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Headline / 국정조사는 새누리당 국정원, 경찰의 음모극

국정조사는 새누리당 국정원, 경찰의 음모극

국정조사는 새누리당 국정원, 경찰의 음모극
-글로벌 보이스 ‘국정조사 청문회 국민분노 일으켜’ 보도
-권은희 과장에게서 희망을 보았다.

전세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온라인 매체인 글로벌 보이스가 한국 국회의 국정원 부정선거 개입 국정조사가 국정원, 경찰, 여당인 새누리당이 짜고 논란을 숨겨 국민들에게 실망을 안겨주어 국민들의 분노를 더하게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8월 23일 기사에서 글로벌 보이스는 청문회가 열리게된 과정, 여당과 증인들의 비협조, 원세훈-김용판의 증인선서 거부 및 위증 등을 상세하게 전하며 3차 청문회가 여당의 불참으로 야당 단독으로 열렸다고 보도했다.

글로벌 보이스는 서울을 비롯한 한국의 도시에서 부정선거를 규탄하는 촛불시위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며 미디어 몽구의 ‘서울광장에 촛불이 켜지고 있다’ 라는 말을 상징적으로 보도했다. 글로벌 보이스는 ‘국정원이 정말 대북 공작 대응을 한 것이 떳떳하다면 왜 댓글을 지웠느냐’ 는 네티즌들의 반응을 전하며 이번 청문회에서 유일하게 진실을 증언한 권은희 과장에 대한 국민들의 칭찬과 격려가 쏟아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권은희 한 사람을 만난것으로도 희망을 보았다….. 저 사람이 경찰 총수가 되어야 나라가 제대로 설것이다’ 라는 네티즌들의 발언을 전한 ‘글로벌 보이스는 보도 마무리에서 이번 청문회에서 원세훈. 김용판이 위증죄 처벌을 받지않기 위해 증인선서를 거부했지만 대신 그들이 정직하지 않고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 전국민에게 알려졌다’고 전했다.

다음은 정상추의 전문 번역이다. (08/25/2013)

기사 번역 (정상추 네트워크 소속 Og Lim)

기사 바로가기 ☞ http://bit.ly/1faB4KS

 

Special Probe into South Korean Spy Agency’s Electioneering Falls Flat

한국 국정원의 선거개입에 대한 특별 조사가 실패로 끝나다

23 August 2013, Lee Yoo Eun (이유은 기자)

gv_0823_2013

As protests continue in South Korea, critics are calling special investigations into the actions of agents within the intelligence agency who wrote Internet comments to manipulate public opinion in favor of the ruling party before elections in December 2012 a disappointment.

한국에서 시위가 계속되는 가운데 비평가들은 2012년 12월 대선 이전 여당에 유리하도록 여론을 조작하기 위해 인터넷 댓글을 작성한 국정원 직원들의 행위에 대한 특별 조사를 실망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NIS) has come under fire for interfering with the latest presidential election for the Internet posts that tried to sway readers against the opposition. A flurry of protests have taken place in major cities for several months now, almost regularly every weekend from mid-May. Rallies grew substantially bigger around mid-July, with an estimated 40,000 [ko] participating in the latest candle light vigil held in Seoul. (Police estimates 9,000)

국정원은 시민들이 야당에 반감을 가지도록 하는 인터넷 게시글을 작성하여 작년 대선에 개입한 것으로 논란이 되어왔다. 주요도시에서 몇달동안 수많은 시위들이 벌어지고 있으며, 5월 중순부터 지금까지는 거의 매 주말마다 시위가 계속되고 있다. 집회는 7월 중순경에 그 규모가 대단히 커졌으며, 가장 최근에 서울에서 열린 촛불시위에는 약 4만명 (경찰추산 약 9천명)이 참석하였다.

Prominent citizen blogger Media Mongu tweeted a dramatic photo of the recent protest with a short description: “Candles light up the Seoul Plaza”.

잘 알려진 시민 블로거 미디어 몽구는 최근 시위의 극적인 사진을 짧은 설명과 함께 트위터에 올렸다: “촛불이 서울광장을 밝히고 있습니다”

gv_0823_2013_2

The month-long parliamentary investigation appeared to be an attempt to quell public anger over the scandal. The low expectations of the public regarding the effectiveness and sincerity of the probe seem to have been right on: The investigation has turned out to be a disappointment, hobbled by a lack of cooperation from key witnesses and the ruling party.

한달 동안의 국회 국정조사는 이 스캔들에 대한 국민들의 분노를 가라앉히기 위한 시도로 보였다. 국정조사의 효율성과 진정성에 대해 국민들이 가졌던 낮은 기대는 결국 옳았던 것으로 보인다: 주요 증인들과 여당의 비협조로 방해를 받은 국정조사는 그저 실망일 뿐이었다.

Two key witnesses, the former chief of NIS and the ex-Seoul Police Agency commissioner, refused to swear to tell the truth and that the third hearing was not even held properly as the ruling Saenuri party boycotted [ko] so that it is almost impossible come up with the full conclusive report by the deadline of August 23, 2013.

전 국정원장과 전 서울 경찰청장 두명의 주요 증인은 진실을 말하겠다는 선서를 거부했고, 심지어 여당 새누리당이 불참한 관계로 3차 청문회는 제대로 열리지도 못했다. 그래서 국정조사 마지막날인 2013년 8월 23일까지 최종 결과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해 보인다.

One newspaper even comments [ko] that it was a “probe that beat around the bush” and “seeing it was almost like watching a conspiracy drama unfolding that the ruling party,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NIS) and the police work together to cover up the major issues”. Web reactions are similarly critical.

