지’ 캠페인은 한국 정부에 최루탄 수출을 중지할것을 촉구했다.

On Wednesday, DAPA spokesman Lee Jung-geun told the New York Times that after two companies inquired about the “possibility” of exporting to Bahrain, they were told to “hold it”.

수요일 방사청 대변인 이정근씨는 뉴욕 타임스에 두 회사가 바레인에 수출 “가능성”을 문의한 후에, “보류하라”는 답변을 받았다고 말했다.

“We made that decision,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Bahrain reported in the media, political instability there, people reportedly killed and injured there because of tear gas, and the complaints from human rights groups,” he said.

“우리는 언론에 보도된 바레인의 상황, 정치적 불안정성, 최루탄에 의해 사망하고 부상당했다고 보도된 사람들, 그리고 인권 단체들의 항의를 고려하여 결정을 내렸다”라고 그는 말했다.

Amnesty International welcomed the move, saying the South Korean authorities should be “commended for this move to help prevent further human rights violations”.

국제앰네스티는 한국정부가 “추가적인 인권 침해를 막을 수 있도록 돕는 이런 결정은 칭찬받아야”한다고 말하며, 이 결정을 환영했다.

소셜 댓글
뉴스프로 후원하기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x

Check Also

논평] 대체복무제, 진지하게 고민하자

논평] 대체복무제, 진지하게 고민하자 – 양심적 병역거부 무죄 논란에 붙여 Wycliff Luke 기자  13일(수), 프레스센터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