한 신문은 국정조사는 “빙빙 돌려서 논점을 회피했던 조사”였으며 “마치 여당, 국정원 그리고 경찰이 그간 논란이 되어온 주요 쟁점들을 숨기기 위해 서로 짜고 만든 음모극을 보는 것 같았다”고 언급했다. 인터넷에서의 반응도 비슷하게 비판적이다.

However, the probe revealed further insight into the electioneering scandal, including that there were 12 subdivisions [ko] of the NIS specifically worked on leaving Internet comments, with one covering major Korean portal sites such as Naver.com, another one handling mid-sized community sites such as TodayHumor.com, and another on social media sites such as Twitter.

그러나 국정조사는, 국정원에 댓글 작성 전담을 위한 12개의 파트가 있었으며, 그 중 한 파트는 네이버 같은 주요 포털을 담당하고 다른 파트는 오늘의 유머같은 중소 커뮤니티를, 그리고 또 다른 한 파트는 트위터같은 SNS를 담당한 사실등의 국정원 선거개입 스캔들에 대한 어느 정도의 내막을 밝혀주었다.

A female whistle-blower, Kwon Eun-hee, the ex-chief investigator at Seoul’s Suseo District Police Station, made a shocking revelation that police tried to cover up the case when the NIS scandal initially broke out in mid-December 2012. Kwon told at the hearing [ko] that her and her team had received “unreasonable orders” from above that could lead to reducing the scope of investigation and that they also were pressured from their superior.

여성 내부 고발자이자 전 서울 수서 경찰서 수사과장 권은희씨는, 2012년 12월 중순 국정원 스캔들이 처음 발생되었을때 경찰이 사건 은폐를 시도하였다고 충격적인 폭로를 하였다. 권과장은 청문회에서 권과장과 팀이 상부로 부터 조사규모를 줄이라는 “부당한 명령”을 받았고, 또한 상급자로부터 압력도 받았다고 말했다.

Net users praised Kwon and even set up an online petition page [ko] to show their support. Only three days have passed, but it has gathered more than 27,000 signatures. Some related tweets read:

네티즌들은 권과장을 칭찬했으며 심지어는 그를 지지하기 위한 온라인 청원서 페이지를 만들었다. 3일 동안에 2만 7천명 이상이 이에 서명을 했다. 몇몇 트윗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In this parliamentary investigation, by meeting Kwon Eun-hee, I saw hope. As a woman, she has demonstrated unyielding integrity and tenacious spirit in face of threats. Such a person should become the head of police, only then this nation will stand firm.

@Riverside_hut: “이번 국정조사에서 권은희 한사람을 만난 것만으로도 희망을 보았다. 여성의 몸으로, 협박 앞에서 전혀 굴하지 않고 자신의 도덕성을 끝까지 지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저런 사람이 경찰총장이 되어야 나라가 제대로 설 것이다.”

The NIS argued that the Internet posts were a legitimate operation, a part of online psychological warfare against the pro-North Korean groups or North Korean sympathizers. However, people pointed out [ko] that if they were really serious in executing “anti-North psychological warfare”, why did they leave so many trashy comments against people from certain provinces that are traditionally “safe states” for the opposing Democratic party? And more over, if their acts can be justified, why delete the comments? @jjnsoo made similar points:

국정원은 인터넷 댓글 작성이 친북 한인 단체나 종북주의자들에 대응하기 위한 온라인 심리전의 일환으로 적법한 활동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사람들은 “국정원 직원들이 정말로 진지하게 반북 심리전 활동을 실행하는 것이었다면, 왜 전통적으로 야당 민주당의 텃밭으로 불리우는 특정 지역 출신 사람들에 대해 수 많은 쓰레기 같은 댓글을 작성했는지, 게다가 그들의 행동이 정당하다면 왜 댓글을 지웠는가”라고 비판했다. 트위터 ID @jjnsoo 또한 같은 점을 지적했다.

NIS witnesses claim that their commenting was an operation against the pro-North Korean groups and their Internet activities. It that were true, they could have just traced [the sources] and caught people who write that stuff, and then report the outcome. Why did they need to react online and leave comments?

@jjnsoo: “국정원 증인들은 댓글이 종북세력과 이들의 인터넷 활동에 대한 대응이었을 뿐이라고 한다. 정말 그렇다면 국정원이 그것을 추적하고 그런 사람들을 잡아들여 조사한후 이것을 발표하면 되었을 것이다. 왜 댓글로 대응을 했어야 한다는 것인가?”

Net users also lashed out at two key witnesses, the ex-chief of NIS and the former Seoul Police Agency commissioner, who refused to be sworn in before the hearing–a tactic [ko] people use to avoid perjury. However, it seems to have backfired:

네티즌들은 또한 청문회에서 위증죄로 처벌받는 것을 피하기 위해 증인선서를 거부한 두 주요 증인, 전 국정원장과 전 서울 경찰청장을 맹렬히 비난했다. 그들의 행동은 오히려 역효과만 불러 일으켰다.

Won Sei-hoon and Kim Yong-pan, by refusing to be sworn at the parliamentary hearing, avoided the chance of being punished for perjury even if their testimonies turned out to be false. However, it revealed in front of the entire nation that they are not being honest and told lies.

@Hurphist: “원세훈-김용판은 국정조사 청문회에서 증인 선서를 거부함으로써 그들의 발언이 위증으로 입증될 경우 위증죄로 처벌받지 않도록 빠져나왔다. 그러나 오히려 그렇게 함으로써 그들이 정직하지 않고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전 국민에게 알린 셈이다”

소셜 댓글
뉴스프로 후원하기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x

Check Also

디플로마트, 한국 민주주의 전환점 마련한 젊은이들

디플로마트, 한국 민주주의 전환점 마련한 젊은이들 -김정은 이름을 모를 정도로 무관심하던 청년들 -‘헬조선’ 등 총체적 ...